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릭스(226950): 플랫폼 가치 검증과 2026년 흑자 전환의 서막
- 주식 분석(KOR)
- 2025. 11. 12.
[링크] 오디오로 듣기
올릭스 (244460) 심층 분석
네이버 금융핵심 테마 1: 파이프라인 가치
핵심 파이프라인 OLX101A(비대흉터)의 2상 데이터 발표 기대감이 주가에 선반영되고 있습니다. 데이터 유효성 입증 시 플랫폼 기술(asiRNA)의 가치가 재평가될 것입니다.
핵심 테마 2: 기술이전(L/O) 기대감
글로벌 빅파마와의 기술이전 논의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특히 안과 질환 및 간질환 타겟 파이프라인에 대한 관심이 높으며, 계약 성사 시 대규모 마일스톤 유입이 예상됩니다.
핵심 테마 3: RNAi 시장 개화
RNAi 치료제 시장이 본격적으로 개화하며 관련 플랫폼 기술을 보유한 기업들의 가치가 동반 상승 중입니다. 올릭스의 asiRNA 플랫폼은 기존 siRNA의 단점을 보완한 기술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핵심 사업 및 파이프라인
올릭스는 RNA 간섭(RNAi) 기술 기반 신약 개발 기업으로, 독자적인 asiRNA (비대칭형 siRNA) 플랫폼 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 기술은 기존 RNAi 치료제 대비 높은 안정성과 효율성을 목표로 하며, 비대흉터, 안과 질환, 간 질환 등 다양한 적응증을 타겟으로 파이프라인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파이프라인 비중 (2025년 기준)
기회 및 위기 요인
📈 기회 (Opportunities)
- 독보적인 asiRNA 플랫폼 기술 보유
- OLX101A 2상 데이터 발표 임박
- 다수의 글로벌 빅파마와 L/O 논의
- RNAi 시장의 구조적 성장 수혜
⚠️ 위기 (Risks)
- 임상시험 실패 및 지연 가능성
- 높은 R&D 비용으로 인한 현금 소진
- 기술이전 계약의 불확실성
- 경쟁사 대비 상용화 속도
재무 상태 및 2026년 실적 추정
현재 R&D 단계 기업으로, 의미 있는 매출은 발생하지 않으며 R&D 비용으로 인한 영업손실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현금 보유액은 약 800억 원으로, 향후 1.5~2년 간의 R&D 활동이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2026년 실적은 기술이전 성과에 따라 극명하게 갈릴 것입니다.
연간 재무 추이 (단위: 억 원)
2026년 시나리오별 매출 추정
증권사 목표주가
증권사들은 플랫폼 가치와 L/O 가능성을 높게 평가하며 긍정적인 목표주가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현재가: 20,000원)
수급 분석 (최근 3개월)
주요 주체별 평균 매수 단가입니다. 외국인과 기관의 매수세가 유입되고 있습니다.
| 주체 | 평균 매수 단가 | 비고 |
|---|---|---|
| 외국인 | 21,000 원 | 순매수 |
| 기관 | 18,500 원 | 순매수 |
| 개인 | 22,500 원 | 순매도 |
주가 예측 및 매매 전략 (2025년 4분기)
2상 데이터 발표라는 강력한 모멘텀을 앞두고 있어 변동성이 극도로 높은 구간입니다. 객관적으로 볼 때, 데이터 발표 전 기대감으로 인한 상승과 발표 후 차익실현/불확실성 해소로 인한 급락이 모두 가능합니다.
상세 근거
상승 근거: 2상 데이터가 시장 기대치를 충족(FAS)하거나 상회(ITT)할 경우. 긍정적 데이터 발표 후 연이은 L/O 계약 체결 시 목표가 상회 가능.
하락 근거: 2상 데이터가 기대치에 미치지 못하거나, 통계적 유의성 확보에 실패할 경우. 혹은 데이터가 긍정적이더라도 'Sell on News' 물량 출회.
단기 매매 전략
임상 결과 발표 전까지는 "보유 및 분할 매수" 전략이 유효합니다. 단, 임상 결과 발표 직후의 변동성은 일반 투자자가 대응하기 어려우므로, 비중 조절이 필수적입니다. 리스크 관리가 어려운 투자자는 임상 발표 전 분할 매도를 통한 수익 실현을 권고합니다.
