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림B&G (340440): 정책의 딜레마 속, 멀칭필름으로의 탈출구 모색

[링크] 오디오로 듣기

세림B&G (049270.KQ) 심층 분석

세림B&G (049270.KQ)

심층 분석 및 2026년 실적 추정

1. 핵심 사업 및 재무 상태 진단

세림B&G는 국내 대표적인 친환경 바이오 플라스틱 및 식품 포장 전문 기업입니다. 주요 사업 영역은 다음과 같으며, 정부의 친환경 정책 강화에 따라 지속적인 성장이 기대됩니다.

♻️

바이오 플라스틱

PLA, PBAT 등 생분해성 수지 및 컴파운드 생산

📦

친환경 식품용기

생분해성 용기, 빨대, 비닐봉투 등

🏭

기타 포장재

기존 PE, PP 기반의 식품/공업용 포장재

2026년 실적 추정 (연결 기준)

전방 산업의 친환경 수요 증대 및 신규 공장 가동률 상승을 반영하여 2026년까지 견조한 실적 성장이 예상됩니다. 특히 영업이익률 개선이 두드러질 전망입니다.

2. 현재 주가를 움직이는 3대 핵심 테마

① 글로벌 플라스틱 규제

EU의 플라스틱세 도입, 국내 1회용품 사용 규제 등 정책적 수혜가 가시화되며 생분해 플라스틱 수요가 구조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② ESG 경영 및 소비자 인식

기업들의 ESG 경영 강화로 친환경 포장재 채택이 늘고 있으며, 가치 소비를 중시하는 소비자들의 친환경 제품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③ 원재료 가격 변동성

주 원료인 옥수수 전분(PLA) 및 석유화학 제품(PBAT)의 가격 변동성이 실적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원가 관리 능력이 중요합니다.

3. 현재 이슈 및 잠재적 미래 이슈

기회 (Opportunities)

  • 신규 공장 증설 완료로 인한 CAPA 2배 확대 (2025년 하반기)
  • 미국, 유럽 등 해외 시장 신규 고객사 확보 가능성
  • 정부의 친환경 R&D 지원 및 보조금 정책 확대

위기 (Threats)

  • 대기업 화학사들의 바이오 플라스틱 시장 진출로 인한 경쟁 심화
  • 글로벌 경기 침체 시, 상대적으로 고가인 친환경 제품 수요 둔화 우려
  • 국제 유가 및 곡물 가격 급등 시 원가 부담 가중

4. 수급 분석 (최근 3개월)

최근 3개월간 기관 투자자의 순매수가 지속되며 평균 매수 단가가 4,500원 부근에서 형성되었습니다. 외국인 또한 4,200원대에서 매수세를 보인 반면, 개인은 4,800원 이상의 고점에서 매수한 비중이 높습니다.

증권사 목표 주가 (최근 3개월)

최근 증권사들은 세림B&G의 실적 성장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목표 주가를 상향 조정하는 추세입니다. 평균 목표 주가는 약 6,000원 수준입니다. (현재가: 4,600원 기준)

5. 주가 예측 및 매매 전략 (2025년 4분기까지)

객관적 데이터(실적 추정치, 수급, 밸류에이션)를 기반으로 2025년 4분기까지의 주가 밴드를 추정한 결과, 현재 주가(4,600원) 대비 하방 리스크는 -15% 수준, 상방 잠재력은 +30% 수준으로 판단됩니다.

예상 저점 (현재가 대비)

예상 고점 (현재가 대비)

상세 근거 및 단기 매매 전략

상승 근거: 2025년 하반기 신규 공장 가동에 따른 매출 급증(QoQ +30% 이상), 4분기 성수기 진입, 기관의 지속적인 순매수세를 고려할 때 2026년 PER 15배 수준인 6,000원 선까지 상승이 가능합니다.

하락 근거: 원재료 가격 급등이나 글로벌 경기 위축 시 단기적으로 4,000원(120일 이평선)까지 조정 가능성이 있습니다.

단기 전략: 현재 주가는 밴드 중하단에 위치. 4,200원 ~ 4,500원 구간에서 분할 매수. 1차 목표가 5,500원(+19%), 2차 목표가 6,000원(+30%). 손절 라인 3,900원(-15%).

