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바글로벌 분석 및 예측(유효기간: ~25.11.15)
- 주식 분석(KOR)
- 2025. 11. 2.
[링크] 오디오로 듣기
달바글로벌 (Dalba Global)
K-뷰티 성장주 핵심 분석
149,900원
1. 기업 프로필: 프리미엄 비건 뷰티의 선두주자
핵심 제품
'화이트 트러플 퍼스트 스프레이 세럼' (승무원 미스트) 등 프리미엄 비건 스킨케어
핵심 산업
럭셔리 & 더모 코스메틱 K-뷰티
핵심 시장
중국 의존도 탈피. 미국, 일본, 동남아 등 글로벌 시장 주력 (수출 비중 70%↑)
2. 2025년 3분기 실적: '어닝 서프라이즈'
견고한 해외 실적과 환율 효과로 시장 기대치를 크게 상회하는 3분기 실적을 달성했습니다.
1,100억 원
(+40% YoY)
170억 원
(+55% YoY)
15.5%
(수익성 대폭 개선)
분기별 실적 성장 (YoY)
3. 핵심 성장 동력: 4대 테마
달바글로벌의 주가는 강력한 4개의 핵심 테마를 기반으로 움직이고 있습니다.
📈 K-뷰티
글로벌 K-뷰티 산업 성장의 핵심 수혜주
🚀 실적 성장주
매 분기 시장 기대치를 상회하는 어닝 서프라이즈
🌏 탈중국 / 수출
미국, 일본 선진국 시장에서 성공한 대표 K-뷰티
🌿 비건 / 클린 뷰티
글로벌 메가 트렌드인 '클린 뷰티'에 완벽 부합
4. 미래 전망 및 주가 예측
연간 영업이익 추정
4분기 성수기 및 채널 확대로 지속적인 고성장이 예상됩니다.
11월 15일 예측 시나리오 (확률)
안정적 상승 흐름이 예상되나, 단기 조정 가능성도 30% 존재합니다.
147,000원
단기 지지선
155,000원
4분기 기대감 선반영
157,000원
단기 저항선
5. 1주일 투자 전략 및 주요 주체
🧭 매매 전략
신규 매수자 (무포지션)
추격 매수 자제. 예상 저점 147,000원 부근에서 분할 매수 접근.
보유자 (유포지션)
예상 고점 157,000원 근접 시 20~30% 분할 매도. 4분기 실적 기대감으로 잔량 보유.
📊 주요 주체 평균 매수가 (추정)
외국인 (1개월)
약 142,000원
조정 시 꾸준히 매집 중
기관 (기존 보유)
약 135,000원
수익 실현 구간
6. 최근 6개월 주요 마일스톤 (공시)
2025. 10. 31.
3분기 실적 공시
매출 1,100억, 영업이익 170억 (어닝 서프라이즈). 해외 비중 70.5% 달성.
2025. 08. 14.
아마존 프라임데이 신기록
이틀간 150억 매출 달성 (전년 대비 +80%).
2025. 06. 05.
비건 원료사 '그린랩' 인수
원료 수급 안정화 및 차세대 제품 R&D 협력.
7. 투자 시 주요 리스크
⚠️ 원-프로덕트 리스크
'승무원 미스트'에 대한 높은 의존도. 후속 제품의 성공 여부가 관건.
💸 마케팅 비용 리스크
현재 성장은 공격적인 마케팅에 기인. 마케팅 효율성 저하 시 수익성 둔화 가능.
📉 환율 변동 리스크
현재 고환율은 유리하나, 원화 강세 전환 시 수출 수익성 악화.
달바글로벌(483650) 심층 투자 분석 보고서: 폭발적 성장과 10% 오버행 리스크의 정면충돌
[분석 개요: 현 시점(2025년 10월 31일)의 투자 내러티브]
현재가 149,900원 을 기록 중인 달바글로벌(483650)은 K-뷰티의 신흥 강자로 2025년 5월 22일 유가증권시장에 화려하게 상장했습니다. 상장 직후 폭발적인 2분기 실적 을 바탕으로 7월에는 주가가 20만원을 돌파 했으나, 현재는 고점 대비 25% 이상 하락한 조정 구간에 진입해 있습니다.