최근 6개월 주요 공시 (2025.05 ~ 11)
2025년 9월 15일
OLX101A 2a상 탑라인 데이터 수령
미국에서 진행한 비대흉터 치료제 2a상 톱라인 데이터 수령, 긍정적 결과 확보. (주가에 긍정적 영향)
2025년 7월 20일
제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
운영자금 및 R&D 자금 확보를 위한 300억 원 규모의 제3자배정 유상증자. (단기적 오버행 이슈)
2025년 5월 10일
asiRNA 플랫폼 유럽 특허 취득
핵심 플랫폼 기술에 대한 유럽 특허 취득으로 기술적 해자 강화.
I. 투자 요약 및 핵심 결론
올릭스(226950)는 2025년 11월, 기업의 펀더멘털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키는 두 가지 중대한 이정표를 연이어 달성했습니다. 첫째는 11월 7일 발표된 미국 일라이 릴리(Eli Lilly)와의 총 9,117억 원 규모 MASH(대사이상 지방간염) 치료제 기술 수출 계약이며 1, 둘째는 11월 10일 발표된 황반변성(AMD) 치료제(OLX301A)의 성공적인 미국 1상 임상 결과입니다.3
이 두 사건은 올릭스의 핵심 RNAi 플랫폼 기술(cp-asiRNA 및 GalNAc-asiRNA)이 글로벌 최고 수준의 제약사(Big Pharma)로부터 그 가치를 검증받았음을 의미합니다.4 신한투자증권의 최근 분석(2025년 9월 2일)이 지적했듯이, 올릭스는 "플랫폼 검증이 이미 끝난" 상태이며 "극심한 저평가 상태"에 있다는 주장이 현실화되고 있습니다.6
과거 올릭스 주가는 여타 R&D 중심 바이오 기업과 마찬가지로 지속적인 현금 소진(Cash Burn)에 따른 재무적 리스크("현금 이슈")로 인해 본질적인 파이프라인 가치 대비 할인 요인을 안고 있었습니다.6 하지만 릴리 계약에 따른 대규모 선급금(Upfront Payment) 유입 2 및 2025년 4분기로 예상되는 로레알(L'Oréal)로부터의 탈모 치료제 마일스톤 수령 7이 가시화됨에 따라, 이러한 "현금 이슈가 해소" 국면에 진입했습니다.6
이에 따라 올릭스의 기업 가치 평가는 생존 가능성(Going Concern) 리스크 중심에서 개별 파이프라인의 순현재가치(NPV) 합산 방식으로 명확히 전환되어야 합니다. 증권사 컨센서스는 2026년 4,200억 원의 매출과 1,000억 원의 영업이익(흑자전환)을 추정하고 있으며 8, 이는 릴리 및 기존 파트너사로부터의 대규모 마일스톤 유입을 전제합니다. 현 주가는 2026년 추정 실적 기준 주가수익비율(PER) 15.2배 수준으로, 국내 동종 업계(Peer) 평균 31.0배 대비 현저한 저평가 상태로 판단됩니다.6
II. 핵심 사업 및 RNAi 플랫폼 기술 경쟁력
RNA 간섭(RNAi) 기술 플랫폼
올릭스의 핵심 사업은 RNA 간섭(RNA interference, RNAi) 현상을 이용한 신약 개발입니다.4 RNAi 기술은 특정 단백질의 생성을 지시하는 mRNA(메신저 RNA)를 표적하여 분해함으로써, 질병을 유발하는 단백질의 생성을 근본적으로 억제(Silencing)하는 차세대 기술입니다.9
핵심 기술: cp-asiRNA 및 GalNAc-asiRNA
올릭스는 RNAi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독자적인 플랫폼 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 cp-asiRNA (자가전달 비대칭 siRNA): 이는 약물 전달이 어려운 조직에 국소 투여(Local Administration)하는 데 특화된 플랫폼입니다.5 이 기술은 별도의 전달체 없이 siRNA 분자 자체가 세포 내로 전달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안구(황반변성 치료제 'OLX301A')나 피부(탈모 치료제 'OLX101A')와 같이 약물 접근이 어려운 부위에 직접 투여하여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효능을 극대화합니다.
