보로노이 분석 및 예측(유효기간: ~25.11.15)

[링크] 오디오로 듣기

보로노이 투자 분석 인포그래픽

보로노이 (Voronoi) 투자 분석 리포트

정밀 의료 분야의 핵심, 키나아제 억제제 파이프라인 심층 분석

글로벌 키나아제 시장 규모 (2024E)

800억달러

핵심 파이프라인 (Target)

VRN07(폐암)

2024년 예상 R&D 투자

500억

주요 재무 성과

바이오테크 특성상 기술이전료(수익)는 변동성이 있으나, 미래 가치를 위한 연구개발(R&D) 투자는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습니다. 이는 강력한 파이프라인 구축을 위한 전략적 투자입니다.

핵심 R&D 파이프라인 비중

현재 보로노이의 R&D 역량은 비소세포폐암(NSCLC)을 타겟하는 VRN07에 집중되어 있으며, 자가면역질환 및 고형암으로 적응증을 다각화하고 있습니다.

전략적 분석 (SWOT)

보로노이는 독자적인 R&D 플랫폼을 강점으로 보유하고 있으나, 높은 현금 소진율은 약점으로 작용합니다. 거대한 표적 시장은 기회 요인이며, 임상 실패 리스크는 항상 존재하는 위협입니다.

S: 강점 (Strength)

  • 독자적 R&D 플랫폼 'VORONOMICS' 보유
  • 다수의 'First-in-class' 후보 물질
  • 숙련된 핵심 연구 인력

W: 약점 (Weakness)

  • 높은 현금 소진율 (Cash Burn Rate)
  • 변동성 높은 기술이전료 수익 구조
  • 후기 임상 경험 부족

O: 기회 (Opportunity)

  • 거대한 표적 항암제 시장
  • 글로벌 빅파마와의 신규 파트너십 가능성
  • 플랫폼 기술 확장성 (타 질환 적용)

T: 위협 (Threat)

  • 임상 1/2상 실패에 따른 주가 변동 리스크
  • 글로벌 제약사의 치열한 경쟁 구도
  • 신약 개발 규제 강화

시장 전망 및 성장 잠재력

글로벌 키나아제 억제제 시장은 연평균 8.5%의 견조한 성장이 예상됩니다. 보로노이는 성공적인 마일스톤 달성 및 신규 계약을 통해 2026년 이후 큰 폭의 성장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키나아제 억제제 시장

보로노이 예상 기술이전료 (억 원)

투자 결론

보로노이는 높은 기술력을 바탕으로 R&D에 집중 투자하는 전형적인 'High-Risk, High-Return' 바이오테크 기업입니다. 단기적인 재무 변동성보다는 핵심 파이프라인의 임상 데이터와 장기적인 플랫폼 가치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핵심 파이프라인의 성공 여부가 기업 가치를 결정짓는 핵심 변수입니다.

본 자료는 투자 참고용으로 제작되었으며, 특정 종목의 매수 또는 매도를 권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지 않습니다.

모든 데이터는 가상으로 생성된 수치이며 실제와 다를 수 있습니다.

 

 

 

보로노이(310210) 심층 분석: 'AACR 쇼크' VRN11의 가치와 2025년 11월 목표 주가 (현재가 196,000원)

(가상 날짜: 2025년 10월 31일)

코스닥 상장사 보로노이(310210)가 현재 196,000원의 주가를 기록하고 있습니다.1 52주 최고가 219,000원 4에 근접하며 시가총액 3.53조 원 2을 유지하는 이 기업의 가치는 과연 적절한지, 그리고 미래 방향성은 어떠한지 심층적으로 분석합니다.

최근 2025년 10월 23일, 보로노이는 'AACR-NCI-EORTC 2025'라는 저명한 글로벌 학회에서 핵심 파이프라인 'VRN11'의 경이적인 1a상 임상 데이터를 발표했습니다.5 이 데이터가 단순한 '호재'를 넘어 '게임 체인저'가 될 가능성을 보이면서, 시장의 평가는 그 어느 때보다 치열합니다.

또한, 9월에 시장을 흔들었던 최대주주의 주식담보대출 리스크 8가 완전히 해소되고 8, 10월에는 360억 원 규모의 교환사채(EB) 발행 9을 통해 임상 자금을 확보하는 등, 기업 내외부의 불확실성이 대부분 제거되었습니다.

본 보고서는 요청된 19개의 핵심 항목을 순서대로, 그리고 매우 상세하게 분석하여 보로노이의 현재 가치와 미래 방향성을 객관적으로 진단합니다.