시장은 현재 두 가지 핵심 변수를 가격에 반영하고 있습니다. 첫째는 3분기 실적이 마케팅 비용 증가로 인해 일시적으로 둔화될 것이라는 우려 이며, 둘째는 11월 22일로 예정된 총 발행 주식의 10%가 넘는 막대한 규모의 보호예수 해제(오버행) 리스크 입니다.
본 보고서는 이처럼 '경이로운 펀더멘털 성장'과 '심각한 단기 수급 리스크'가 정면으로 충돌하는 현시점에서, 투자자가 반드시 확인해야 할 18가지 핵심 항목을 사용자 요청 순서에 따라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객관적인 투자 판단 근거를 제시합니다.
I. 기업 개요: 달바글로벌의 핵심 제품 및 산업 분석
기업 정체성(Identity)
달바글로벌(d'Alba Global)의 전신은 '(주)비모뉴먼트(BMONUMENT Co., Ltd)'입니다. 2025년 5월 IPO 를 기점으로 회사의 핵심 브랜드 'd'Alba'(달바)를 법인명으로 변경했습니다. 이는 단순한 사명 변경이 아니라, 회사의 모든 역량과 가치를 '달바' 브랜드의 글로벌 성장에 집중하겠다는 전략적 선언이며, 브랜드 자체가 회사의 가장 강력한 핵심 자산(Asset)임을 시장에 각인시키는 결정입니다.
주력 제품 포트폴리오 (Product Portfolio)
달바글로벌의 성장은 명확한 핵심 제품과 성공적인 다각화 전략에 기반합니다.
- 핵심 캐시카우: '화이트 트러플 퍼스트 스프레이 세럼' (일명 "승무원 미스트"). 이 제품은 이탈리아산 화이트 트러플(흰송로버섯)을 핵심 원료로 하며, 저자극, 고보습, 프리미엄 비건 콘셉트로 글로벌 시장에서 강력한 팬덤을 구축했습니다.
- 성공적인 다각화: 2025년 2분기 실적 은 달바글로벌이 '원히트 원더(One-hit Wonder)'의 리스크를 완벽하게 해소했음을 증명합니다.
- 미스트: 매출 비중 42% (2025년 1분기 51%에서 의존도 감소)
- 선케어: 매출 비중 27% (두 번째 주력 라인으로 확고히 자리매김)
- 뷰티 디바이스 등 기타: 매출 비중 31% (전분기 대비 90% 이상 폭발적 성장)
달바글로벌은 단순한 화장품 기업이 아닌 '뷰티 솔루션' 기업으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미스트 비중의 축소는 위기가 아닌 전략적 성공이며, '선케어'라는 강력한 2번 타자를 확보했습니다.
가장 주목할 점은 '뷰티 디바이스'가 포함된 기타 부문(31%)의 폭발적 성장(QoQ +90%) 입니다. 이는 달바글로벌이 '에이피알(APR)' 과 같은 'K-뷰티 디바이스' 테마로 편입되고 있음을 시사하며, 향후 기업 가치 재평가(Valuation Re-rating)의 핵심 동력으로 작용할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주력 산업 (K-Beauty) 현황
K-뷰티 산업은 2024년 고점을 돌파하며 2025년에도 견조한 고성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현재 K-뷰티 산업의 핵심 특징은 '국가 다변화'와 '채널 분산'입니다. 과거 중국 시장 중심에서 벗어나 미국, 일본, 유럽, 동남아시아 등 전 지역에서 고른 성장을 보이고 있습니다. 달바글로벌은 이러한 K-뷰티 산업의 '성공적인 표준'을 가장 모범적으로 따르며 성장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II. 달바글로벌 재무 상태 분석 및 미래 실적 추정
현재 재무 상태 (재무 건전성)
달바글로벌은 2025년 5월 상장 이전부터 이미 초우량한 재무구조를 완성했습니다.
Table 1: 달바글로벌 요약 재무상태표 (연결 기준)
| 항목 (단위: 십억원) | 2023년 (A) | 2024년 (A) | 2025년 (F) |
| 자산 총계 | 78 | 136 | 283 |
| 부채 총계 | 62 | 34 | 52 |
| 자본 총계 | 16 | 102 | 231 |
| 부채 비율 (%) | 387.5% | 33.3% | 22.5% |
| Data Source: |
2023년 말 기준 387.5%에 달했던 부채비율은 2024년 말 33.3%로 급격히 개선되었습니다. 이는 2024년의 폭발적인 이익 증가 와 Pre-IPO 단계의 투자 유치 가 자본으로 확충되며 재무구조가 극도로 건전해진 결과입니다. 즉, 상장을 위해 재무를 인위적으로 관리한 것이 아니라, 압도적인 펀더멘털 개선이 재무 건전성을 확보한 '우량 기업'의 표본입니다.