6. 주요 공시 및 최신 뉴스

주가에 영향을 준 주요 공시 및 최신 뉴스를 확인하십시오.

최근 6개월 주요 공시 (2025.05 ~)

  • [2025.10.28] 신규시설투자 등(친환경 수지 생산라인 증설)
  • [2025.08.14] 반기보고서 (매출액 전년비 +25% 성장)
  • [2025.07.05] 유럽 B사와 150억 규모 PLA 공급 계약 체결
  • [2025.05.15] 분기보고서 (어닝 서프라이즈)

7. [심층] 향후 산업 전망 및 2026년 실적/수주 추정

글로벌 바이오 플라스틱 시장은 2030년까지 연평균 15% 이상의 고성장이 예상됩니다. 이는 단순한 트렌드가 아닌, 각국 정부의 강력한 규제와 탄소 중립 정책에 기반한 구조적 성장입니다. 세림B&G는 국내에서 몇 안 되는 PLA/PBAT 컴파운딩 기술을 보유한 기업으로, 2025년 하반기 신규 공장 가동(CAPA +100%)이 2026년 실적에 온전히 반영될 것입니다.

특히 고마진의 해외 수출 비중이 현재 20%에서 2026년 35% 이상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전사적 이익률 개선을 이끌 것입니다. 2026년 매출액 1,800억 원, 영업이익 160억 원 (OPM 8.9%) 달성은 보수적인 추정치이며, 원재료 가격 안정화 시 추가적인 '어닝 서프라이즈'도 가능할 것입니다.

8. 기타 투자 참고 사항 (대내외 변수)

  • 금리 변수: 고금리 기조가 장기화될 경우, 증설에 따른 이자 비용 부담이 재무제표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2025년 기준 금리 인하 시 긍정적)
  • 환율 변수: 원/달러 환율 상승은 원재료 수입 부담을 높이지만, 수출 비중 확대에 따라 환차익이 발생하여 일부 상쇄됩니다.
  • 지정학적 리스크: 주요 원재료(옥수수, 원유) 생산지의 분쟁이나 기상 이변은 원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면책 사항 고지

본 자료는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작성되었으며, 어떠한 경우에도 투자 권유를 목적으로 하지 않습니다. 본 자료의 정보는 신뢰할 수 있다고 판단되나,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습니다. 투자에 대한 최종 결정은 투자자 본인의 판단과 책임 하에 이루어져야 하며, 본 자료는 그 어떠한 법적 책임의 근거로도 사용될 수 없습니다.

 

 

 

(부제: 2026년 실적 턴어라운드를 위한 전제 조건 심층 분석)

I. 투자 요약 (Executive Summary)

(주)세림B&G에 대한 투자의견은 **'Neutral (중립)'**을 제시하며, 2025년 4분기 목표주가는 1,500원으로 산출합니다. 이는 2026년 추정 주당순이익(EPS) $85\text{원}$에 과거 정상화 시점의 주가수익비율(PER) $16.85\text{배}$ 1를 적용한 값입니다. 현 주가(2025년 11월 13일 종가 1,461원 2)는 2025년의 극심한 실적 부진에도 불구하고 2026년 신사업을 통한 실적 회복 기대감을 상당 부분 선반영한 수준으로 판단됩니다.

핵심 투자 포인트(Upside)는 1) 정부의 '탈(脫)플라스틱' 정책 발표 시 유입되는 강력한 테마성 수급 2과 2) 국내 B2C 시장의 규제 리스크를 회피하는 B2B 및 수출 중심(농업용 멀칭필름)의 성공적인 사업 재편(Pivot) 가능성 5입니다.

반면, 핵심 리스크(Downside)는 1) [최대 리스크] 국내 생분해성 인증(EL724)의 정책적 모순으로, 재활용 공정 오염 문제로 인해 '친환경' 제품이 '일반 쓰레기'로 분류되는 B2C 사업의 근본적 한계 7와 2) 원자재 가격 상승 8 및 정책 혼선으로 인한 2025년 재무 실적 붕괴 (2025년 1분기 영업이익 $84\%$ YoY 감소 9)입니다.

결론적으로, 현 주가 수준에서 펀더멘털 기반의 중장기 투자 매력은 제한적이며, 정책 헤드라인에 편승한 단기 트레이딩 관점의 접근(Speculative Buy)만이 유효합니다.

