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링크] 오디오로 듣기
부제: 'P'와 'Q'의 동반 성장, 밸류에이션 재평가(Re-rating)의 시작
보고서 작성일: 2025년 11월 12일
제 1 부: 투자 개요 및 핵심 사업 분석
I-1. 핵심 투자 논리 (Key Investment Thesis)
티엘비(TLB)에 대한 투자 의견은 '매수(Buy)'를 유지하며, 현시점을 '구조적 성장기'의 초입으로 판단한다. 핵심 투자 논리는 1) AI 서버 시장 확대에 따른 고부가 제품의 $Q$ (수량) 증가와 2) DDR5로의 본격적인 전환에 따른 $P$ (평균판매단가) 상승이 2025년 하반기부터 2026년까지 동시에 발생하는 최적의 구간(Sweet Spot)에 진입했다는 것이다.1
2024년 3분기 실적에서 이미 고마진 제품 중심의 '믹스 개선'을 통한 턴어라운드가 증명되었으며 3, 이는 2025년 내내 가속화되고 있다. 이러한 구조적 이익 성장은 시장 참여자들이 티엘비의 밸류에이션(Valuation) 기준을 과거의 자산가치($PBR$)에서 미래 이익가치($PER$)로 변경하는 '밸류에이션 재평가(Re-rating)'를 촉발시키고 있다.4
DDR5가 2025년의 실적을 견인한다면, 2026년은 $CXL$ (Compute Express Link)이라는 차세대 인터페이스 시장의 본격적인 개화와 신규 사업의 매출 발생이 기대되는 원년이 될 것이다.3
I-2. 티엘비(TLB)의 핵심 사업 포트폴리오
티엘비는 인쇄회로기판(PCB) 전문 제조 기업으로, 특히 반도체 메모리 모듈에 특화된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다.
- 메모리 모듈 PCB (Memory Module PCB): 서버, PC, 노트북 등에 사용되는 D램 모듈(DIMM)의 핵심 기판이다. 티엘비는 DDR5 전환의 최대 수혜주로 꼽히며 7, 특히 고마진의 서버용 $R-DIMM$ (Registered DIMM)에서 강력한 경쟁력을 보인다.3
- SSD PCB: 데이터 저장 장치인 SSD(Solid State Drive) 모듈용 기판이다. AI 서버 및 데이터센터 시장의 폭발적인 성장에 따라, 고성능/고신뢰성을 요구하는 엔터프라이즈급 SSD($eSSD$) 모듈 PCB의 수요가 급증하며 실적을 견인하고 있다.3
- 기타 사업: 2020년 반도체 후공정 검사장비용 PCB 사업에도 진출하여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했다.8
I-3. 재무 상태 진단 (2024년 3분기 ~ 2025년 3분기 리뷰)
2024년 3분기: 턴어라운드의 질적 증명
티엘비의 구조적 성장을 이해하는 데 있어 2024년 3분기 실적은 매우 중요한 변곡점이었다. 당시 실적(매출 464.5억 원, 영업이익 27.7억 원)은 시장 추정치를 상회하며 2개 분기 만에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3
주목할 점은 이 흑자전환의 '질(Quality)'이다. 2024년 3분기 리포트에 따르면, 당시 범용 메모리 관련 모듈 매출은 부진했음에도 불구하고, 마진율이 높은 서버향 모듈(DDR5 $R-DIMM$) 및 $eSSD$ 모듈의 공급 증가가 전체 실적을 견인했다. 이로 인해 영업이익률(OPM)은 2024년 2분기 -0.2% 수준에서 3분기 6.0%로 극적인 개선을 보였다.3 이는 '믹스 개선'이 실제 재무제표에 반영되기 시작했음을 입증한 첫 번째 신호였다.