1. 기업이 주력하고 있는 제품 및 산업에 대하여 설명한다.

보로노이는 전통적인 신약 개발 방식이 아닌,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신약 후보물Tq물질을 설계하고 발굴하는 '플랫폼 기술' 기업입니다.

핵심 기술: AI 플랫폼 '보로노믹스(VORONOMICS®)'

보로노이는 화합물 설계와 합성을 위한 자체 AI 연구소를 보유하고 있습니다.10 '보로노믹스'라 불리는 이 플랫폼은 방대한 실험 데이터를 기반으로, 연구개발 초기 단계부터 독성이 낮고 특정 표적 단백질에 높은 활성을 갖는 물질을 스크리닝하고 정교하게 설계합니다.10

이는 '시간'과 '비용'의 비약적인 절감을 의미합니다. 전통적인 방식이 수만 개의 화합물을 무작위로 테스트한다면, 보로노믹스는 성공 확률이 높은 수백 개의 후보물질로 압축하여 시작합니다.

이 플랫폼의 진정한 강점은 '특정 물성'을 만족시키는 화합물 설계에 있습니다. 특히 '뇌혈관장벽(BBB, Blood-Brain Barrier) 투과율'이 높은 물질 설계에 특화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5 이는 단순한 AI 플랫폼이 아니라, '뇌전이암'이라는 특정 고난도 시장을 정조준하는 고도로 전문화된 기술임을 시사합니다.

주력 파이프라인 (표적 항암제 포트폴리오)

보로노이는 암세포의 성장 및 분열에 관여하는 특정 인산화효소(Kinase)를 억제하는 '표적 항암제'에 집중합니다.9

  • VRN11 (4세대 EGFR TKI - 비소세포폐암): 현재 보로노이의 가치를 지탱하는 핵심 파이프라인입니다. 3세대 치료제(타그리소) 복용 후 발생하는 내성(C797S 돌연변이)을 극복하기 위해 설계되었습니다.12 특히 뇌전이 환자 치료에 높은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5
  • VRN07 (ORIC-114, EGFR Exon20 TKI): EGFR Exon20 삽입 변이 비소세포폐암 치료제로, 이미 임상에서 완전 관해(CR) 사례를 기록한 바 있습니다.12 현재 1차 치료제 옵션 진입을 위해 '리브리반트'와 병용 임상을 개시했습니다.12
  • VRN04 (자가면역 질환): 최근(2025년 9월) 미국 안비아 테라퓨틱스(Anvia Therapeutics)가 옵션을 행사하여 자산매매계약이 체결된 파이프라인입니다.9 이는 보로노이의 플랫폼이 항암제뿐만 아니라 만성 염증 및 자가면역 질환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증명합니다.14

주력 산업: 표적 항암제 (Targeted Therapy)

글로벌 항암제 시장은 2026년 3,190억 달러(약 400조 원) 규모로 예상되며, 이 중 '표적 항암제' 시장이 1,128억 달러(약 140조 원)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할 전망입니다.15

보로노이는 가장 크고 검증된 시장(표적 항암제)에서, 기존 치료제(타그리소)의 명확한 한계점(내성, 뇌전이)을 극복하는 'Best-in-Class (계열 내 최고)' 또는 'First-in-Class (계열 내 최초)' 전략 12을 구사합니다. 이는 AI 플랫폼 11을 활용하여 경쟁사보다 빠르게 더 나은 약물을 설계하는 전략입니다.

2. 기업의 현재 재무상태를 설명하고, 이익을 기준으로 미래의 재무상태를 추정한다.

R&D 중심의 바이오테크 기업 재무제표는 전통적인 제조업과 완전히 다른 관점에서 해석해야 합니다. '현재 이익'이 아닌 'R&D 투자'와 '현금 보유량', 그리고 '파이프라인의 잠재 가치'가 핵심입니다.

현재 재무상태 분석

  • 전형적인 R&D 기업: 2024년 기준 수익성(ROE)은 -43.88% 16로, 막대한 R&D 비용이 지출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 높은 밸류에이션: 주가순자산비율(P/B)은 65.2배, 주가매출비율(P/S)은 907.9배에 달합니다.2 이는 동종 업계 평균(P/B 4.1배, P/S 41.2배) 대비 극도로 높은 수치입니다.
  • 재무제표 해석: P/B, P/S, ROE와 같은 전통적인 가치지표는 보로노이의 현재 가치를 설명하지 못합니다.2 이 지표들은 현재의 이익 창출 능력을 보여주는데, 보로노이의 가치는 '현재'가 아닌 '미래'의 파이프라인(VRN11) 가치에 있기 때문입니다.
  • 수익 모델: 보로노이의 수익은 제품 판매가 아닌, AI 플랫폼으로 발굴한 신약 후보물질을 글로벌 빅파마(Big Pharma)에 기술이전(L/O)하고 받는 '계약금(Upfront)', '단계별 마일스톤(Milestone)', 그리고 상업화 성공 시 '로열티(Royalty)'로 구성됩니다.13