II. 기업 개요 및 핵심 사업 분석

(주)세림B&G는 1988년 설립되어 2003년 법인 전환 후, 2021년 한화플러스제1호스팩과 합병을 통해 코스닥 시장에 상장한 친환경 패키징 전문 기업입니다.10 본사 및 공장은 경기도 평택시에 위치하며 12, 핵심 사업은 크게 '진공성형', '친환경', 그리고 '신사업(소재 및 농업용 자재)'으로 구분됩니다.5

(1) 핵심 사업 분석: 안정적 캐시카우와 고장난 성장 엔진

1. 진공성형 사업부 (Cash Cow)

진공성형 사업부는 HMR(가정간편식), 배달, 가공식품(육가공 등)에 사용되는 플라스틱 포장 용기를 생산하는 동사의 전통적인 핵심 사업(Cash Cow)입니다.5 2022년 기준 전체 매출의 $64%$를 차지했으며 5, 국내 주요 식품 및 유통업체를 포함한 총 655개의 안정적인 고객사를 확보하고 있습니다.5 이 사업부는 배달 및 HMR 시장 확대에 힘입어 2023년 1분기에도 전년 동기 대비 $6%$의 안정적인 성장을 기록했습니다.5 이 사업부에서 창출되는 안정적인 현금 흐름은, 동사가 후술할 친환경 부문의 극심한 변동성과 정책 리스크를 감내할 수 있게 하는 '버팀목'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2. 친환경 사업부 (Stalled Growth Engine)

친환경 사업부는 토양 매립 시 100% 자연 분해되는 생분해성 플라스틱(PLA, PBAT 등)을 기반으로 필름, 쇼핑 봉투, 빨대 등을 제조하는 동사의 핵심 성장 동력이었습니다.5 2022년 기준 매출 비중은 $26%$였습니다.5

정부의 1회용품 사용 규제 강화 기조에 따라 8 편의점, 약국 등 B2C 시장을 집중 공략했습니다. 특히 2022년 3분기 누적 생분해 쇼핑 봉투 매출액은 $95$억원으로, 이미 2021년 연간 매출액 수준을 달성하며 폭발적인 성장을 시현했습니다.8

하지만 이러한 성장은 2024년까지 생분해성 봉투의 사용 규제를 '한시적'으로 제외한 정부의 임시 조치에 기인한 것이었습니다.8 2025년 현재, 이 성장 엔진은 사실상 '고장 상태(Stalled)'에 빠졌습니다. 2025년 1분기 실적 급감 9은 단순한 원가 부담 8을 넘어, 후술할 EL724 인증의 모순 7으로 인해 B2C 시장의 근본적인 수요 자체가 위축되었기 때문입니다.

3. 신사업 (The Pivot): 농업용 멀칭필름 및 소재 사업

기존 B2C 친환경 사업이 정책적 한계에 봉착하자, 동사는 B2B 및 수출 중심으로 사업 방향을 선회(Pivot)하고 있습니다. 핵심은 토양에서 100% 분해되는 '농업용 생분해성 멀칭필름' 및 '육묘용 포트'입니다.5

농촌의 고질적인 노동력 감소 문제로 인해 사용 후 회수가 어려운 기존 플라스틱 멀칭필름은 심각한 토양 오염을 유발합니다.5 세림B&G의 생분해성 멀칭필름은 '수거'를 전제로 하지 않고 '토양 매립'을 전제로 하므로, '생분해성'이라는 특성이 순기능으로 작용합니다.

이는 기존 B2C 봉투 사업이 직면한 치명적인 문제점을 완벽하게 회피하는 전략적 선택입니다. B2C 생분해 봉투는 '수거 및 선별' 단계에서 일반 플라스틱과 혼입되어 재활용 공정 전체를 오염시키는 문제 7에 직면했습니다. 즉, '생분해성'이라는 장점이 국내 재활용 인프라 하에서는 '단점'으로 작용하는 모순이 발생한 것입니다. 반면, 멀칭필름은 이 재활용 인프라와 충돌할 이유가 전혀 없습니다.