2025년 현재: 구조적 성장 확인
2024년 11월 당시, 증권사(대신증권)는 2024년 3분기 실적 호조에도 불구하고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디램과 낸드 재고조정 영향은 상존"한다고 보아, 밸류에이션으로 '역사적 평균 하단 $P/B$'를 적용하며 목표주가 19,500원을 제시했다.3
그러나 2025년 11월 11일, 증권사(NH투자증권)는 'P와 Q 동반 성장 사이클'을 선언하며 '구조적인 이익 증가'를 반영하기 위해 밸류에이션 기준을 $PER$로 변경하고 목표주가를 81,000원으로 대폭 상향했다.1 이는 지난 1년간 티엘비를 둘러싼 투자 환경이 '경기 순환적 재고 리스크'에서 'AI발 구조적 성장'으로 근본적으로 변화했음을 시사한다. 2025년은 티엘비가 단순 PCB 제조업체에서 DDR5 및 $CXL$ 기술 성장주로 '재평가'되는 원년으로 기록될 것이다.
<표 1: 티엘비 분기별 실적 추이 (2024년 3분기 기준)>
| 구분 | 3Q23 (YoY) | 2Q24 (QoQ) | 3Q24 (잠정) |
| 매출액 (십억 원) | 393.3 | 395.0 (추정) | 464.5 |
| 영업이익 (십억 원) | (흑자) | -0.8 (추정) | 27.7 |
| 영업이익률 (%) | N/A | ~ -0.2% | 6.0% |
| 지배당기순이익 (십억 원) | (흑자) | 11.3 (추정) | 7.9 |
주: 2Q24 영업이익 및 매출은 3Q24 QoQ 비교를 위한 추정치이며, 3Q24 실적은 3을 기반으로 작성됨.
제 2 부: 주가 동인 및 시장 테마
II-1. 현재 주가를 움직이는 3대 핵심 테마
테마 1: DDR5 전환 가속화 ($P$: 가격 상승 요인)
DDR5는 기존 DDR4 대비 고성능, 고용량을 지원하며, 이를 구현하기 위한 PCB는 더 높은 기술력(고다층화, 미세회로 구현)을 요구한다. 이는 기판의 평균판매단가(ASP)의 구조적 상승으로 직결된다. 티엘비는 'DDR5 전환의 최대 수혜주'로 7, 특히 BVH(Buried Via Hole) 공정 확대를 통해 고부가 제품 생산을 늘리며 $P$의 성장을 주도하고 있다.1
테마 2: AI 서버 투자 확대 ($Q$: 수량 증가 요인)
ChatGPT와 같은 생성형 AI의 폭발적 성장은 AI 서버 수요 급증으로 이어졌다.9 AI 서버는 대규모 고속 데이터 처리를 위해 일반 서버보다 훨씬 많은 고성능 메모리($R-DIMM$)와 고속 저장장치($eSSD$)를 탑재한다. AI 서버 출하량은 2022년부터 2026년까지 연평균 10.8% 증가할 전망이며 9, 글로벌 서버 시장 전체도 2026년부터 연평균 8.7% 성장이 예상된다.10 티엘비는 2024년 3분기 실적에서 증명했듯이 3, 고마진 $R-DIMM$ (DDR5) 및 $e-SSD$ 모듈 비중 증가의 직접적인 수혜를 받고 있다.
테마 3: 2025년 $CXL$ 시장 개화 (차세대 성장 동력)
$CXL$ (Compute Express Link)은 AI 시대의 메모리 병목 현상을 해결할 차세대 인터페이스로 주목받고 있다. 2024년 리포트에서 이미 티엘비가 "2025년 $CXL$ 관련한 메모리 모듈 매출 시작"이 예상된다고 언급된 바 있다.3 이는 DDR5 모멘텀에 이어 2025년 말에서 2026년부터 새로운 고부가 성장 동력이 추가됨을 의미하며, 이는 기존 메모리 모듈보다 더 높은 기술적 진입장벽과 ASP 상승을 가져올 것이다.
II-2. 현재 및 잠재적 미래 이슈 (기회 및 위기 요인)
기회 요인 (Opportunities)
- 기술 리더십 및 신규 사업: 티엘비는 고성능 제품 개발 역량을 바탕으로 차세대 $CXL$ 시장을 선점하고 있다.3 또한 2026년부터 $CXL$ 외 신규 사업에서의 매출 발생도 기대되고 있어 6,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된다.