다음은 보로노이와 동종 R&D 바이오텍의 밸류에이션 비교입니다. 이는 보로노이가 시장에서 얼마나 높은 기대감을 받고 있는지 명확히 보여줍니다.

종목명 종목코드 주가순자산비율(P/B) 주가매출비율(P/S) 자기자본이익률(ROE) 비고
보로노이 310210 65.2x 2 907.9x 2 -43.88% 16 4세대 폐암 (VRN11)
에이프릴바이오 A397030 2 2 -23.94% 16 자가면역 (SAFA)
브릿지바이오 A226950 2 2 -206.60% 16 폐섬유증 (BBT-877)
파로스아이바이오 A347850 2 2 N/A 16 AI 신약 (PHI-101)
동종 업계 평균 - 4.1x 2 41.2x 2 - -

미래 재무상태 추정 (이익 기반)

  • 단기 (2025~2026년): 재무제표 상 '영업이익'은 계속 적자일 것입니다. 재무 건전성은 2025년 10월 10일 확보한 360억 원의 교환사채(EB) 발행 자금 9과 같은 파이낸싱, 그리고 VRN04 등에서 발생하는 소규모 마일스톤 유입으로 유지됩니다. VRN11의 글로벌 임상 1b/2상 5은 막대한 자금이 필요하므로 EB 발행은 필수적이었습니다.
  • 중장기 (2027년~): 미래 이익은 전적으로 'VRN11'의 대규모 L/O 성공 여부에 달려있습니다.
  • 미래 이익의 이진법적(Binary) 특성: 보로노이의 미래 재무 상태는 '성공' 또는 '실패' 두 가지입니다. VRN11 임상 실패 시 주가는 현재 가치를 지탱할 수 없습니다. 반면, L/O 성공 시 기업 가치는 조(兆) 단위로 재평가됩니다.
  • L/O 가치 추정: 과거 초기 단계의 pan-RAF 저해제 딜 규모가 약 4.8억 달러였습니다.17 10월 23일 발표된 VRN11의 데이터 5는 '3세대 치료제 내성'과 '뇌전이'라는 수십억 달러 규모의 시장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가능성을 보였습니다. 따라서 VRN11의 L/O는 총 계약 규모 10억~20억 달러 이상, 계약금만 수천억 원에 달할 수 있습니다. 이것이 현재 3.53조 원 시가총액 2의 근거입니다.

3. 현재 기업이 어떤 테마에 속해 있는지 설명한다.

보로노이는 현재 시장에서 가장 주목받는 3대 바이오 테마의 중심에 있습니다.

  • 테마 1: AI 신약 개발 (AI-driven Drug Discovery)
  • 보로노이는 '보로노믹스'라는 자체 AI 플랫폼을 통해 임상 성공 가능성을 높이고 있습니다.11 이는 단순한 국내 테마가 아닙니다. 2025년 글로벌 헬스케어 VC 투자의 핵심이 'AI 기반 신약 개발'과 '정밀 의료' 분야에 집중될 것이라는 피치북(PitchBook) 보고서 18와 정확히 일치합니다. 보로노이는 글로벌 자금이 찾는 바로 그 비즈니스 모델을 가지고 있습니다.
  • 테마 2: 4세대 폐암 치료제 (차세대 항암제)
  • 주력 파이프라인 VRN11은 3세대 치료제 '타그리소'의 내성(C797S)을 극복하는 4세대 표적 치료제입니다.12 타그리소는 연간 수십억 달러의 매출을 올리는 블록버스터 약물입니다. 이 약물의 '내성'을 해결하는 약물은 즉시 수십억 달러 규모의 시장(Targriso-resistant market)을 확보하게 됩니다.
  • 테마 3: 뇌전이암 치료제 (Brain Metastasis)
  • 이는 VRN11의 가장 차별화된 경쟁력입니다. 다수의 자료 5는 VRN11이 '우수한 뇌 투과율(BBB 투과율)'을 가졌다고 반복해서 강조합니다. 비소세포폐암 환자의 상당수는 뇌로 암이 전이되며, 기존 치료제는 BBB 장벽 때문에 뇌에서 효과를 발휘하기 어렵습니다. 10월 23일 발표에서 VRN11은 뇌전이(BM) 또는 연수막전이(LM)가 동반된 환자 11명 모두에게서 질병통제율(DCR) 100%를 확인시켰고, 뇌척수액(CSF) 내 약물 농도(Kpuu)가 200%에 달해 5 뇌 투과성을 임상적으로 입증했습니다. 이는 VRN11이 '세계 최초/최고(First/Best-in-Class)' 12의 뇌전이암 치료제가 될 가능성을 연 것입니다.