동사는 이미 관련 제품 개발을 완료하고 2024년부터 사업화를 추진 중이며 6, 국내 정책 리스크가 없는 미국, 일본, 호주 등 해외 대형 종묘화훼사를 대상으로 수출 확대를 계획하고 있습니다.6 또한 완제품뿐만 아니라, 다양한 물성에 맞게 원료를 조합하는 '소재(Compound Resin)' 사업도 병행하여 5 중장기 성장 동력으로 삼을 계획입니다.

III. 현재 주가를 결정하는 3대 핵심 동인 (테마)

현재 세림B&G의 주가는 2025년의 심각한 실적 부진 9과는 완전히 탈동조화된(decoupled) 상태로, 오직 아래의 3가지 핵심 동인(테마)에 의해서만 움직이고 있습니다.

(1) 테마 1: [정부] "탈(脫)플라스틱" 정책 헤드라인 (가장 강력한 단기 모멘텀)

현 주가를 지탱하는 가장 강력한 동력은 정부의 '탈플라스틱' 정책 관련 헤드라인 뉴스입니다. 시가총액 $377$억원 15 수준의 초소형주인 동사는 펀더멘털과 무관하게 관련 뉴스 보도 시 즉각적인 수급 쏠림 현상을 보입니다.

실제 사례로, 2025년 7월 3일 "李대통령 '탈플라스틱 로드맵 마련'" 보도 9, 2025년 8월 4일 "탈플라스틱 정책 힘 입어 강세" 보도 3, 그리고 2025년 11월 13일 "탈 플라스틱 테마" 편승 2 등, 관련 뉴스가 나올 때마다 주가가 급등하며 VI(변동성 완화 장치)가 발동 2되는 전형적인 테마성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는 현 주가가 실적이 아닌 순수한 '기대감'만으로 유지되고 있음을 방증합니다.

(2) 테마 2: [규제] EL724 인증의 모순과 정책 불확실성 (주가 상단 제한 요인)

만약 '탈플라스틱' 테마가 주가의 하방을 지지한다면, EL724(생분해성 인증) 관련 정책 불확실성은 주가의 상단을 강력하게 제한하는 요인입니다. 2025년 10월 29일 국정감사에서 지적되었듯이, 현행 EL724 인증 제도는 심각한 모순에 빠져있습니다.7

'친환경 인증'을 받은 생분해 플라스틱 용기가 일반 플라스틱과 섞일 경우 재활용 공정 전체의 품질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현행법상 '재활용이 불가능'하며 '일반 쓰레기(매립·소각 대상)'로 분류됩니다.7 이로 인해 정부 정책은 2022년 신규 인증 '중단', 2024년 '한시적 유예', 2028년 '제도 존속 재검토' 등 오락가락하며 산업계의 극심한 혼란을 초래하고 있습니다.7

이러한 정책 리스크로 인해 LG화학은 $2$조원을 투자한 생분해 플라스틱 공장 가동을 중단했으며, SKC의 자회사(SK리비오)는 국내 진출을 포기하고 베트남에 공장을 짓는 등 7 대기업조차 국내 B2C 사업을 포기하고 있습니다. '정책 수혜'가 아닌 '정책 피해'가 현실화된 상황이며, 이는 동사 주가의 중장기적 상승을 가로막는 가장 근본적인 한계입니다.

(3) 테마 3: [신사업] 농업용 멀칭필름의 사업화 및 수출 (유일한 펀더멘털 모멘텀)

위의 두 테마가 '기대'와 '우려' 사이의 충돌이라면, 세 번째 동인은 유일하게 '실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펀더멘털 모멘텀입니다. 동사가 전략적으로 추진 중인 농업용 멀칭필름 및 소재 사업 5은 아직 주가에 본격적으로 반영되지 않은 '잠재적' 테마입니다.

만약 6에서 언급된 미국, 일본, 호주 등 해외 대형 종묘사와의 실질적인 '수주 공시'가 발생한다면, 이는 '탈플라스틱'이라는 모호한 테마가 아닌 '수출 실적'이라는 가시적인 숫자로 확인되는 것입니다. 이는 2026년 실적 턴어라운드의 신호탄이 되며, 주가의 재평가(Re-rating)를 유발할 수 있는 가장 강력하고 유일한 촉매제(Catalyst)입니다.

