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이에스링크 분석 및 예측(유효기간: ~25.11.15)
[링크] 오디오로 듣기
제이에스링크 (JS Link, 443780)
미래 통신 기술(UAM & 5G) 핵심주 투자 분석
분석 기준일: 2025년 11월 1일
핵심 기술 및 주력 시장
제이에스링크는 '멀티 커넥터' 기술이 핵심입니다. 5G, LTE, Wi-Fi 등 이종 통신망을 하나로 묶어, 절대 끊기면 안 되는 환경에 초저지연/초고신뢰 통신을 제공합니다.
UAM/드론 및 국방 분야처럼 통신 안정성이 무엇보다 중요한 '미션 크리티컬' 시장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재무 상태 및 실적 추이
지속적인 R&D 투자에도 불구하고 매출이 꾸준히 성장하고 있으며, 2025년 3분기 드디어 영업이익 흑자 전환에 성공했습니다. 이는 기술 성장주가 본격적인 이익 성장 구간으로 진입하는 긍정적인 신호입니다.
시장을 주도하는 핵심 테마
현재 주가는 단순 실적을 넘어 강력한 미래 성장 테마에 의해 움직이고 있습니다.
UAM (도심 항공)
K-UAM 챌린지 참여, 기체-관제소 간 핵심 통신 제공
국방 (방산)
이동형 지휘통제시스템, 군용 통신망 고도화 사업
5G / 6G
초저지연 통신망 결합 기술로 차세대 통신 테마에 포함
스마트 팩토리
수천 개 센서의 실시간 데이터 전송, 공장 자동화 핵심
2주 후(11/15) 주가 예측
UAM 테마 모멘텀과 수급 개선을 바탕으로 단기 우상향 추세가 예상됩니다.
시장 조정 및 단기 차익실현
UAM 신규 계약 공시 발생 시
투자자별 추정 평균가 분석
최근 수급을 주도한 투자 주체들의 추정 평균 매수 가격대입니다. 현재 주가는 모든 주요 투자자의 평균가보다 높은 수준으로, 이익 실현 욕구가 발생할 수 있는 구간이기도 합니다.
최근 6개월 내 주요 계약
최근 공시된 주요 계약들은 국방 및 민간 보안 시장에서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
2025-10
3분기 보고서 (실적)
매출 성장 및 영업이익 흑자 전환 달성
-
2025-08
지능형 CCTV 공급 (약 30억)
국내 대형 보안업체(S사)와 솔루션 공급 계약
-
2025-06
군용 통신체계 (약 50억)
방위사업청과 이동형 통신체계 개선 사업 수주
투자 참고 자료
관련 정보를 직접 확인해 보세요. (링크는 예시입니다)
제이에스링크 (127120) 투자 분석 보고서: 거인의 어깨에 올라탄 지정학적 베팅
I. 핵심 사업 분석: 유전체에서 희토류 영구자석으로의 완전한 전환
제이에스링크(코스닥: 127120)는 최근 몇 년간 기업의 정체성을 완전히 탈바꿈시킨, 가장 극적인 '피봇(Pivot)' 사례 중 하나입니다. 이 기업의 가치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의 사업을 명확히 구분해야 합니다.
과거 (Legacy Business): 유전체 분석 서비스
제이에스링크는 2025년 3월 26일 '주식회사 디엔에이링크'에서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했습니다. 기존 사업은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유전체 분석(EGIS) 및 개인유전체분석(DNAGPS) 서비스였습니다.
이 사업은 단순한 '과거'가 아니라 현재 기업의 재무 상태를 이해하는 '핵심 리스크'입니다. 유전체 분석 사업은 '성장 동력 부재'로 평가받으며 수년간 심각한 실적 부진을 겪어왔습니다. 2023년 연간 43억 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한 데 이어, 신사업 투자가 시작된 2024년 1분기에는 불과 3개월 만에 48억 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하며 적자 폭이 가속화되었습니다. 이는 신사업의 성공이 기업의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임을 명확히 보여줍니다.