4. 25년 11월 15일 주가를 예측한다.

현재가 196,000원 (2025년 10월 31일) 기준, 2025년 11월 15일의 예측 주가는 다음과 같습니다.

2025년 11월 15일 목표 주가: 235,000원

5. 주가를 예측할 때 주가의 상승 또는 하락의 원인을 요약하여 설명한다.

지나친 낙관론을 배제하고 객관적인 근거에 기반하여 목표 주가 235,000원을 산출했습니다. 이는 52주 최고가(219,000원)를 경신하는 수준이며, 그 근거는 다음과 같습니다.

주가 상승 요인 (Upside Factors)

  1. (결정적) VRN11의 압도적인 임상 1a상 데이터 5: 10월 23일 발표된 데이터는 시장의 기대를 상회했습니다.
    • C797S 변이 환자 4명 중 3명(75%)에서 부분관해(PR).
    • 뇌전이/연수막전이 환자 11명 전원(100%) 질병통제율(DCR).
    • 높은 뇌 투과율(Kpuu 200%) 임상적 입증.
    • 400mg 고용량까지 3등급 이상 중증 부작용(SAE) 0건 (우수한 내약성).
    • 이는 '약효'와 '안전성'을 모두 잡았음을 의미하며, 특히 뇌전이 데이터는 경쟁사 대비 명백한 우위입니다. 이는 임상 1b/2상 성공 가능성 및 '가속 승인(Accelerated Approval)' 5 가능성을 극도로 높였습니다.
  2. 최대주주 오버행 리스크 완전 해소 8: 2025년 9월, 시장을 짓누르던 김현태 대표의 400억 원 규모 주식담보대출 만기 연장 불가 리스크는, 메리츠증권 및 키움증권과의 대환대출 8을 통해 '완전히' 해소되었습니다. 이는 반대매매라는 최악의 기술적 리스크가 사라졌음을 의미하며, 주가 안정성의 핵심 기반입니다.
  3. 글로벌 투자 환경의 우호성 18: 앞서 언급했듯, 2025년 글로벌 VC 및 빅파마는 'AI 플랫폼'과 '임상 2상(Phase 2) 단계 자산'을 적극적으로 찾고 있습니다. VRN11은 이제 막 1b/2상 5에 진입하며, 가장 매력적인 M&A 또는 L/O 타겟이 되었습니다.

주가 하락/제한 요인 (Downside Factors)

  1. "뉴스에 팔아라 (Sell on the News)" 단기 위험: 10월 23일 AACR이라는 가장 큰 이벤트 5가 소멸되었습니다. 최근 며칠간의 하락 1에서 보듯이 단기 차익 실현 매물이 출회될 수 있으며, 현재 주가는 이러한 매물을 소화하는 과정일 수 있습니다.
  2. L/O 계약의 본질적 불확실성 13: 모든 기술이전 계약은 임상 실패, 규제 당국 허가 실패 시 해지될 수 있습니다.13 실제로 보로노이는 2022년 메티스(METiS)와 체결했던 'VRN14' 계약이 최근 해지(권리 반환)된 경험이 있습니다.17
  3. 높은 시가총액(Valuation) 부담 2: 현재 시가총액 3.53조 원은 이미 L/O 성공에 대한 높은 기대감이 반영된 수치입니다. VRN11의 임상 1b/2상에서 사소한 문제라도 발생하거나 L/O 협상이 지연될 경우, 밸류에이션 부담이 부각될 수 있습니다.

종합 결론

하락 요인(L/O 실패 이력, 밸류에이션)은 실재하나, 상승 요인(VRN11의 압도적 데이터, CEO 리스크 해소)의 무게가 훨씬 더 큽니다. 52주 최고가 219,000원 4은 VRN11 데이터 확인 전의 기대감으로 형성된 가격입니다. 10월 23일 데이터 5는 이 기대감을 '확신'으로 바꾸기에 충분하므로, 전고점을 넘어선 235,000원을 새로운 중기 목표가로 설정하는 것이 합리적입니다.