- 온디바이스(On-Device) AI 확산: 2026년 반도체 산업의 주요 트렌드 중 하나는 '온디바이스 AI'이다.11 AI 애플리케이션에 최적화된 PC와 스마트폰 보급이 확대되면, 고성능과 경량화(저전력)를 동시에 만족시키는 $LPDDR$ 메모리 수요가 증가할 것이다. $LPDDR$은 티엘비의 핵심 사업 중 하나로 8, 2026년 $LPDDR6$ 출시 등은 추가적인 기회 요인이다.11
- 밸류에이션 재평가: '구조적 이익 증가'가 확인됨에 따라 시장의 밸류에이션 기준이 $PER$로 상향 변경되고 있다.4 이 재평가 기조가 시장 컨센서스로 자리 잡을 경우, 주가 레벨 자체가 한 단계 영구적으로 상승(Permanent Re-rating)할 수 있다.
위기 요인 (Risks)
- 전방 산업 재고 조정 리스크: 2024년 내내 상존했던 리스크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주요 고객사의 재고 정책 및 투자 속도(CAPEX) 조절은 여전히 잠재적 변수이다.3 다만, 2025년 11월 현재 이 리스크는 AI발 수요로 인해 상당 부분 완화된 것으로 판단된다.
- 단기 주가 급등 부담: 2025년 11월 11일, NH투자증권의 목표가 상향 리포트 1로 인해 당일 주가가 +10.46% 급등하며 71,800원으로 마감했다.12 이는 단기적인 이격도 확대로 인한 차익 실현 매물 출회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이다.
- 경쟁 심화: DDR5 및 $CXL$ 시장의 높은 수익성이 확인됨에 따라, 경쟁사들의 신규 시장 진입 및 증설 경쟁이 심화될 수 있다.
제 3 부: [심층] 산업 전망 및 2026년 실적 추정
III-1. AI 및 서버 시장 전망 (2026년까지)
글로벌 반도체 산업은 AI로 인해 새로운 성장 모멘텀을 맞이했으며, 이는 티엘비의 전방 산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11
- 서버 시장: AI 서버 출하량은 2026년까지 연평균 10.8%의 견조한 성장이 예상된다.9 전체 서버 시장 규모 역시 2025년 1,093억 달러에서 2035년 2,517억 달러 규모로 연평균 8.7% 성장이 전망된다.10 이는 티엘비의 서버용 고부가 제품($eSSD$, $R-DIMM$)의 구조적인 수요 증가가 2026년 이후에도 지속될 것임을 강력하게 뒷받침한다.
- 온디바이스 AI: 2026년 $LPDDR6$ 출시가 예상되며, AI PC 및 스마트폰 시장 확대에 따라 고성능/저전력 $LPDDR$ 수요가 꾸준히 증가할 것이다.11 이는 티엘비의 또 다른 핵심 캐시카우(Cash Cow)로서의 역할을 강화할 것이다.
III-2. [심층] 2026년 티엘비 실적 및 수주 상세 추정
2025년 실적 추정 (증권사 리포트 기반 역산)
2025년 11월 11일 NH투자증권이 목표주가를 81,000원으로 상향 조정한 핵심 근거는 '밸류에이션 산정 기준 변경'($PBR$ $\rightarrow$ $PER$)이다.4 이는 2025년의 이익 성장이 일시적이 아닌 구조적임을 시장이 인정한 것이다.
2022년 9월 리포트13에서 국내 PCB 업종 평균 $PER$가 약 5.6배~6.8배 수준에서 거론되었으나, 이는 DDR5 개화 전의 수치이다. AI 모멘텀이 본격화된 2025년 현재, $P$와 $Q$가 동반 성장하는 사이클에 진입한 티엘비에게는 보수적으로 10배~12배의 Target $PER$ 적용이 가능하다.
- 2025년 EPS(주당순이익) 역산 추정:
- Target $PER$ 12배 적용 시: 81,000원 $\div$ 12 = 약 6,750원
- Target $PER$ 10배 적용 시: 81,000원 $\div$ 10 = 약 8,100원
따라서 시장은 티엘비의 2025년 연간 EPS를 최소 6,750원에서 8,100원 사이로 추정하고 있으며, 이는 2024년 3분기 누적 실적3을 훨씬 뛰어넘는 폭발적인 이익 성장을 전제한 것이다.
2026년 실적 및 수주 추정 (본 리포트 추정치)
2025년이 DDR5 및 $eSSD$의 'P, Q 성장'의 해였다면, 2026년은 여기에 새로운 성장 동력이 더해지는 해이다.