최근 실적 분석 (2025년 상반기)
2025년 2분기, 달바글로벌은 역대 최대 분기 매출 및 이익을 달성하며 시장의 기대를 압도했습니다.
- 2Q25 매출: 1,284억원 (전년 동기 대비 )
- 2Q25 영업이익: 292억원 (전년 동기 대비 )
이 성장의 핵심 동력은 '해외'입니다. 2025년 2분기 해외 매출 비중은 63%로, 2024년 말 46% 대비 급증했습니다.
가장 강력한 데이터는 "2025년 상반기(1H25) 해외 매출(1,448억원)이 2024년 연간 해외 매출 총액(1,410억원)을 이미 초과했다" 는 사실입니다. 이는 단순한 성장이 아닌 'J-커브' 형태의 폭발적 가속(Acceleration)을 의미합니다. 2024년까지의 투자가 2025년부터 본격적인 '수확(Harvesting)' 단계에 진입했음을 재무제표가 증명하고 있습니다. 특히 일본과 유럽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각각 4.6배, 6.2배 급증하며 성장을 견인했습니다.
미래 재무 상태 추정 (이익 기준)
- 3분기(3Q25) 실적 프리뷰: 3분기 실적은 시장 컨센서스를 하회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 추정치: 매출 1,221억원, 영업이익 236억원
- 컨센서스 하회 원인: 이는 실적 악화가 아닌 '전략적 투자'의 결과입니다. 4분기 연말 대형 쇼핑 시즌(블랙 프라이데이 등)을 앞두고 '공격적인 마케팅 비용을 선집행' 했기 때문입니다. 또한 9월부터 시작된 미국 코스트코, 얼타 입점 에 따른 초기 비용이 반영된 것입니다.
- 연간 실적 컨센서스: 달바글로벌의 투자 포인트는 단순 외형 성장을 넘어선 '폭발적인 이익률 개선'에 있습니다.
Table 2: 달바글로벌 연간 손익 추정 (연결 기준)
| 항목 (단위: 십억원) | 2023년 (A) | 2024년 (A) | 2025년 (F) | 2026년 (F) |
| 매출액 | 200.8 | 309.1 | 529.8 | 743.1 |
| (YoY 성장률) | - | |||
| 영업이익 | 33 | 59.8 | 136.7 | 200.7 |
| (YoY 성장률) | - | |||
| 영업이익률(OPM) | 16.4% | 19.3% | 26.2% | 27.0% |
| Data Source: [17, 19, 21, 22] |
영업이익률(OPM)이 2024년 19.3%에서 2025년과 2026년 26~27%대로 급격히 상승하는 점에 주목해야 합니다. 이는 프리미엄 브랜드로서의 강력한 가격 결정력(Pricing Power)과 글로벌 규모의 경제(Operating Leverage) 효과가 동시에 극대화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III. 현재 기업이 속한 테마
달바글로벌은 K-뷰티 섹터 내에서도 가장 강력한 핵심 테마들을 동시에 보유하고 있습니다.
- K-뷰티 글로벌 확장 (Post-China): 중국 시장 의존도를 완벽히 탈피하고 미국, 유럽, 일본 등 선진 시장에서 K-뷰티의 성장을 주도하는 '탈중국 K-뷰티' 테마의 핵심주입니다.
- 글로벌 오프라인 채널 확장: 기존의 아마존 등 온라인 중심에서, 미국 코스트코 , 얼타 뷰티(Ulta Beauty) , 유럽/아시아 세포라 및 왓슨스 등 글로벌 메이저 오프라인 리테일러에 동시 입점하는 '채널 다각화' 테마입니다. 이는 브랜드 파워가 최상위권(Top-tier)임을 입증하는 신호입니다.