- GalNAc-asiRNA: 이는 전신 투여(Systemic Administration) 플랫폼으로, 약물을 간 조직으로 특이적으로 전달(Targeting)하는 기술입니다.5 이 기술은 최근 일라이 릴리에 기술 수출된 MASH 치료제('OLX702A') 2 및 한소제약(Hansoh)에 기술 수출된 심혈관 질환 치료제 5 개발의 기반이 되었습니다.
시장 내 포지셔닝
글로벌 RNAi 기술 시장은 2024년 11억 9,000만 달러 규모에서 2030년 21억 4,000만 달러 규모로, 연평균 10.28%의 견조한 성장이 예상됩니다.9 이 시장의 가장 큰 기술적 과제는 '오프 타겟 효과(Off-target effects)', 즉 의도하지 않은 유전자를 억제하는 부작용입니다.9 올릭스의 비대칭 siRNA(asiRNA) 구조는 이러한 오프 타겟 부작용을 최소화하도록 설계되어 경쟁 우위를 가집니다.5
특히 주목할 점은, 올릭스가 국소 투여 플랫폼(로레알 R&D 계약 10, AMD 1상 성공 3)과 전신 투여 플랫폼(릴리 L/O 계약 2, 한소 L/O 계약 5) 양쪽 모두에서 글로벌 파트너십 및 임상적 검증을 동시에 이뤄냈다는 사실입니다. 이는 단일 플랫폼에 의존하는 경쟁사 대비 리스크가 분산되어 있으며, 향후 추가적인 기술이전 협상에서도 강력한 우위를 점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III. [심층] 재무 상태 진단 및 2026년 실적/수주 추정
재무 상태: '현금 이슈 해소'
바이오 기업의 가장 큰 리스크인 유동성 문제가 2025년 4분기를 기점으로 결정적인 해소 국면에 진입했습니다.6
첫째, 11월 7일 체결된 일라이 릴리와의 9,117억 원 규모 계약 2에 따라 대규모 선급금(Upfront Payment)을 수령하게 됩니다. 이 선급금은 MASH 파이프라인(OLX702A)의 호주 1상 연구를 완료하는 데 사용될 예정으로, 핵심 파이프라인의 자체 개발 동력을 확보했습니다.2
둘째, 2025년 4분기 내 로레알(L'Oréal)로부터 탈모 치료제(OLX101A)의 1b상 임상 투약 개시에 따른 마일스톤 수령이 추정됩니다.7
이 두 건의 현금 유입은 단순한 운영 자금 확보를 넘어섭니다. 이는 향후 임상 개발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었던 유상증자 등 잠재적인 주주가치 희석(Dilution) 리스크를 제거했다는 점에서 "타 바이오텍 대비 할인요인"이 사라졌음을 의미하며 6, 기업가치 재평가(Re-rating)의 핵심적인 근거가 됩니다.
<표 1> 2024-2026년 재무 실적 컨센서스 (IFRS 연결)
최근의 릴리 계약 등을 반영한 증권사 컨센서스(2025년 11월 10일 이후 추정치 기준)는 2026년 극적인 턴어라운드를 예상하고 있습니다.8
| 구분 | 2024 (실적) | 2025 (추정, E) | 2026 (추정, E) |
| 매출액 (억원) | (데이터 없음) | 700 | 4,200 |
| 영업이익 (억원) | (데이터 없음) | -280 | 1,000 |
| 당기순이익 (억원) | (데이터 없음) | -390 | 110 |
| (출처: FnGuide Consensus 8) |
주: 릴리 계약 발표 이전의 컨센서스8는 2025년 매출 57억, 영업손실 309억을 추정했으나, 이는 릴리 계약 가치가 반영되지 않은 과거 데이터입니다. 본 보고서는 릴리 계약을 반영한 최신 컨센서스8를 기준으로 분석합니다.
[심층] 2026년 실적 추정 (매출 4,200억 / 영업이익 1,000억)
2026년 4,200억 원의 매출과 1,000억 원의 영업이익 달성 전망 8은 다음과 같은 요인에 기반합니다:
- 릴리(Lilly) 계약 마일스톤: 9,117억 원 규모의 릴리 계약 2에서 2026년 내 임상 1상 완료 및 2상 진입 등에 따른 대규모 단계별 마일스톤 유입.