6. 네이버 차트를 링크한다.

보로노이(310210)의 실시간 주가 및 차트 정보는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https://finance.naver.com/item/chart.naver?code=310210

7. 오늘 주가에 영향을 주었던 뉴스들.

(가상 날짜 2025년 10월 31일 기준)

오늘 주가는 196,000원으로 +0.35% 상승 마감했습니다.1 이는 어제(-3.79%), 그제(-2.16%)의 하락세가 멈추고 보합권에서 안정화되는 모습입니다.1

오늘자 특별한 신규 뉴스는 없습니다. 현재 주가 움직임 1은 특정 '뉴스'에 의한 것이 아니라, 10월 23일 발표된 'AACR-NCI-EORTC 2025'의 VRN11 임상 데이터 5라는 '메가톤급 재료'를 시장이 소화하는 과정입니다.

재료 노출 5 직후 급등했던 주가가 차익 실현 매물로 인해 조정을 받았고(10/28~10/30 하락 1), 오늘(10/31) 비로소 '데이터의 가치'를 인정하는 저가 매수세가 유입되며 하방 경직성을 보인 것입니다. 즉, 오늘은 '뉴스 공백기 속 숨 고르기' 장세입니다.

8. 25년 11월 15일 주가를 예측할 때 대략적인 가격대를 산출한다.

2025년 11월 15일 기준, 예측 주가 235,000원을 중심으로 한 대략적인 가격대는 다음과 같습니다.

예상 가격대 (Price Band): 215,000원 ~ 250,000원

  • 근거: 52주 최고가인 219,000원 4이 1차 저항선으로 작용했으나, VRN11 데이터 5의 가치를 고려할 때 이 가격대는 강력한 '지지선'으로 바뀔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215,000원 선을 하단으로, 기술적/심리적 저항선인 250,000원을 상단으로 하는 새로운 박스권 형성을 예상합니다.

9. 주가의 최저점과 최고점을 추정할 때 예측 확률(%)도 표시한다.

2025년 11월 15일을 기준으로, 세 가지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한 확률적 추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이 시나리오 분석은 투자자가 스스로 위험을 관리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를 제공합니다.

시나리오 핵심 변수 (Key Variable) 2025/11/15 예상 주가 예측 확률
낙관적 (Optimistic) VRN11의 조기 L/O 루머 발생 또는 글로벌 IB의 긍정적 리포트 발간 280,000원 (최고점) 20%
중립적 (Base Case) AACR 데이터 가치 반영 및 차기 이벤트(1b/2상 진행) 대기. (기본 예측) 235,000원 (목표가) 50%
비관적 (Pessimistic) 'Sell on the News' 차익 실현 매물 지속 출회. 시장 전체의 투자 심리 위축. 185,000원 (최저점) 30%
  • 최저점 근거 (185,000원): 10월 10일 발행된 360억 교환사채(EB)의 1주당 교환가액이 약 180,000원입니다.9 이는 기관 투자자들이 인정한 가격으로, 강력한 심리적/기술적 지지선입니다. 비관적 시나리오에서도 이 가격대는 쉽게 무너지지 않을 것입니다.
  • 최고점 근거 (280,000원): AACR에서 발표된 데이터 5는 빅파마의 즉각적인 관심을 끌기에 충분합니다. L/O 논의가 급물살을 탄다는 루머만으로도 250,000원을 가볍게 돌파할 수 있습니다.

10. 향후 일주일 동안 예상되는 저점.

일주일 예상 저점: 190,000원

  • 근거: 현재 196,000원이며 1, 10월 30일 저점 195,300원 1을 기록했습니다. 단기 조정이 조금 더 이어진다면 190,000원 라운드 피겨에서 기술적 지지를 받을 것입니다. 180,000원(EB 발행가9)이라는 강력한 하방 지지선이 존재하므로 급격한 하락보다는 190,000원~195,000원 사이에서의 지지력 테스트가 예상됩니다.

11. 향후 일주일 동안 예상되는 고점.

일주일 예상 고점: 210,000원

  • 근거: 현재 AACR 5 재료 소화 과정에 있습니다. 10월 27일 기록한 211,500원 1이 단기 매물 저항선입니다. 일주일 내 이 가격대(210,000원~211,500원)를 재차 테스트하며 물량 소화를 시도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12. 현재 외국인의 평균 매수 가격대.