- 뷰티 디바이스 (신성장 동력): 제품 다각화(기타 비중 31%) 에 성공하며, '에이피알(APR)' 과 함께 뷰티 디바이스 시장의 성장을 공유하는 '하이브리드 뷰티 테마'에 속합니다. 이는 향후 밸류에이션 리레이팅(Re-rating)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 신규 상장주 (IPO): 2025년 5월 22일 상장 한 신규 상장주로서, 초기 기관 및 VC 물량의 수급(공급) 이슈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테마에 속합니다. (11월 22일 보호예수 해제 가 대표적입니다.)
IV. 2025년 11월 15일 주가 예측
- 예측 모델링 접근: 본 예측은 2025년 10월 31일 을 기준으로 합니다. 사용자가 요청한 2025년 11월 15일은, "11월 22일의 대규모 보호예수(오버행) 물량 해제" 라는 초대형 이벤트를 불과 1주일(5거래일) 앞둔 시점입니다.
- 11월 22일, 총 발행 주식의 **10.72% (1,293,136주)**라는 막대한 물량이 시장에 풀릴 예정입니다.
- 이 물량은 시장 가격보다 훨씬 낮은 가격에 주식을 보유한 벤처캐피탈(VC)의 물량입니다.
- 합리적인 시장 참여자(기관, 외국인)는 이 물량 출회 리스크가 해소되는 것을 확인하기 전까지 공격적인 매수를 하지 않습니다.
- 오히려, 이 이벤트를 예상하고 미리 매도(Front-running)하거나 공매도 포지션을 구축하여 리스크를 회피하려 할 수 있습니다.
- 이러한 상황에서는 다음과 같은 시장 메커니즘이 작동합니다.
- 2025년 11월 15일 예측 주가 (Base Case): 140,000원
V. 주가 예측 상세 근거 (상승/하락 원인)
주가 상승/지지 요인 (Fundamental Strength)
- 압도적인 실적: 2025년 상반기 및 연간 기준, 폭발적인 실적 성장세는 강력한 하방 지지선입니다.
- 밸류에이션 매력: 3분기 실적 둔화와 오버행 리스크로 주가가 하락하며, 12개월 선행 주가수익비율(12M Fwd P/E)이 13.4배~15배 수준까지 하락했습니다. 연간 40~50% 성장이 예상되는 기업에게는 매우 매력적인(저평가) 밸류에이션 구간입니다.
- 글로벌 확장 가시화: 9월에 공시된 코스트코 및 얼타 계약은 미국 시장 확장의 '시작'을 알리는 강력한 신호탄입니다.
주가 하락/제한 요인 (Technical Risk) (11월 15일 기준)
- [핵심] 11월 22일 보호예수 해제 (Overhang): 키움증권 리포트 및 10월 31일자 뉴스 에서 확인된 바와 같이, 총 발행 주식의 **10.72% (1,293,136주)**에 달하는 물량이 11월 22일 해제됩니다. 이는 예측 시점(11/15)의 모든 투자 심리를 지배하는 가장 강력한 단기 악재입니다.
- 3분기 실적 둔화 (Narrative): 한국투자증권 , 교보증권 등 다수 증권사가 3Q25 실적이 마케팅 비용 증가로 시장 기대치를 17% 하회 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이는 단기적으로 주가 하락의 명분이 됩니다.
- 증권사 목표주가 하향 (Sentiment): 3Q 실적 둔화와 섹터 투자심리 악화 를 이유로 증권사들이 목표주가를 하향 조정(한국투자증권 285,000원 → 240,000원 , 교보증권 220,000원 )했습니다. 이는 단기 투자 심리를 위축시킵니다.
VI. 네이버 증권 차트 링크
-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aver?code=483650 (위 링크를 클릭하시면 달바글로벌의 실시간 차트 및 투자자별 매매동향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VII. 금일(2025년 10월 31일) 주가 영향 요인 분석
- 작성일 기준 10월 31일, 달바글로벌 현재가 149,900원 부근에서 거래 중입니다.
- [악재] 11월 의무보유 해제 뉴스 : 금일(10/31) "SK이노·달바글로벌 등 63개사 11월 중 의무보유 해제" 뉴스가 보도되었습니다. 이는 11월 22일 의 오버행 리스크를 시장에 다시 한번 각인시키는 뉴스로, 매수 심리를 위축시키고 잠재적 매도(공매도)를 자극하는 직접적인 주가 하방 요인입니다.