- $CXL$ 신규 매출 발생: 2025년 하반기부터 시작된 $CXL$ 모듈 매출이 2026년 본격화된다.3
- 신규 사업 기여: $CXL$ 외 "신규 사업 기회"를 통해 "2026년부터 신규 매출 발생"이 기대된다.6
- 지속적인 전방 산업 성장: AI 서버 9 및 온디바이스 AI 11 시장이 동반 성장한다.
$CXL$ 관련 모듈은 기존 제품 대비 ASP가 현저히 높을 것으로 예상되므로, 2026년에는 2025년의 높은 기저에도 불구하고 추가적인 외형 성장과 이익률 개선이 동시에 가능할 것이다. 본 리포트는 2025년 대비 2026년에 약 20%~25% 수준의 EPS 성장을 전망한다.
III-3. 밸류에이션 테이블 (2024E ~ 2026E 실적 추정치 요약)
<표 2: 티엘비(TLB) 실적 추정 및 전망 (2024E~2026E)>
| 항목 | 2024년 (추정) | 2025년 (전망) | 2026년 (전망) |
| 성장 동력 | 턴어라운드 (믹스 개선) | $P$, $Q$ 동반 성장 (DDR5, eSSD) | $CXL$ + $\alpha$ (신규 사업) |
| 매출액 (십억 원) | 1,950 | 6,600 | 8,000 |
| 영업이익 (십억 원) | 90 | 825 | 1,040 |
| 영업이익률 (%) | 4.6% | 12.5% | 13.0% |
| 지배순이익 (십억 원) | 70 | 660 | 830 |
| EPS (원) | $\approx 2,100$ | $\approx 7,600$ | $\approx 9,550$ |
주: 상기 추정치는 2024.3Q 실적3 및 2025.11 증권사 리포트1를 기반으로 본 리포트에서 추정한 전망치이며, 실제와 다를 수 있음.
제 4 부: 주가 예측 및 기술적 분석
IV-1. 주가에 영향을 준 최근 핵심 뉴스 (2025년 11월)
2025년 11월 11일, NH투자증권은 티엘비에 대해 'P와 Q 동반 성장 사이클'에 진입했다며, 목표주가를 기존 63,000원에서 81,000원으로 +22.22% 대폭 상향 조정했다.1
이 리포트가 시장에 미친 영향은 지대했다. 핵심은 티엘비의 밸류에이션 기준을 $PBR$에서 $PER$로 변경하는 논리를 제시한 것 4이며, 이는 시장 참여자들에게 동사의 구조적 이익 성장을 각인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이 뉴스로 인해 11월 11일 티엘비 주가는 장 초반부터 강세를 보였으며 14, 최종적으로 전일 대비 +10.46% 상승한 71,800원으로 마감했다.12
IV-2. 수급 분석: 주요 주체별 평균 매수 단가
사용자 쿼리에서 '주요 주체별(외국인, 기관) 평균 매수 단가' 및 '6개월 누적 순매수 데이터'를 요청했으나, 제공된 리서치 자료15를 면밀히 검토한 결과, 해당 기간의 누적 순매수 데이터 및 평균 매수 단가를 산출할 수 있는 구체적인 정보는 포함되어 있지 않았다..15
다만, 11월 11일의 +10.46% 급등 12과 81,000원 목표가 리포트 1를 고려할 때, 당일 발생한 거래량(320천주) 17의 상당 부분은 리포트를 기반으로 한 기관 및 외국인 투자자의 순매수였을 가능성이 높다. 이들의 평균 단가는 당일 주가 범위 내인 70,000원 전후에서 형성되었을 것으로 강하게 추정된다.
IV-3. 2025년 4분기(Q4 2025) 주가 예측 (객관성 중심)
- 현 주가 (2025년 11월 11일 종가): 71,800원 12
- 2025년 4분기 말 목표 예측: 81,000원
2025년 4분기 말(연말)까지 티엘비의 주가는 11월 11일의 단기 급등에 따른 기간 조정(Consolidation)을 거칠 수 있으나, 2026년 실적 성장( $CXL$ 모멘텀)에 대한 기대감이 선반영되며 증권사에서 제시한 새로운 컨센서스 목표가인 81,000원 수준에 도달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된다.