외국인 평균 매수 가격대(추정): 185,000원 ~ 195,000원

  • 추정 근거: (라이브 수급 데이터 부재로 인한 추론) 외국인은 '이벤트 드리븐(Event-driven)' 및 모멘텀 추종 성향이 강합니다.
    1. 9월 CEO 리스크 8 해소 시 16만 원 후반대에서 1차 매집.
    2. 10월 23일 AACR 5 발표를 전후로 가장 공격적으로 추격 매수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3. 따라서 이들의 평균 단가는 180,000원(EB 발행가)보다는 높고 현재가(196,000원)보다는 낮은 185,000원~195,000원 구간에 집중되어 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13. 현재 기관의 평균 매수 가격대.

기관 평균 매수 가격대(추정): 175,000원 ~ 180,000원

  • 추정 근거: 기관, 특히 연기금이나 장기 펀드는 최근의 가장 큰 물량을 10월 10일 360억 원 규모의 교환사채(EB) 발행 9을 통해 확보했을 가능성이 큽니다.
    • 이 EB의 교환가액은 약 180,000원입니다.9
    • 또한, CEO 리스크 8로 주가가 16~17만 원대에 머무를 때(9월), 리스크 해소를 예상하고 선제적으로 물량을 담았을 수 있습니다.
    • 따라서 기관의 핵심 평균 단가는 180,000원에 수렴하며, 이는 현재 주가(196,000원)의 강력한 지지선 역할을 합니다.

14. 현재 세력들의 평균 매수 가격대.

  • '세력'을 '정보에 빠른 스마트 머니 또는 장기 보유 주주'로 정의합니다.

세력 평균 매수 가격대(추정): 160,000원 ~ 180,000원

  • 추정 근거:
    1. 제 1 세력 (장기 투자자): 52주 최저가 63,000원 4 부근에서 매집한 초기 투자자들입니다.
    2. 제 2 세력 (스마트 머니): 2025년 9월, 최대주주 담보대출 리스크 8가 정점에 달했을 때, 이것이 대환대출 8로 해결될 것을 예측하고 공포에 나온 물량을 매집한 주체입니다. 이들의 매수가는 9월 12일 52주 신고가(167,400원) 8 형성 전후인 160,000원대입니다.
    3. 제 3 세력 (신규 기관): 10월 10일 EB 9를 인수한 주체들로, 이들의 단가는 180,000원입니다.
    • 따라서 현재 주가를 핸들링하는 '주요 세력'의 평균 단가는 16만 원 ~ 18만 원 사이에 두텁게 형성되어 있습니다.

15. 향후 일주일 동안 매수, 매도 방법을 설명한다.

현재가(196,000원)는 180,000원(기관/세력 단가) 대비 이미 약 9% 상승한 지점입니다. 단기 트레이딩보다는 중기적 관점이 유효합니다.

  • 매수 전략 (신규 진입): 분할 매수
    • 1차 매수: 현재가(196,000원)는 추격 매수하기에 부담스럽습니다. 일주일 내 예상 저점인 190,000원 부근까지 조정을 기다려 30% 비중으로 1차 진입합니다.
    • 2차 매수 (안전 마진): 만약 시장이 비관적 시나리오(9번 항목)로 전개되어 180,000원~185,000원 구간까지 하락한다면, 이는 '절호의 매수 기회'입니다. 이곳은 기관(EB) 및 세력의 평균 단가 9이므로, 나머지 70% 비중을 투입합니다.
  • 매도 전략 (보유자/단기 트레이더):
    • 보유 (Hold): 핵심 투자 아이디어(VRN11) 5가 훼손되지 않았으므로, 보유자의 경우 매도 이유가 없습니다.
    • 단기 트레이딩: 일주일 내 고점인 210,000원 1 부근에서 단기 저항이 예상되므로, 비중의 20~30%를 축소하여 수익을 실현하고, 190,000원대에서 재매수하는 트레이딩은 가능합니다.
  • 손절 라인: 2차 매수 지지선이자 기관의 평균 단가인 180,000원 9이 붕괴될 경우, 단기적으로 투자 심리가 악화될 수 있으므로 비중 축소를 고려해야 합니다.

16. 해당기업의 6개월 이내 공시를 알려주고 내용을 설명한다.

최근 6개월(2025년 5월~10월)간 보로노이의 기업 가치에 영향을 준 핵심 공시는 다음과 같습니다.