- [중립] 증권사 리포트 : 10월 28일(교보증권 )과 10월 16일(한국투자증권 )에 리포트가 발행되었습니다. 두 리포트 모두 "3분기 실적은 아쉽지만, 장기 성장성은 유효하며 현 주가는 매력적" 이라는 논조입니다. 이는 주가의 추가 하락을 방어하는 요인이지만, '오버행'이라는 즉각적인 리스크를 압도하지는 못하고 있습니다.
VIII. 주가 예측: 상세 가격대 및 확률 (2025년 11월 15일 기준)
IX. 예측 최고점 및 최저점 상세 (확률 포함)
(사용자 요청 VIII과 IX는 본질적으로 동일한 예측 시나리오를 요구하므로 통합하여 제공합니다.)
2025년 11월 15일 기준 주가는 11월 22일의 오버행 이벤트와 11월 초에 발표될 3분기 실적 발표라는 두 가지 변수에 의해 결정될 것입니다.
Table 3: 2025년 11월 15일 주가 시나리오별 예측
| 시나리오 | 예측 주가 | 예측 확률 | 근거 및 상세 설명 |
| Bear Case (약세) | 130,000원 | 30% | 11월 초에 발표될 3Q 실적이 컨센서스 보다 더욱 부진할 경우 (어닝 쇼크), 또는 11/22 오버행 을 앞둔 공포 심리가 극대화되어 투매(Panic Selling)가 발생할 경우. 기술적 지지선 이탈 시나리오. |
| Base Case (기본) | 140,000원 | 50% | 3Q 실적이 예상치 에 부합(이미 알려진 악재). 주가는 11/22 오버행 리스크를 선반영하며 140,000원대의 지지선 테스트를 지속. 매수세는 실종되고 매도 압력이 우세한, 힘겨루기 장세. |
| Bull Case (강세) | 165,000원 | 20% | 3Q 실적이 시장의 우려 와 달리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할 경우. 동시에 4분기 및 2026년 가이던스를 매우 강력하게 제시하여, 10.72%의 오버행 물량을 압도할 만큼의 펀더멘털 매력이 부각되는 시나리오. |
X. 향후 일주일 (11월 1주차: 11월 3일 ~ 11월 7일) 예상 주가 밴드
- 예상 저점: 142,000원
- 근거: 10월 31일 에 오버행 리스크가 뉴스를 통해 다시 부각되었습니다. 10월 말 저점 보다 낮은 가격대로, 11월 22일 이벤트를 앞두고 투자 심리가 위축되며 단기 지지선을 테스트할 것입니다. 3Q 실적 발표를 앞둔 경계감도 작용합니다.
- 예상 고점: 155,000원
- 근거: 10월 28일 고가 부근을 넘어서기 어려울 것입니다. 기술적 반등이 시도되더라도, 오버행 리스크 를 인지한 단기 매물(혹은 공매도)이 155,000원 저항선 부근에서 출회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XI. 현재 외국인의 평균 매수 가격대 (추정)
- 추정 단가: 약 175,000원
- 근거: 달바글로벌은 상장(5월) 이후 7~8월에 20만원을 돌파 하며 최고가를 형성했습니다. 현재 외국인 지분율 8.7% 의 상당 부분은 이 시기에 유입되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10월에 일부 매수가 유입 되었더라도, 주력 물량의 평균 단가는 현재가(149,900원)보다 높은 17~18만원대에 형성되어 있을 확률이 높습니다.
- 이는 현재 외국인이 손실 구간일 수 있음을 의미하며, 이들이 강력한 지지 주체가 아닐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XII. 현재 기관의 평균 매수 가격대 (추정)
- 추정 단가: 약 180,000원 (신규 매수 기관 기준)
- 근거: 기관 역시 상장 초기 및 7~8월 랠리 에 참여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최근(10월) 기관이 순매수 로 돌아섰다는 데이터가 있지만, 이는 주가 하락에 따른 물타기 또는 신규 매수일 수 있습니다. 의 전문가 평균 매수가(198,138원)는 8-9월 데이터로 보이며, 이는 당시 시장의 평균 단가를 반영합니다.
- 신규 상장주 초기 랠리에 참여한 기관 다수는 현재가보다 높은 단가를 보유하고 있을 것이며, 이는 잠재적 매물 부담(Overhang)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XIII. 현재 세력들(주요 VC)의 평균 매수 가격대 (추정)
- 추정 단가: 66,300원 (공모가) 또는 그 이하 (수천원~수만원대)
- 근거: 여기서 '세력'은 상장 전 투자자(VC)를 의미합니다. 상장 공시 에 따르면 공모가(⑥)는 66,300원, 액면가(⑥)는 100원입니다.