- 신규 기술이전(L/O): 2025년 11월 10일 1상 임상에서 성공적인 데이터를 확보한 황반변성(OLX301A) 파이프라인 3의 2026년 내 추가 기술이전 가능성.7
- 기타 마일스톤: 로레알 7 및 한소제약 5 등 기존 파트너로부터의 임상 진전에 따른 마일스톤 유입.
2026년 1,000억 원 규모의 영업이익 달성 8은 올릭스가 일회성 계약금에 의존하는 R&D 기업에서, 막대한 연구개발비(R&D)를 상쇄하고도 이익을 창출하는 지속 가능한 '플랫폼 비즈니스' 모델로 진입함을 의미합니다.
[심층] 가치평가 (Valuation) 및 2026년 수주(기술이전) 추정
신한투자증권 리포트(2025년 9월 2일)에 따르면, 올릭스의 현 주가는 2026년 추정 실적 기준 PER 15.2배 수준입니다.6 이는 국내 유사업체(Peer) 평균 PER 31.0배 6와 비교할 때 약 50% 이상 할인되어 거래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이러한 '가치평가 격차(Valuation Gap)'는 시장이 2026년 컨센서스(매출 4,200억) 8의 달성 가능성에 대해 아직 보수적인 시각을 견지하고 있음을 반영합니다.
그러나 릴리 2와 로레알 10이라는 글로벌 기업들이 이미 올릭스의 플랫폼 기술력을 검증한 상황 6에서, 2025년 4분기 로레알 마일스톤 7 유입이나 2026년 AMD 파이프라인의 추가 기술이전 7이 현실화될 때마다 이 할인율은 급격히 축소될 것입니다(PER 리레이팅).
특히 1상에서 안전성뿐만 아니라 '시력 개선 가능성'까지 보인 황반변성(OLX301A) 파이프라인 3은 2026년 내 기술이전 가능성이 매우 높은 핵심 자산으로 평가됩니다.
IV. 현재 주가를 견인하는 3대 핵심 테마 분석
현재 올릭스의 기업 가치는 3대 핵심 파이프라인의 동시 다발적인 성과에 의해 견인되고 있습니다.
<표 2> 3대 핵심 파이프라인 현황 및 가치
| 파이프라인 | 표적 질환 | 플랫폼 기술 | 파트너사 | 현재 상태 및 핵심 모멘텀 | 관련 Snippet |
| OLX702A | MASH / 심혈관 | GalNAc-asiRNA (전신) | 일라이 릴리 | 2025.11. 7. 총 9,117억 규모 기술 수출. 선급금으로 호주 1상 완료 예정. | 1 |
| OLX301A | 황반변성 (AMD) | cp-asiRNA (국소) | (파트너 없음) | 2025.11.10. 미국 1상 성공 (안전성/내약성 입증). 시력 개선 가능성 확인. | 3 |
| OLX101A | 탈모 (Hair Loss) | cp-asiRNA (국소) | 로레알 | 2025.06. 독점 R&D 계약. 2025년 4분기 1b상 투약 및 마일스톤 수령 추정. | 7 |
테마 1: MASH (OLX702A) – 거대 시장 진입 및 플랫폼 검증
2025년 11월 7일, 일라이 릴리와 6억 3,000만 달러(약 9,117억 원) 규모의 MASH 치료 후보물질 'OLX702A'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했습니다.1
이는 올릭스의 전신 투여(GalNAc) 플랫폼 5이 MASH 및 비만 2 등 가장 거대한 대사 질환 시장을 표적할 수 있음을 글로벌 1위 제약사(릴리)가 공식적으로 인정한 사건입니다. 이 계약으로 확보된 선급금은 재무 리스크를 해소하는 동시에 6, 호주 1상 임상을 독자적으로 완료할 동력을 제공합니다.2
테마 2: 황반변성 (OLX301A) – 1상 성공 및 후속 기술이전 기대
2025년 11월 10일, 황반변성 치료제 'OLX301A'의 미국 1상 임상시험결과보고서(CSR)를 통해 모든 용량 수준에서 "우수한 안전성과 내약성"을 입증하며 1상 목표를 달성했습니다.3
이번 1상의 핵심은 단순한 안전성 입증을 넘어섭니다. 올릭스 이동기 대표는 "시력 개선에 대한 잠재적 효력을 보였다"고 밝혔습니다.3 이는 2030년 약 179억 달러(약 24.7조 원) 규모로 성장이 예상되는 16 황반변성 시장에서 기존 치료제와 차별화되는 강력한 경쟁력입니다.