  • 1. (가장 중요) 교환사채(EB) 발행용 자기주식 처분 (공시일: 2025-10-10) 9
    • 내용: 자기주식 20만 주를 교환사채 발행을 위해 주당 180,000원(총 360억 원)에 처분 결정.
    • 해설: 이는 시장에서 '악재'가 아닌 '초대형 호재'로 해석해야 합니다.
      • 자금 확보: VRN11의 임상 1b/2상 5은 미국 등지에서 수행되므로 막대한 자금이 필요합니다. 360억 원의 현금 확보로 R&D의 연속성을 담보하게 되었습니다.
      • 주가 레벨업: 더 중요한 것은 '가격'입니다. 주당 180,000원이라는 높은 가격에 360억 원을 투자하겠다는 기관(EB 인수자)이 나타났다는 것은, 이들이 보로노이의 가치를 최소 180,000원 이상으로 평가했음을 의미합니다. 이는 주가의 강력한 지지선(Floor Price)을 형성합니다.
  • 2. Anvia Therapeutics의 VRN4 옵션 행사 및 자산매매계약 체결 (공시일: 2025-09-18) 9
    • 내용: 미국 안비아 테라퓨틱스(Anvia)가 VRN04 프로그램(자가면역질환)에 대한 옵션을 행사하여 자산매매계약 체결. 선급금 300만 달러, 총 마일스톤 1,150만 달러 및 3% 로열티 수취.9
    • 해설:
      • 플랫폼 검증: 이는 보로노이의 '보로노믹스' 플랫폼 11이 항암제(VRN11)뿐만 아니라 자가면역 질환(VRN04) 분야에서도 경쟁력 있는 후보물질을 도출해냈음을 의미합니다.
      • 파트너의 신뢰: 안비아는 미국 유수의 헬스케어 투자사 '디어필드(Deerfield)'가 설립한 바이오텍입니다.14 이러한 전문 투자사가 옵션을 '행사'했다는 것은 VRN04의 초기 데이터를 매우 긍정적으로 평가했음을 의미합니다.
  • 3. (참고) 기술이전 계약 해지 (공시일: 2025-09-26) 17
    • 내용: 2022년 9월 미국 메티스(METiS) 테라퓨틱스와 체결했던 pan-RAF 저해제(VRN14) 기술이전 계약 해지 (권리 반환).
    • 해설: 이는 표면적인 악재이나, 시장은 이미 VRN11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VRN14 19와 VRN04 9의 사례에서 보듯, 신약 개발 플랫폼 비즈니스는 다수의 L/O 시도와 일부 실패, 그리고 일부 성공이 반복되는 과정임을 이해해야 합니다.

17. 해당 기업의 최신 뉴스 링크(3개)한다.

보로노이의 현재 주가를 움직인 3대 핵심 이슈는 'VRN11 임상', 'CEO 리스크', 'AI 기술력'입니다.

  1. ** 보로노이 "VRN11, 뇌전이 환자 치료 효과 우수성 입증" (AACR-NCI-EORTC 2025 발표)**
  2. [AI 기술력 부각] AI 신약 개발 '청신호'… 보로노이·로킷헬스케어 잇단 임상 성공
  3. [CEO 리스크 해소] 보로노이, 최대주주 담보대출 리스크 해소... 52주 신고가
    • 내용: 9월 주가 상승을 이끈 최대주주(김현태 대표)의 400억 원 담보대출 대환 8 성공 및 반대매매/오버행 우려 완전 해소.8
    • 링크: https://v.daum.net/v/20250912111822556 8

18. 향후 산업 전망 및 기업의 실적, 향후 수주를 추정한다.

향후 산업 전망

  • AI 신약 개발: 2025년은 AI 신약 개발 분야의 '개화기'입니다. 글로벌 VC들은 'AI 플랫폼' 자체보다, 그 플랫폼이 도출해낸 '검증된 자산(Proven Asset)'에 집중 투자하고 있습니다.18 특히 M&A와 IPO보다 '엑시트(Exit)', 즉 빅파마로의 L/O 또는 인수를 선호하는 추세입니다.18
  • 표적 항암제: 2026년 1,128억 달러(약 140조 원) 규모의 시장 15으로, 바이오 의약품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할 것입니다.
  • 최적의 포지셔닝: 보로노이는 VC가 가장 선호하는 'AI 플랫폼'과 '임상 2상 단계 자산(VRN11)' 18을 보유하고 있으며, 가장 큰 시장인 '표적 항암제' 15 분야에 속해 있습니다. 이는 빅파마의 L/O 및 M&A 1순위 타겟임을 의미합니다.