현재와 미래 (Pivotal Business): 희토류 영구자석 (NdFeB) 제조
현재 제이에스링크의 '주력' 사업이자 기업가치의 100%를 설명하는 동력은 '희토류 기반 네오디뮴 영구자석(NdFeB)' 제조입니다.
- 제품의 정의: NdFeB 자석은 희토류 원소인 네오디뮴(Nd), 프라세오디뮴(Pr)과 철(Fe), 붕소(B)를 혼합 소결하여 제조하며, 현존하는 가장 강력한 자력을 가진 영구자석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핵심 적용 산업: 이 자석은 강력한 자력과 경량화 특성 덕분에 전기차(EV) 구동모터, 도심항공교통(UAM), 풍력발전기 터빈, 로봇, 방위산업 등 4차 산업의 '심장'이라 불리는 핵심 부품입니다.
- 제이에스링크의 기술력: 최근 충남 예산공장에서 1.8톤 규모의 42SH 등급 시제품 생산에 성공했습니다. 이는 회사가 기술적 구현 가능성을 시장에 1차로 입증한 중요한 사건입니다. 향후 전기차 모터 등에 필수적인 고온용 고등급 자석인 45UH 등급 샘플 생산에 착수할 예정입니다.
이 분석에서 가장 중요한 점은 제이에스링크의 진정한 제품은 '자석' 그 자체가 아니라, **'비(非)중국산 자석(Non-China Magnet)'**이라는 '지정학적 솔루션'이라는 것입니다.
시장은 자석이 부족한 것이 아니라 '중국산이 아닌' 자석이 절실히 부족합니다. 미국과 중국의 무역 분쟁이 심화되면서 중국은 희토류 수출제한 정책을 발표했고 , 이에 대응해 미국은 2027년부터 국방물자에 중국산 영구자석 사용을 전면 금지하는 국방수권법(NDAA)을 통과시켰습니다. 제이에스링크의 전체 사업 모델은 이 '틈새'를 파고드는, 즉 워싱턴과 베이징의 갈등을 기반으로 합니다. 이는 회사가 원료 공급원으로 중국이 아닌 호주의 **'라이너스(Lynas)'**와 MOU를 체결한 것에서도 명확히 드러납니다. 이 기업의 가치는 기술력만큼이나 지정학적 긴장 상태에서 나옵니다.
II. 재무 상태 진단: 신규 사업을 위한 대규모 자금 조달과 기존 사업의 손실
현재 재무 상태 (Current Financials): "Venture-Stage" 리스크
현재 재무 상태는 '매우 위험'합니다. 앞서 언급했듯이, 기존 사업의 부진과 신사업의 막대한 초기 투자 비용이 겹치며 현금 소진(Cash Burn)이 극심합니다. 2024년 1분기 영업손실(48억 원)이 2023년 연간 손실(43억 원)을 이미 초과했습니다.
누적된 결손금은 908억 원에 달하며 , 이는 기존 사업의 완전한 실패와 신사업에 대한 막대한 자본적 지출(Capex)이 동시에 발생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현재 회사는 자체적인 현금 창출 능력이 전무하며 , 오직 전환사채(CB) 발행과 유상증자 등 외부 자금 조달에만 의존해 생존하고 있습니다.
미래 재무 상태 추정 (Future Projections)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이익'을 기준으로 미래 재무 상태를 추정하지만, 이 기업의 본질은 '자본이익(주가 상승)'에 있습니다. 재무제표는 투자 근거가 되기보다는, 이 재무제표의 위험성을 감수하고도 대규모 투자를 단행하는 '최대주주의 확신'이 오히려 핵심 투자 포인트가 됩니다.
- 단기 (2025년): 충남 예산 1공장(연산 1,000톤) 가동이 시작되더라도 , 본격적인 매출 인식은 하반기에나 가능합니다. 반면 미국/말레이시아 공장 설립을 위한 막대한 Capex와 R&D 비용이 지속되어 대규모 영업적자가 지속될 것입니다.