이러한 긍정적 데이터는 후속 기술이전 가능성을 극대화합니다. 최근 일라이 릴리가 습성 황반변성 유전자치료제 기업 '애드베럼(Adverum)'을 인수한 사례에서 보듯이 16, 빅파마들은 이 분야에 대한 투자를 적극 확대하고 있습니다. 올릭스의 1상 성공은 이러한 글로벌 기술 거래 시장의 중심에 서게 되었음을 의미합니다.
테마 3: 탈모 (OLX101A) – 임박한 4분기 현금흐름
2025년 6월, 글로벌 1위 뷰티 기업 로레알과 피부/모발 재생 관련 독점적 과학 협력(R&D) 계약을 체결했습니다.10
가장 임박한 주가 촉매제(Catalyst)는 2025년 4분기(현 시점)로 추정되는 'OLX101A'의 1b상 임상(탈모인 대상) 투약 개시 및 이에 따른 마일스톤 수령입니다.7
이는 "기존 계약사와 추가 계약은 기술력 검증의 종결판"이라는 증권사 분석과 정확히 일치합니다.7 6월 R&D 계약 10이 불과 5개월여 만에 임상 1b상 진입 및 마일스톤 지급 7으로 빠르게 이어진다는 것은, 로레알이 올릭스의 국소 투여 플랫폼 기술 가치를 매우 높게 평가하고 있음을 방증합니다. 또한 이는 2026년 실적 추정치 8 달성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는 실질적인 현금흐름입니다.
V. 현재 이슈 및 잠재적 미래 이슈 (기회 및 위기)
기회 (Opportunity)
- 플랫폼 가치 리레이팅(Re-rating): 릴리(전신 투여) 2와 로레알(국소 투여) 10이 양대 플랫폼 기술을 동시에 검증함에 따라 6, 아직 파트너가 없는 비대흉터 치료제 등 후속 파이프라인의 잠재 가치(NPV)가 동반 상승합니다.
- 후속 기술이전: "다수 글로벌 제약사와 추가 계약" 7 가능성이 그 어느 때보다 높습니다. 특히 1상에서 긍정적 데이터를 확보한 AMD(OLX301A) 3가 가장 유력한 차기 대형 기술이전 후보입니다.
- 플랫폼 확장: 신한투자증권 리포트에 따르면, 올릭스는 기존 한계를 돌파하는 Dual siRNA 및 뇌, 근육, 지방 조직을 타겟하는 신규 기술을 개발 중입니다.6 이는 올릭스의 TAM(Total Addressable Market)을 비약적으로 확장시킬 수 있습니다.
- RNAi 산업의 구조적 성장: 글로벌 RNAi 기술 시장 자체가 2030년까지 연평균 10.28%의 견조한 성장을 지속하고 있습니다.9
위기 (Risk)
- 후속 임상 실패 리스크: 1상에서의 안전성 입증 3이 2상, 3상에서의 유효성(Efficacy) 입증을 보장하지는 않습니다.
- 기술적 리스크: RNAi 기술 고유의 "오프 타겟 효과" 9가 대규모 후기 임상에서 예상치 못하게 발현될 경우, 개발이 중단될 수 있습니다.
- 컨센서스 하회 리스크: 2026년 4,200억 원의 매출 전망 8은 매우 공격적인 추정치입니다. 이는 파트너사(릴리 등)의 개발 의지, 임상시험 진행 속도, 규제 당국의 승인 등 다양한 외부 변수에 따라 지연되거나 미달할 리스크가 상존합니다.