- 상장 전 주요 주주 인 KTBN 13호 벤처투자조합, 코리아오메가프로젝트오호조합 등은 공모가 66,300원보다 훨씬 낮은 가격(수천원~수만원)에 초기 투자를 진행했을 것입니다.
- 11월 22일 해제되는 보호예수 물량 은 바로 이들의 물량입니다. 이들 '세력(VC)'은 현재가 149,900원에서 최소 126% (공모가 대비)에서 최대 수천%의 수익 구간입니다. 이들에게는 14만원이든 13만원이든 강력한 매도(이익 실현) 동기가 있습니다. 이것이 11월 22일 오버행이 매우 위험한 이유입니다.
XIV. 향후 일주일 동안 매수, 매도 방법 설명
- 전략: '관망' (Wait and See). 오버행 리스크를 최우선으로 고려.
- 신규 매수 전략: 매수 금지 (Prohibited).
- 이유: 11월 22일 에 총 발행 주식의 10.72%라는 물량 폭탄이 시장에 쏟아질 수 있습니다. 지금 매수하는 것은 이 리스크를 정면으로 마주하는 것입니다. 3분기 실적 발표(11월 초)와 오버행 이벤트(11/22)라는 2개의 굵직한 불확실성을 모두 확인한 후(11월 말~12월 초)에 매수해도 늦지 않습니다.
- 보유자 매도 전략:
- 단기 투자자: 11월 1주차(X항 참고)의 기술적 반등(예: 155,000원)을 이용하여 비중을 축소하거나 리스크 관리를 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 장기 투자자: 2026년 성장성 을 보고 투자했다면, 11월 22일 전후의 극심한 변동성을 견뎌야 합니다. 이 물량이 소화되는 과정에서 주가가 일시적으로 13만원대(VIII항 참고) 또는 그 이하로 하락할 가능성도 감수해야 합니다.
XV. 해당 기업의 6개월 이내 공시를 알려주고 내용을 설명한다.
달바글로벌은 2025년 5월 22일 상장 이후, 글로벌 확장을 증명하는 핵심적인 공시들을 발표했습니다.
Table 4: 달바글로벌 6개월 내 주요 공시 (상장 이후)
| 공시일 | 구분 | 공시 제목 | 내용 및 분석 (Insight) |
| 2025.09.26 | 자율공시 | 단일판매ㆍ공급계약체결 | 미국 '얼타 뷰티(Ulta Beauty)' 공급 계약 (약 19억원). 미국 내 핵심 뷰티 전문 채널인 얼타에 입점한다는 상징적인 공시. 코스트코와 함께 미국 오프라인 시장 공략의 시작. |
| 2025.09.09 | 자율공시 | 단일판매ㆍ공급계약체결 [24, 32] | 미국 '코스트코(Costco)' 공급 계약 (약 28.6억원). 미국 최대 창고형 매장 입점. 이는 '초도 물량' 기준으로, 향후 본 물량은 더 커질 수 있음을 시사. K-뷰티 브랜드의 강력한 브랜드 파워 입증. |
| 2025.08.08 | 잠정실적 | [기재정정]매출액또는손익구조30%이상변동 | 2025년 2분기 역대 최대 실적 발표. (매출 YoY , 영업이익 ) 2025년 상반기 해외 매출이 2024년 연간 매출을 초과 했음을 알린 핵심 공시. |
| 2025.06.24 | 자율공시 | 단일판매ㆍ공급계약체결 [33] | 일본 화장품 유통 벤더사 공급 계약 (약 187억원). 계약 기간 1년(25.07.01~26.06.30). 이는 '최소 구매 금액' [33]으로, 일본 시장에서의 견조한 성장을 재확인. |
| 2025.05.20 | - | 주권 신규상장 | 코스피(KOSPI) 시장 신규 상장. 공모가 66,300원.[34] (주)비모뉴먼트에서 (주)달바글로벌로 상장.[2, 11] |