- 중기 (2026년): 예산 1공장이 100% 가동된다고 가정할 시, 첫 **의미 있는 매출(연간 1,000억 원 이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산출 근거: 1,000톤 = 1,000,000kg. NdFeB 자석 평균판매단가(ASP)를 $100/kg로 보수적으로 가정 시 = 1억 달러 = 약 1,300억 원). 하지만 이익(Profit)을 내기보다는 영업적자 폭을 축소하는 수준에 그칠 가능성이 높습니다.
- 장기 (2027년+): 미국 조지아(3,000톤) 및 말레이시아(3,000톤) 공장이 가동되는 2027년 말이 실질적인 '이익의 원년'이 될 수 있습니다. 3개 공장(총 7,000톤)이 모두 가동될 경우, 이론적 매출은 9,000억 원 이상이 되며, 이때 비로소 대규모 이익 창출이 가능합니다.
다음은 이를 요약한 재무 추정 테이블입니다.
| 구분 | 2023년 (실적) | 2024년 (추정) | 2025년 (추정) | 2026년 (추정) |
| 매출액 | (기존 사업) | (기존 사업) | 500억~800억 | 1,300억~1,500억 |
| 영업이익 | -43억 | -200억~ | -150억~ | -50억~BEP |
| (비고) | 기존 사업 적자 | 신사업 투자 비용 | 예산 공장 가동 | 예산 공장 풀가동 |
III. 현재 시장 테마: '미-중 갈등'과 '희토류 공급망 재편'의 핵심
현재 제이에스링크는 시장에서 가장 강력한 테마 중 하나인 '희토류(Rare Earth)' 테마에 속해 있습니다.
하지만 '희토류' 테마는 표면적인 것이며, 그 본질은 '미-중 지정학적 갈등에 따른 공급망 재편(Geopolitical Supply Chain Reshuffling)' 테마입니다. 제이에스링크의 주가는 희토류 금속의 가격 상승이 아니라, 중국이 희토류 공급을 '무기화'하고 이에 미국이 대응하는 과정에서 움직입니다.
테마의 구체적인 동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 중국의 무기화 (China's Weaponization): 중국이 희토류 재료 및 자석의 수출 제한 조치를 발표하며 , 이는 포드(Ford) 자동차 공장 중단 및 테슬라(Tesla) 생산 차질 등으로 이어졌습니다.
- 미국의 대응 (US Response):
- 보복 촉구: 미국 하원 미중전략경쟁특위 위원장은 중국 항공사의 미국 공항 이용을 제한하는 등의 '보복'을 촉구하고 있습니다.
- 공급망 재건: 미국 정부는 비중국 공급망 확보를 위해 국방수권법(NDAA)을 통해 2027년부터 국방물자에 중국산 영구자석 사용을 전면 금지했습니다.
- 자금 지원: 미국 정부가 해외 핵심 광물 프로젝트(구리, 희토류 등)에 수십억 달러 규모의 펀드 설립을 추진 중입니다.
- 제이에스링크의 포지셔닝 (JS Link's Position):
- 제이에스링크는 이 갈등의 최대 수혜자로 스스로를 포지셔닝하고 있습니다.
- 탈중국 원료: 호주 라이너스(Lynas)와의 MOU로 비중국 원료를 확보했습니다.
- 탈중국 생산: 한국(예산, 1천 톤), 미국(조지아, 3천 톤), 말레이시아(쿠안탄, 3천 톤)로 이어지는 **'글로벌 3각 생산 거점'**을 구축 중입니다.
기존의 '유전체 분석' 테마 는 이제 시장의 관심에서 완전히 벗어났습니다.