IV. 재무 상태 진단 및 2026년 실적 전망 [심층 분석]

(1) 재무 상태 진단: 2025년, 수익성 붕괴의 해

2024년 세림B&G는 매출액 $554$억원, 영업이익 $31$억원(OPM $5.6\%$), 순이익 $23$억원을 기록하며 상대적으로 견조한 실적을 보였습니다.1

그러나 2025년 진입과 동시에 실적은 수직 낙하했습니다.

  • 2025년 1분기: 매출액 $122$억원(YoY $-19\%$), 영업이익 $2$억원(YoY $-84\%$), 순이익 $2$억원(YoY $-78\%$)을 기록하며 심각한 어닝 쇼크(Earning Shock)를 시현했습니다.9
  • 2025년 2분기: 7월 29일 발표된 실적에 따르면 매출액 $116.7$억원, 순이익 $1.2$억원으로 1분기와 유사한 저조한 실적이 지속되었습니다.16
  • 2025년 3분기: 매출액은 $140.3$억원으로 전년 대비 소폭($+6.2\%$) 성장했으나, **영업이익은 $5.7$억원(YoY $-34.9\%$)**으로 수익성 악화 추세가 이어졌습니다.8

2025년의 실적 붕괴는 '마진 스퀴즈(Margin Squeeze)'의 전형적인 결과입니다. 3분기 이익률 축소의 표면적 원인은 '원재료 가격 상승' 8입니다. 친환경 소재(PLA, PBAT)는 국제 유가 17 및 옥수수 등 곡물 가격과 연동되어 원가 부담이 높습니다.

하지만 더 근본적인 원인은 '가격 전가(P)의 실패'입니다. EL724 규제 혼선 7으로 인해 국내 B2C 시장에서 '생분해' 제품이 프리미엄을 인정받기는커녕 오히려 외면받는 상황입니다. 수요가 위축된 상태에서 원가 상승분($\text{C}$)을 판매가($\text{P}$)에 전가할 수 없었던 것이 2025년 영업이익 붕괴의 본질입니다.

(2) [심층] 향후 산업 전망 및 2026년 실적/수주 추정

산업 전망

글로벌 바이오 플라스틱 시장은 지속가능성에 대한 요구, 제조업체의 탈탄소 목표, 1회용 플라스틱 규제 등에 힘입어 향후 10년간 연평균 $12.4%$의 고성장이 예상됩니다.18

그러나 국내 시장은 '도입기'에 불과하며, PBAT, PLA 등 원료를 전량 수입 14하여 가공하는 다운스트림 부문 위주로 형성되어 있습니다.14 무엇보다 정부의 모순적인 규제 정책 7에 산업 전체가 종속되어 있어, 글로벌(Tailwind)과 국내(Headwind)의 방향성이 정반대입니다. 따라서 국내 B2C 시장에 매몰될 경우 도태될 수밖에 없으며, 해외 수출 및 B2B(농업용 등)로 활로를 개척해야만 생존이 가능한 시장 환경입니다.

2026년 실적 추정 (V자 회복 시나리오)

2025년의 저조한 1~3분기 실적 8을 바탕으로, 2025년 연간 실적은 매출액 $530$억원(YoY $-4.3\%$), 영업이익 $8$억원(YoY $-74.2\%$), OPM $1.5%$로 추정됩니다.

2026년 실적은 신사업(멀칭필름)의 성과에 따라 V자 회복을 가정합니다.

  • 가정 1 (진공성형): 기존 캐시카우 사업부 안정적 유지 (매출 $400$억원).
  • 가정 2 (친환경 B2C): EL724 규제 리스크 7 지속으로 현 수준 정체 (매출 $110$억원).
  • 가정 3 (신사업): 2024년 사업화 이후 2년차, 농업용 멀칭필름 B2B 및 해외 수출 6 성과 발생 (신규 매출 $90$억원).
  • 결론: 2026년 매출액 $600$억원(YoY $+13.2\%$), 신사업의 마진 기여로 OPM $5.0\%$ 회복, **영업이익 $30$억원(YoY $+275\%$)**을 추정합니다. 이는 2025년의 붕괴를 딛고 2024년 1 수준으로 복귀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표 1. 세림B&G 핵심 재무제표 요약 및 2026년 실적 추정>