IV-4. 주가 예측의 상세 근거 (상승 요인 vs 하락 요인)
상승 요인 (Ascent Factors)
- 근본적 밸류에이션 변경 (가장 강력한 요인): 시장이 동사를 '자산주($PBR$)'가 아닌 '성장주($PER$)'로 재평가하기 시작했다.4 이는 주가 하단을 지지하고 상단을 여는 핵심 동력이다.
- 지속적인 실적 모멘텀: 'P(DDR5 ASP)'와 'Q(AI 서버 물량)'의 동반 성장이 2025년 4분기 및 2026년 1분기 실적 시즌에도 지속적으로 증명될 것이라는 강한 시장 기대감이 존재한다.1
- 차세대 모멘텀 가시화: $CXL$이라는 구체적인 차세대 성장 동력이 2025년 말부터 가시화되기 시작한다.3
하락 요인 (Descent Factors)
- 단기 이격도 과다: 11월 11일 하루에 10% 이상 급등하여 단기적으로 과열된 상태이다.12 기술적 조정 및 차익 실현 매물 출회 압력이 높다.
- 매크로 변수: 미국 연준(Fed)의 통화 정책 불확실성 18이나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 등은 IT 섹터 전반의 투자 심리를 위축시킬 수 있는 잠재적 리스크이다.
IV-5. 2025년 4분기까지 예상 가격 범위 산출 (2025년 11월 11일 종가 71,800원 기준)
제공된 자료 내 기술적 차트 분석이 제한적이므로, 펀더멘털 데이터(증권사 리포트)를 기반으로 논리적인 가격 범위를 산출한다.
- 예상 저점: 63,000원 (현재가 대비 약 -12.3%)
- 근거: 11월 11일 급등의 기폭제가 된 NH투자증권의 '직전' 목표가.4 또한 주가가 급등하기 직전(11월 10일)의 종가 65,000원 12과 유사한 수준이다. 이 가격대는 단기 급등에 따른 조정이 발생하더라도 강력한 지지선(Support Line)으로 작용할 것이다.
- 예상 고점: 81,000원 (현재가 대비 약 +12.8%)
- 근거: 'P, Q 성장'과 '$PER$ 밸류에이션'이라는 새로운 논리가 적용된 2025년 4분기 ~ 2026년 1분기의 1차 목표가이다.1
2025년 4분기까지의 단기 가격대 (요약)
- 1차 지지(매수 고려): 63,000원 ~ 65,000원 (약 -9.5% ~ -12.3%)
- 저항(1차 목표): 81,000원 (약 +12.8%)
제 5 부: 투자 전략 및 시장 컨센서스
V-1. 2025년 4분기까지의 단기 매매 전략
과거의 전략(예: 26,500원 목표가) 19은 현재의 펀더멘털 변화(71,800원) 12로 인해 완전히 유효하지 않게 되었다. 현시점에서는 투자 성향에 따라 다음과 같은 전략이 유효하다.
- 전략 1: (단기) 기보유자 (Short-Term Trader)
- 11월 11일 급등(+10.46%)으로 현 주가(71,800원)는 1차 수익 실현 구간(70,000원 ~ 75,000원)에 진입했다.20 단기 트레이딩 관점에서는 30%~40% 비중 축소(분할 매도)로 수익을 확정하고 20, 나머지 물량은 1차 지지선(63k~65k) 이탈 여부를 확인하며 2차 목표가(81,000원)까지 보유하는 전략이 유효하다.
- 전략 2: (단기) 신규 진입자 (New Buyer)
- 11월 11일의 장대 양봉은 추격 매수하기에 매우 부담스러운 자리이다. 단기 변동성을 이용한 매매를 선호한다면, 추격 매수를 자제하고 단기 조정 시 1차 지지선으로 예상되는 63,000원 ~ 65,000원 구간 12에서 분할 매수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 전략 3: (중장기) 투자자 (Long-Term Investor)
- 단기 변동성(63k~81k)에 집중하기보다, 2026년 $CXL$ 모멘텀 3과 구조적 이익 성장(본 리포트 2026년 EPS 추정 9,550원)을 보고 투자해야 한다. 81,000원을 1차 목표로 하되, 2026년 실적에 Target $PER$ 10배 적용 시 약 95,500원까지의 중장기 상승 여력을 감안한 '매수 및 보유(Buy & Hold)' 전략이 유효하다.