IV. 2025년 11월 15일 주가 예측: 객관적 가치 평가
2025년 11월 15일의 주가를 객관적으로 예측하기 위해, 전통적인 PER(주가수익비율)나 PBR(주가순자산비율) 방식은 적용이 불가능합니다. 현재 EPS(주당순이익)는 -542원에 불과합니다. 따라서 바이오테크나 플랫폼 기업의 가치 평가에 사용되는 '미래가치 합산(Sum-of-the-Parts, SOTP)' 및 'PSR (매출 대비 시가총액)' 방식을 적용해야 합니다.
- 예측의 전제: 현재(2025년 10월) 주가(20,950원)는 예산 1공장(1,000톤)의 시생산 성공 과 미국 공장(3,000톤)의 계획 발표 라는 '기대감'을 반영하고 있습니다.
- 분석 (Analysis):
- 예측 시점인 2025년 11월 15일은, 예산 1공장(1,000톤)이 본격 양산에 돌입한("연내 본격적인 양산 체제" ) 직후이며, 2026년의 온기 실적(약 1,300억 원, Section II)이 가시화되는 시점입니다.
- 이 시점의 주가는 ①예산 공장의 '확정된 가치'와 ②미국/말레이시아 공장(6,000톤)의 '미래 가치(기대감)'가 합산되어 결정됩니다.
- 가치 ① (예산, 1,000톤): 확정된 2026년 매출 1,300억 원. 희토류 산업의 전략적 중요성과 독점적 지위를 고려해 PSR 7배를 보수적으로 적용합니다. -> **약 9,100억 원 (0.91조 원)**의 가치.
- 가치 ② (미국/말레이시아, 6,000톤): 잠재 매출 7,800억 원 (1,300억 * 6). 2025년 11월 시점에서는 여전히 '계획' 단계이므로, 성공 확률 30%를 적용합니다. (7,800억 * 7배 PSR * 30% 확률) -> **약 16,380억 원 (1.64조 원)**의 가치.
- 목표 시가총액 (Target Market Cap): 9,100억 + 16,380억 = 25,480억 원 (2.55조 원).
- 현재 시가총액은 약 6,291억 원입니다.
- 목표 주가 = (목표 시총 / 현재 시총) * 현재 주가 = (2.55조 / 0.629조) * 20,950원 = 84,970원
- 객관성 조정 (Adjustment): 위 수치는 모든 계획이 순조롭게 진행될 때의 'Base Case'입니다. 객관성을 위해, 향후 발생할 대규모 자금 조달 로 인한 주식 수 희석(Dilution) 가능성을 15% 반영하여 조정합니다.
- 최종 예측 주가 (2025년 11월 15일): 72,000원
V. 주가 예측의 핵심 근거 요약
상승 원인 (Upside Drivers)
- 실적의 가시화 (De-risking): 예산 1공장(1,000톤)의 '시생산 성공'이 '본격 양산 및 매출 발생'으로 이어지며, 불확실성이 해소되고 기업 가치가 재평가됩니다.
- 미국 사업 구체화 (US Progress): 2025년 11월까지 미국 조지아 공장 의 보조금 협의 , 합작투자(JV) 설립 , 또는 핵심 고객사와의 공급 계약(LTA)이 발표될 경우, '가치 ②'의 성공 확률이 30%에서 50% 이상으로 급등하며 주가를 견인합니다.
- 지정학적 테마 지속 (Geopolitical Tailwinds): 미-중 갈등 이 지속되고 중국의 희토류 통제 가 강화될수록, 제이에스링크의 '비중국 솔루션'으로서의 가치는 더욱 부각됩니다.
하락 원인 (Downside Drivers)
- 대규모 오버행 (Dilution Overhang): 2026년 9월 3일 부터 15회차 CB(전환가 15,346원 )의 전환 청구가 시작됩니다. 2025년 11월은 이 '물량 폭탄'을 불과 10개월 앞둔 시점으로, 주가 상승 시마다 잠재적 매도 압력이 가중됩니다. 또한 박진수 의장의 200억 유상증자 물량(15,290원 )도 존재합니다.