(단위: 억원) 2022 (A) 2023 (A) 2024 (A) 2025 (E) (추정) 2026 (E) (추정)
매출액 525 582 554 530 600
영업이익 27 43 31 8 30
(영업이익률) ($5.1\%$) ($7.4\%$) ($5.6\%$) ($1.5\%$) ($5.0\%$)
당기순이익 19 36 23 5 24
EPS (원) 54 (추정) 102 (추정) 82 6 14 (추정) 85 (추정)

V. 현안 및 잠재적 이슈 분석 (기회와 위기)

(1) 기회 (Opportunity)

  1. 농업용 신사업의 조기 안착: 6에서 언급된 미국, 일본, 호주 등 해외 대형 종묘화훼사를 대상으로 한 생분해 멀칭필름 수출 계약이 2026년 이전에 가시화될 경우, 이는 '실적 턴어라운드'를 조기에 달성하고 주가 재평가를 이끌어내는 핵심 동력이 될 것입니다.
  2. 정부 정책의 긍정적 선회: 2028년 EL724 재검토 7 이전에, '생분해 플라스틱 별도 수거 및 처리'를 위한 정부 차원의 인프라 구축 등 근본적인 해결책이 마련될 경우, 막혀 있던 국내 B2C 시장이 다시 열릴 수 있는 잠재력이 있습니다.

(2) 위기 (Risk)

  1. [핵심] EL724 규제 리스크의 현실화: 7에서 지적된 바와 같이, 대기업인 LG화학과 SKC조차 국내 생분해 플라스틱 공장 가동을 중단하거나 국내 진출을 포기하고 베트남으로 이전하고 있습니다.7 이는 EL724 정책 리스크가 단순한 '혼선'이 아닌, 국내 생분해 플라스틱 산업 생태계 자체를 '고사'시킬 수 있는 심각한 위협임을 시사합니다. 세림B&G와 같은 중소기업이 대기업도 포기하는 국내 내수 시장에서 버티기는 사실상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따라서 '수출' 6은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입니다.
  2. 원재료 가격 변동성: 2025년 3분기 수익성 악화 8에서 보듯이 원가 관리가 핵심입니다. 국제 유가 17 및 곡물 가격 변동에 따른 PLA/PBAT 원가 부담이 2026년에도 지속될 경우, 신사업(멀칭필름)의 수익성 또한 보장할 수 없습니다.
  3. 재무구조 악화: 2025년의 급격한 실적 악화 9가 2026년까지 지속될 경우, 소형주 특성상 유동성 위기 또는 자본잠식 리스크로 비화될 수 있습니다. 과거 상환전환우선주(RCPS) 발행 이력 11 등 재무 레버리지가 존재했던 만큼, 현금 흐름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VI. 주가 분석 및 투자 전략

(1) 네이버 금융 차트 링크

(2) 수급 분석 (2025년 8월~11월): 주요 주체별 평균 매수 단가

2025년 11월 13일 조선비즈 보도 2에 따르면, 최근 1주일간(11월 6일~12일)의 수급 동향은 외국인 $123,130$주 순매수, 기관 $50,000$주 순매도로 요약됩니다.

같은 기간 주가는 1,320원, 1,274원, 1,327원, 1,300원, 1,329원을 기록했으며 2, 이를 가중평균한 외국인의 평균 매수 단가는 약 1,310원 수준으로 추정됩니다. 이는 현 주가($1,461$원) 대비 약 $+11.5\%$ 수익권으로, 이들 자금은 펀더멘털이 아닌 '탈플라스틱' 테마 2에 편승한 단기 트레이딩 성격의 자금(Hot Money)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반면, 기관은 2025년의 펀더멘털 붕괴 9를 확인하고 비중을 축소(순매도) 중인 것으로 판단됩니다. 현재 수급 주체는 '단타 성향의 외국인'과 '개인 투자자' 간의 손바뀜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가 상승을 견인할 견고한 기관 투자자의 수급은 부재한 상태입니다.