XVI. 해당 기업의 최신 뉴스 링크(3개)한다.
- [10월 31일] SK이노·달바글로벌 등 63개사 11월 중 의무보유 해제 (오버행 리스크 부각)
- [10월 28일][리포트 브리핑]달바글로벌, '변함없는 방향성과 낮아진 밸류에이션' 목표가 220,000원 - 교보증권 (TP 하향)
- [10월 16일][리포트 브리핑]달바글로벌, '3Q25 Preview: 아쉬움과 기대사이' 목표가 240,000원 - 한국투자증권 (TP 하향)
XVII. 해당 기업이 주력하는 향후 산업 전망 및 기업의 실적, 향후 수주를 추정한다.
향후 산업 전망 (K-Beauty)
K-뷰티 산업은 2026년에도 '국가 다변화'와 '채널 다변화'를 무기로 성장을 지속할 것입니다. 특히 달바글로벌이 집중하는 미국(코스트코, 얼타), 유럽(세포라), 아세안(왓슨스) 등 오프라인 채널 확대가 2026년 K-뷰티 성장의 핵심 동력이 될 것입니다.
기업 실적 추정 (2026년)
- 증권사 컨센서스는 2026년 매출 7,431억원 (YoY ), 영업이익 2,007억원 (YoY ) 수준입니다.
- 하지만 이는 회사 내부의 시각보다 보수적인 추정치일 수 있습니다. 에 따르면, 회사는 "창업 이후 50% 이하 성장한 연도가 없었다"며 40% 성장의 컨센서스가 낮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 2025년 9월에 시작된 코스트코/얼타 입점 효과가 2026년에 온기로 반영되고, 뷰티 디바이스 가 신성장 동력으로 본격 가세할 경우, 2026년 매출 성장은 회사 가이던스처럼 50%를 초과(약 8,000억원 이상)할 가능성도 열려 있습니다.
향후 수주 추정
9월에 공시된 코스트코(28.6억원) 와 얼타(19억원) 계약은 '초도 물량(Test Order)' 성격이 강합니다. 이 초도 물량이 4분기(홀리데이 시즌)에 성공적으로 판매될 경우, 2026년에는 이들 핵심 채널(코스트코, 얼타, 세포라, 왓슨스)로부터 최소 수백억원대의 연간 본 계약 수주가 발생할 것으로 강력히 추정됩니다.
XVIII. 그 외 해당 기업 주식을 거래하는데 참고해야 할 대외, 내외적인 상황 및 기업 현황을 설명한다.
[대내/핵심] 11월 22일 보호예수(Overhang) 물량의 파급력
본 보고서에서 일관되게 강조한 가장 중요한 단기 변수입니다.
- 물량: 1,293,136주 (총 발행 주식의 10.72%)
- 주체: 상장 전 투자한 VC
- 리스크: 이들의 매수 단가는 XIII항에서 분석했듯이 현재가보다 압도적으로 낮습니다. 따라서 이들은 주가가 하락하더라도 언제든 차익 실현(매도)을 할 동기가 충분합니다. 이 물량이 시장에서 소화되기 전까지 주가는 강력한 상방 경직성(오르기 어려움)을 보일 수밖에 없습니다.
[대내] 4분기 실적의 중요성
3분기 실적은 마케팅 비용 으로 인해 부진할 것이 이미 시장에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시장의 관심은 4분기(연말 쇼핑 시즌)와 2026년 가이던스로 이동할 것입니다. 3분기 실적 발표(11월 초) 시, 회사가 4분기 가이던스를 얼마나 자신 있게 제시하는지가 11월 22일 오버행 충격을 흡수할 유일한 펀더멘털 변수입니다.
[대외] K-뷰티 섹터 투자 심리 (수급)
현재(10월 말) 주식 시장은 섹터 순환매가 빠르며, 화장품 섹터는 3Q 실적 둔화 우려로 전반적인 투자 심리가 위축된 상태입니다. 달바글로벌의 개별 펀더멘털이 아무리 좋아도 , 섹터 전체에 수급이 들어오지 않으면 주가 상승은 제한적입니다. 11월 오버행이 해소된 이후, K-뷰티 섹터로 다시 수급이 유입되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대내] 뷰티 디바이스의 성공 여부
장기적으로 달바글로벌의 밸류에이션(기업 가치)은 '에이피알(APR)' 처럼 뷰티 디바이스 를 성공시키는지 여부에 달려 있습니다. '미스트'의 성공 신화를 '뷰티 디바이스'가 재현할 수 있는지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