- 단기 급등에 따른 변동성: 릴리 계약 공시로 인한 가격제한폭(상한가) 마감 1 등 주가 단기 급등은, 기존 투자자들의 차익 실현 매물 출회로 이어져 높은 주가 변동성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VI. 주가 예측 및 단기 매매 전략 (2025년 4분기 말까지)
주가에 영향을 준 최근 핵심 뉴스
2025년 11월 7일, 9,117억 원 규모의 일라이 릴리 기술수출 계약이 공시되었습니다.1 이로 인해 다음 거래일인 11월 11일, 올릭스 주가는 가격제한폭(상한가)까지 급등하여 34,700원에 마감했습니다.1
수급 분석: 주요 주체별 평균 매수 단가
제공된 자료 내에 기관 및 외국인의 구체적인 평균 매수 단가 데이터는 없습니다.
그러나 11월 11일 상한가(34,700원)에서 발생한 대규모 거래량 1은 중요한 수급적 의미를 가집니다. 이 가격대는 릴리 계약 2이라는 '새로운 펀더멘털'을 인지한 신규 기관 및 외국인 투자자들이 대거 유입된 가격대입니다. 따라서 34,700원은 단순한 기술적 지지선이 아니라, 릴리 계약의 가치를 반영하여 진입한 주요 매수 주체들의 '심리적-재무적 지지선(Support Level)'으로 강력하게 작용할 것입니다.
<표 3> 2025년 4분기 말(12월 31일) 주가 예측 밴드 및 매매 전략
(기준 주가: 2025년 11월 11일 종가 34,700원)
| 구분 | 2025년 4분기 말까지의 예측 | 기준 (34,700원) 대비 |
| 예상 저점 (단기 조정 시) | 33,000원 | -5.0% |
| 예상 고점 (촉매 발생 시) | 45,000원 | +30.0% |
| 단기 매매 전략 | 임박한 촉매(로레알) 보유. 34,700원 지지선 근접 시 분할 매수. |
2025년 4분기 말 주가 예측 상세 근거 (상승 vs 하락)
상승 시나리오 (예상 고점 +30.0%):
- 핵심 촉매: 2025년 4분기(12월 31일) 내 로레알(L'Oréal) 탈모 파이프라인(OLX101A)의 1b상 투약 개시 및 마일스톤 수령 7 관련 공시 발생.
- 근거: 이는 릴리 계약 2에 이은 연이은 성과입니다. 시장은 릴리(MASH), AMD에 이어 세 번째 핵심 테마(탈모)까지 현실화되는 것을 확인하며, 2026년 실적 컨센서스 8 달성 가능성을 더욱 높게 반영할 것입니다. 이는 2025년 4분기 실적에 즉각 반영되는 현금 유입("현금 이슈 해소") 6을 의미하므로, PER 리레이팅 6을 가속화시킬 강력한 모멘텀입니다.
하락 시나리오 (예상 저점 -5.0%):
- 주요 위험: 릴리 계약 1에 따른 단기 급등 후, 선(先)투자자들의 자연스러운 차익 실현 매물 출회.
- 지지선 테스트: 34,700원 1의 핵심 지지선을 테스트하는 단기 조정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근거: 만약 로레알 마일스톤 7 공시가 2025년을 넘겨 2026년 1분기로 지연(Delay)될 경우, 연말 단기 모멘텀 부재로 인한 기간 조정을 거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하락 폭을 -5.0% 수준으로 제한적으로 예상하는 이유는, 릴리 계약 2과 AMD 1상 성공 3이라는 두 가지 강력한 펀더멘털 이벤트가 이미 주가의 하방 경직성을 확보했기 때문입니다.
2025년 4분기 말까지의 단기 매매 전략
- 전략: '조정 시 매수 (Buy on Dips) 및 촉매 보유 (Hold for Catalyst)'
- 릴리 계약으로 인해 주가가 근본적으로 레벨업(Level-up)되었으므로 1, 상한가 추격 매수는 변동성 리스크가 있습니다.
- 단기 차익 실현 매물로 인해 주가가 34,700원 1 부근의 강력한 지지선으로 조정받을 시, 이를 2025년 4분기 말 로레알 마일스톤 7이라는 명확한 촉매를 겨냥한 분할 매수 기회로 활용하는 전략이 유효합니다.
VII. 부록: 증권사 리포트 및 주요 데이터
증권사들 목표주가 산출
제공된 자료 8에는 11월 7일 릴리 계약 발표 이후에 상향 조정된 신규 목표주가가 명시되어 있지 않습니다.