<표 2. 주요 주체별 수급 동향 및 평균 단가 추정>

구분 최근 1주 (11/6~11/12) 최근 1개월 최근 3개월
외국인 12.3만주 순매수 (데이터 없음) (데이터 없음)
(추정 평단) 약 1,310원 - -
기관 5.0만주 순매도 (데이터 없음) (데이터 없음)
(추정 평단) (매도) - -
개인 (약 7.3만주 순매도) (데이터 없음) (데이터 없음)

(3) 기술적 분석 및 가격 전망 (2025년 4분기)

  • 52주 가격대: 최고가 2,130원 / 최저가 1,080원.19
  • 현 기술적 상태: 2025년 10월 31일 기준, MA50, MA100, MA200 등 중장기 이동평균선은 모두 '매도(Sell)' 시그널을 보이며 장기 하락 추세가 지속되고 있음을 확인시켜 줍니다.19 다만, MA5, MA10 등 단기 이평선은 '매수(Buy)' 시그널을 보여 19, 최근의 '탈플라스틱' 테마 2에 기반한 단기 반등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 주요 지지/저항: 클래식 피벗 포인트 기준 19, 1차 지지선은 $1,400\text{원}$, 1차 저항선은 $1,410\text{원} \sim 1,415\text{원}$ 수준으로, 현재 $1,400\text{원}$대에서 치열한 공방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핵심 지지선(바닥)은 52주 최저가인 $1,080\text{원}$, 핵심 저항선(천장)은 52주 최고가인 $2,130\text{원}$입니다.

(4) 25년 4/4분기까지 주가 예측 (객관성 중심) 및 상세 근거

2025년 4분기(12월 말)까지 주가는 1,250원 ~ 1,850원 사이의 넓은 박스권 내에서 등락을 반복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 상세 근거 1 (하단 제한): 2025년의 심각한 실적 쇼크 9에도 불구하고 주가가 52주 최저가($1,080$원)를 이탈하지 않는 이유는, 2026년 신사업(멀칭필름) 6을 통한 회복 기대감과 '탈플라스틱'이라는 강력한 정책 테마 2가 주가의 하방 경직성을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 상세 근거 2 (상단 제한): 2026년 실적 회복(영업이익 $30$억원)을 가정하더라도, 이는 2024년(영업이익 $31$억원) 수준으로의 '복귀'에 불과합니다. 2024년 실적 기준 PER $16.85\text{배}$ 1를 2026년 추정 EPS($85$원)에 적용한 펀더멘털 적정가치는 약 $1,430\text{원} \sim 1,510\text{원}$ 수준입니다. (상세 산출은 (6)번 항목 참조)
  • 결론: 펀더멘털 가치(약 $1,500$원)가 이미 현 주가($1,461$원)에 반영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1,850$원을 넘어서는 급등은 오직 '정책 테마' 2에 의한 오버슈팅(Overshooting) 영역이며, 펀더멘털로는 지지되지 않아 단기 급등에 그칠 가능성이 높습니다.

(5) 25년 4/4분기까지 단기 가격대 산출 (%표기) 및 단기 매매 전략

  • 현 주가($1,461$원) 기준 단기 가격대 (2025년 4분기 말까지):
    • 예상 저점: 1,250원 ($-14.4\%$)
    • 예상 고점: 1,850원 ($+26.6\%$)
  • 단기 매매 전략 (테마 기반 트레이딩):
    • 본 종목은 '가치 투자' 대상이 아닌, '테마 트레이딩' 대상입니다.
    • 매수 전략: $1,300$원 이하, 52주 최저가($1,080$원) 근접 시 분할 매수. 이는 최근 유입된 외국인 평균 단가($1,310$원) 2와 유사한 레벨입니다.
    • 매도 전략: '탈플라스틱' 관련 정부 정책 뉴스 3가 보도되며 VI가 발동 2하고 기술적 과열 신호(RSI 과매수 등 19)가 발생하는 시점 (약 $1,800\text{원} \sim 2,000\text{원}$)에서 전량 차익 실현합니다.
    • 손절매: 2026년 핵심 동력인 '멀칭필름 수출' 6이 무산되거나, 52주 최저가($1,080$원)를 이탈할 경우 즉시 손절합니다.

(6) 증권사들 목표주가 산출

8에서 확인되듯이, 현재 세림B&G를 정기적으로 분석(Coverage)하는 증권사의 공식적인 투자의견이나 목표주가(컨센서스)는 없습니다(Uncovered).

다음은 본 보고서의 자체 목표주가 산출(Analyst Proxy Target) 근거입니다.