기업 실적 추정 (2026년)

  • 영업 실적: 2026년에도 VRN11의 임상 1b/2상 5 진행으로 막대한 R&D 비용이 발생하여 영업 적자가 지속될 것입니다. 실적(영업이익)은 이 기업의 투자 포인트가 아닙니다.
  • 현금 실적 (마일스톤): VRN04 9 등 기존 L/O 계약에서 소규모 마일스톤 유입은 가능하나, 재무제표를 흑자로 전환시킬 규모는 아닙니다.

향후 수주 (L/O) 추정

이것이 보로노이의 모든 것입니다.

  • 타겟: VRN11 (4세대 NSCLC 치료제)
  • 시기: 2026년 (임상 1b/2상 데이터 확보 및 '가속 승인' 논의 시점)
  • 규모 (추정): 과거 초기 단계 pan-RAF 저해제가 4.8억 달러 17였습니다. 3세대 내성 및 뇌전이 문제를 해결한 VRN11 5은 비교 불가능한 가치를 지닙니다.
  • 가치 추정: 경쟁 약물인 타그리소의 내성 시장을 타겟으로 하므로, 성공 시 연간 수십억 달러의 매출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보로노이의 VRN11 L/O는 총 계약 규모(Total Deal Size) 15억~30억 달러, 계약금(Upfront Payment)만 1억 5천만~3억 달러 수준이 될 수 있습니다. 이는 현재 3.53조 원의 시가총액 2이 바로 이 '수주(L/O)'의 기대가치를 선반영하고 있습니다.

19. 그 외 해당 기업 주식을 거래하는데 참고해야 할 대외, 내외적인 상황 및 기업 현황을 설명한다.

보로노이 주식 거래 시, VRN11의 임상 데이터 외에도 반드시 고려해야 할 핵심 변수들입니다.

  • [대내적 요인 1] CEO 리스크의 완벽한 해소 8
  • 9월 최대주주 담보대출 8 리스크는 한국 바이오텍의 고질적인 '오너 리스크'였습니다. 이것이 400억 원 대환대출 8로 완벽히 해결된 것은, 주가 하방을 막던 기술적 족쇄가 풀렸다는 것 이상으로 '경영 안정성'에 대한 신뢰가 회복되었음을 의미합니다.
  • [대내적 요인 2] 안정적인 R&D 자금 확보 9
  • 10월 10일 360억 원 EB 발행은 '신의 한 수'였습니다. VRN11의 1a상 데이터 5 발표 직전에 자금을 확보함으로써, 회사는 가장 유리한 조건(180,000원)으로 임상 실탄을 마련했습니다. 이는 L/O 협상 시 빅파마에게 자금 사정으로 끌려다니지 않고 '우위'에서 협상할 수 있는 배경이 됩니다.
  • [대외적 요인 1] 글로벌 바이오 투자 심리 회복 18
  • 2023~2024년의 바이오 혹한기는 끝났습니다. 2025년 글로벌 VC 투자가 반등하고 있으며 18, 특히 생명과학 경영진의 77%가 M&A 증가를 예상하고 있습니다.18 이는 VRN11과 같은 우량 자산(A-grade Asset)의 가치가 더욱 높아지는 '셀러스 마켓(Seller's Market)'이 도래했음을 의미합니다.
  • [대외적 요인 2] 경쟁 파이프라인 동향 (유일한 리스크)
  • VRN11이 'Best-in-Class' 12를 주장하지만, 얀센(Janssen) 12, 일라이 릴리, 로슈, 화이자 9 등 글로벌 거대 기업들도 4세대 EGFR TKI를 개발 중입니다. 보로노이는 이들과의 '속도전'에서 승리해야 합니다. VRN11의 임상 1b/2상 5이 지연되거나, 경쟁사가 더 우월한 데이터를 발표하는 것이 유일한 리스크입니다.

최종 투자 의견 요약

보로노이는 2025년 10월 말을 기점으로 (1) 과학적 리스크(VRN11 데이터 입증5), (2) 재무적 리스크(EB 자금 확보9), (3) 경영적 리스크(CEO 담보대출 해소8)라는 3대 불확실성을 모두 해소했습니다.

현재 주가 196,000원은 이 모든 호재가 반영되어 가는 과정입니다. 180,000원이라는 강력한 지지선이 확인되었으므로, 단기 조정 시(190,000원 이하)는 '매수' 관점으로 접근하는 것이 유효합니다.

투자의 핵심은 이제 'VRN11이 성공할까?'가 아니라, '언제, 얼마에 기술이전(L/O) 될까?'로 옮겨갔습니다. 2026년 대형 L/O라는 이정표를 향해 나아가는 확신의 구간에 진입했습니다.


(법적 고지: 본 보고서는 투자 참고 자료이며, 투자 결정에 따른 모든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