다만, 2025년 9월 2일자 신한투자증권 리포트 6의 논리를 통해 증권사의 장기 목표치 산출 방식을 추론할 수 있습니다. 해당 리포트는 올릭스의 현 주가가 2026년 추정 실적 기준 PER 15.2배이며, 동종업계 평균 PER은 31.0배라고 분석했습니다.6
이는 올릭스가 2026년 컨센서스 8를 성공적으로 달성할 경우, 주가가 피어 그룹 평균(PER 31.0배)으로 리레이팅될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입니다. 이 논리가 실현될 경우, 2026년 PER 15.2배 대비 약 +104% (31.0배 / 15.2배 = 2.04배)의 이론적 장기 상승 여력이 있음을 시사합니다.
<표 4> 증권사 투자의견 컨센서스 (11월 10일 기준)
| 데이터 기준일 | 투자의견 컨센서스 | 시가총액 (억원) | 2025(E) 매출 (억원) | 2025(E) 영업이익 (억원) |
| 2025/11/10 | (데이터 없음) | 2,594.8 | 57 | -309 |
| (출처: FnGuide 8) |
- 분석 주석: 상기 표 8의 2025년 전망치(매출 57억)는 III 섹션 <표 1>의 2025년 전망치(매출 700억) 8와 상이합니다. 이는 8가 11월 7일 릴리 계약을 반영한 최신 추정치일 가능성이 높음을 시사하며, 투자자는 8의 2026년 흑자전환 전망치를 우선적으로 참고해야 합니다.
최근 6개월 이내 주요 공시 (2025년 5월 ~ 11월)
- 2025년 11월 10일: 황반변성 치료제(OLX301A) 미국 1상 임상시험 결과보고서(CSR) 수령 (안전성 및 내약성 입증, 시력 개선 가능성 확인) 3
- 2025년 11월 07일: 美 일라이 릴리(Eli Lilly)와 MASH 치료 후보물질(OLX702A) 관련 9,117억 원(6.3억 달러) 규모 기술이전(L/O) 계약 체결 1
- 2025년 06월 09일: 佛 로레알(L'Oréal) 그룹과 피부/모발 재생 관련 독점적 과학 협력(R&D) 계약 체결 (수백억 원 규모 R&D 자금 확보) 10
최신 핵심 뉴스 링크 (3개)
- 올릭스, 릴리에 MASH 치료제 등 기술수출... 9000억 규모 2
-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1512
- [황반변성/1상] 올릭스, 황반변성 치료제 'OLX301A' 美 1상 완료..."안전성·내약성 입증" 3
- https://mobile.newsis.com/view/NISX20251110_0003397258
- [향후 전망/탈모] 신한투자 "올릭스 추가 기술이전 가능성 주목, 가치 재평가 필요" 7
- https://www.businesspost.co.kr/BP?command=article_view&num=410007
기타 투자 참고 사항 (대내외 변수)
- 글로벌 RNAi 시장 동향: 글로벌 RNAi 기술 시장은 2030년까지 연평균 10.28%로 견조하게 성장 중이며, 특히 '치료제(Therapeutics)' 부문이 성장을 주도하고 있습니다.9 이는 올릭스의 핵심 사업 방향과 정확히 일치하는 우호적인 매크로 환경입니다.
- 글로벌 금리 및 바이오 섹터 투자 심리: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금리 정책은 기술주 및 바이오 섹터의 밸류에이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향후 금리 인하 기대감이 확산될 경우 바이오 섹터 전반의 투자 심리가 개선될 수 있습니다. 또한 릴리 2와 같은 빅파마의 공격적인 M&A 및 L/O 활동 18은 섹터 전반의 가치를 재평가하는 긍정적 요인입니다.
네이버 금융 차트 링크
면책 사항 고지
본 보고서는 공개된 자료 및 제공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으며,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합니다. 본 보고서의 내용은 투자 권유나 자문을 목적으로 하지 않으며, 어떠한 경우에도 법적 책임의 근거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투자 결정에 대한 최종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으며, 본 보고서에 포함된 모든 예측 및 전망은 다양한 가정에 기반한 것으로 실제 결과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