  1. 2025년의 붕괴된 실적(추정 EPS $14$원)은 밸류에이션의 기준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따라서 2026년의 '정상화된' 실적을 기반으로 밸류에이션을 수행해야 합니다.
  3. 2026년 추정 EPS: $85\text{원}$ (표 1 참조)
  4. 적용 PER (배수): 1에서 확인된 2024년 결산 기준 PER **$16.85\text{배}$**를 적용합니다. 이는 동사가 과거 정상 실적 하에서 시장으로부터 부여받았던 밸류에이션입니다.
  5. 산출 목표주가: 2026년(E) EPS $85\text{원} \times$ PER $16.85\text{배} = \text{약 } \mathbf{1,432\text{원}}$

결론적으로, 시장은 이미 2025년의 실적 쇼크를 무시하고 2026년의 턴어라운드를 '100%' 선반영하고 있습니다. 현 주가 $1,461$원은 고평가 또는 적정 주가 상단에 위치하며, 추가적인 펀더멘털 상승 여력(Upside)은 매우 제한적입니다.

VII. 주요 이벤트 및 기타 참고 사항

(1) 주가에 영향을 준 뉴스

  • [2025.11.13] "탈 플라스틱 테마,... 세림B&G (VI 발동)" 2 - 테마성 급등
  • [2025.08.04] "[특징주]세림B&G, 탈플라스틱 정책 힘 입어 강세" 3 - 정책 테마
  • [2025.07.03] "[특징주]李대통령 "탈플라스틱 로드맵 마련"…관련주 강세" 9 - 정책 테마
  • [2025.07.10] "[기재정정]분기보고서(2025.03)" 9 - 1분기 실적 쇼크($-84\%$) 확인

(2) 최근 6개월 이내 주요 공시 (2025년 5월 ~ 11월)

  • 2025.07.10: [기재정정]분기보고서(2025.03) 9
    • 2025년 1분기 실적 보고서 제출. 영업이익 $84\%$ 감소 등 펀더멘털 악화를 공식 확인했습니다.
  • 유의미한 공시 부재: 해당 기간(5월~11월) 동안, 2026년 실적 회복의 핵심인 신사업(멀칭필름) 6 관련 대규모 수주 공시나 자금 조달 등 주가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공시는 확인되지 않았습니다.20 이는 신사업이 아직 '기대' 단계에 머물러 있으며 '실적'으로 증명되지 않았음을 시사합니다.

(3) 최신 핵심 뉴스 링크 (3개)

  1. [조선비즈][뉴스봇] 세림B&G가 VI가 발동했다. (2025.11.13)
  2. [핀포인트뉴스] 플라스틱 대신 생분해 필름... 세림B&G, 친환경 성장성 부각 (2025.09.04)
  3. [녹색경제신문][특징주]세림B&G, 탈플라스틱 정책 힘 입어 강세 (2025.08.04)

(4) 기타 투자 참고 사항 (대내외 변수)

  • 원재료(PBAT, PLA) 가격: 8(수익성 악화)에서 보듯이 원가 관리가 핵심입니다. 국제 유가 17 및 옥수수 등 곡물 가격 변동성을 지속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 환율: 원재료 대부분을 수입 14에 의존하므로, 원/달러 환율 상승은 원가 부담을 가중시키는 직접적인 악재입니다.
  • 유통물량: 시가총액 $377$억원 15의 초소형주로, 외국인 지분율이 $1.65\%$ 15로 낮아 적은 거래량으로도 주가 변동성이 극심합니다. 이는 기관 투자자의 접근성을 낮추고 테마성 투기를 조장하는 요인입니다.

VIII. 면책 사항 고지

본 보고서는 (주)세림B&G(340440)에 대한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작성되었으며, 투자 권유를 목적으로 하지 않습니다. 본 보고서의 내용은 공개된 자료 1 및 신뢰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정보에 기반하여 작성되었으나,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습니다.

본 보고서에 포함된 2026년 실적 추정치 및 주가 예측은 당사 애널리스트의 주관적인 판단과 가정(신사업 성과 등)에 기반한 것이며, 실제 결과와 다를 수 있습니다.

투자자는 본인의 판단과 책임 하에 투자 결정을 내려야 하며, 본 보고서의 내용은 어떠한 경우에도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 소재의 증빙 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본 보고서의 내용은 작성일(2025년 11월 14일) 기준으로, 향후 예고 없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