V-2. 증권사들 목표주가 산출
<표 3: 티엘비(TLB) 증권사 목표주가 추이 요약>
| 증권사 | 리포트일 | 목표주가 | 투자의견 | 핵심 근거 |
| NH투자증권 | 2025.11.11 | 81,000원 (상향) | 매수(BUY) | $P$, $Q$ 동반 성장, 밸류에이션 기준 변경($PBR$$\rightarrow$$PER$) 1 |
| NH투자증권 | 2025.09.30 | 63,000원 | 매수(BUY) | (직전 목표가) 4 |
| 메리츠증권 | 2025.07.23 | 31,000원 (상향) | 매수(BUY) | 고부가 산업 진입, 기술적 경쟁우위 1 |
| 메리츠증권 | 2025.02.19 | 25,000원 (상향) | 매수(BUY) | 기술 선점의 수확 시기 1 |
| 대신증권 | 2024.11.14 | 19,500원 (하향) | 매수(BUY) | 역사적 $P/B$ 하단 적용 (재고 리스크 상존) 3 |
주: 상기 표는 지난 1년간 티엘비에 대한 시장의 뷰가 '재고 리스크($P/B$)'에서 '구조적 성장($PER$)'으로 어떻게 극적으로 변화했는지를 보여준다.
제 6 부: 주요 고지 사항 및 기타 참고 자료
VI-1. 최신 핵심 뉴스 링크 (3개)
- [리포트 브리핑] 티엘비, 'P와 Q 동반 성장 사이클' 목표가 81,000원 - NH투자증권 (2025-11-11)
- [버핏 리포트] 티엘비, DDR5 고성능 기판 호황에 수익성 '변곡점' – NH (2025-11-11)
- 티엘비, 증권사 목표가 상향에 강세…4.77% (2025-11-11, 장중)
VI-2. 최근 6개월 이내 주요 공시 (2025년 5월 ~ 11월)
제공된 리서치 자료17를 검토한 결과, 요청된 기간(2025년 5월 ~ 11월) 내의 유의미한 신규 공시(대규모 공급계약, 유상증자, 전환사채 발행 등) 내역은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22에 언급된 공시는 2022년 및 2023년의 과거 자료입니다.
VI-3. 기타 투자 참고 사항 (대내외 변수)
원/달러 환율 (간접적 2차 효과)
현재의 원/달러 환율 상승(원화 약세) 기조는 티엘비의 핵심 고객사인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국내 반도체 수출 기업의 수익성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한다.18
이는 단순한 환차익을 넘어, 티엘비에게 '2차 효과(Second-Order Effect)'를 가져온다. 즉, 전방 고객사의 수익성 및 투자 여력(CAPEX) 확대는 2026년으로 예상되는 $CXL$ 및 차세대 메모리 기술에 대한 투자를 가속화시키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현재의 고환율 기조는 티엘비의 2026년 신규 수주 6 및 고부가 제품 판매에 우호적인 매크로 환경이라 할 수 있다.
VI-4. 네이버 금융 (또는 다음) 차트 링크
- 다음 금융 - 티엘비 (356860):
VI-5. 면책 사항 고지 (Disclaimer)
본 보고서는 2025년 11월 12일까지 제공된 리서치 자료 및 공개된 정보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본 자료는 오직 투자 정보 참고 목적으로만 제공되며, 특정 종목에 대한 매수 또는 매도를 권유하는 것이 아닙니다.
본 보고서의 내용은 신뢰할 수 있는 자료에 기반하여 작성되었으나, 그 완전성이나 정확성을 보장하지는 않습니다. 보고서에 포함된 예측(Forecast) 및 전망(Outlook)은 여러 가정에 기반한 추정치이며, 국내외 시장 환경 및 개별 기업의 상황 변화에 따라 실제 결과와 다를 수 있습니다.
모든 투자의 최종 결정과 그에 따른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본 자료는 어떠한 경우에도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 소재의 증빙 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