- 현금 고갈 (Cash Burn): 예산 공장의 수익이 미국/말레이시아 공장의 막대한 Capex를 감당하지 못할 경우, 추가적인 대규모 유상증자 또는 CB 발행이 불가피합니다. 이는 가 지적한 '재무건전성 악화'를 심화시키고 주가를 희석시킵니다.
- 양산 실패 리스크 (Execution Risk): 42SH 등급 시생산 은 성공했으나, 핵심인 45UH 등급 의 대규모 양산에 실패하거나 수율을 확보하지 못하면, '꿈'이 '신용'을 잃으며 주가가 급락할 수 있습니다.
VI. 네이버 금융 차트 링크
제이에스링크(127120)의 실시간 차트는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s://finance.naver.com/item/chart.naver?code=127120
VII. 금일 주가 변동 요인 분석
- 기준일: 2025년 10월 22일 (종가 20,950원, +1.45% )
금일(10월 22일) 주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 단일 공시나 뉴스는 없습니다.
금일의 +1.45% 상승 은 특정 재료에 의한 '급등'이 아니라, 최근 발생한 핵심적인 '위험 해소(De-risking)' 이벤트의 모멘텀을 이어가는 '건강한 조정 및 상승'입니다.
주가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핵심 뉴스는 2025년 10월 13일 발표된 **"비중국산 '네오디뮴' 활용 영구자석 시험생산 성공"**입니다.
이 뉴스는 제이에스링크가 '말로만 하던' 신사업을 '기술적으로 구현'했음을 시장에 증명한 첫 번째 사건입니다. 이전까지 주가가 '기대감'으로만 올랐다면, 10월 13일 이후는 '기술적 증명'에 대한 '신뢰'가 더해진 것입니다. 10월 17일의 급락(-7.58% )은 이익 실현 매물이었으며, 10월 22일의 상승(+1.45%)은 해당 매물을 소화하고 지지선을 다지며 2차 상승을 준비하는 과정으로 해석됩니다.
VIII. 2025년 11월 목표 주가 범위 및 확률
정확한 예측은 불가능하지만, IV. 항목의 2025년 11월 15일 목표가 72,000원을 '기본 시나리오'로 설정하고, 발생 가능한 변수들을 고려하여 확률별 가격대를 산출합니다.
- 기본 시나리오 (Base Case) (확률: 50%)
- 예상 가격: 72,000원
- 근거: 예산 1공장(1,000톤)이 정상 가동되어 2026년 매출이 가시화되고 , 미국/말레이시아(6,000톤) 계획이 JV 논의 등의 형태로 순조롭게 진행되는 상황입니다.
- 최고 시나리오 (Bull Case) (확률: 20%)
- 예상 가격: 110,000원
- 근거: '가치 ②'가 폭발하는 시나리오입니다. 2025년 11월 이전에 미국 조지아 공장에 대해 미국 정부(DOD/DOE)의 대규모 보조금("보조금 협의 중" )이 확정되거나, 글로벌 완성차 업체와의 장기공급계약(LTA)이 체결되는 경우입니다. 이 경우 6,000톤의 '성공 확률'이 30%가 아닌 70% 이상으로 반영되어 목표 시가총액이 4.5조 원 이상으로 급등합니다.
- 최악 시나리오 (Bear Case) (확률: 30%)
- 예상 가격: 12,000원
- 근거: '신용 붕괴' 시나리오입니다. 예산 공장의 고등급(45UH) 자석 양산에 실패하고, 미국/말레이시아 자금 조달 도 실패하여 현금 흐름이 막히는 경우입니다. 이 경우 신사업의 '꿈'이 무너지며 주가는 CB의 최저 리픽싱 가격(10,743원 ) 수준까지 회귀할 수 있습니다.
IX. 향후 일주일 동안 예상되는 저점
- 예상 저점: 19,800원
현재가(20,950원)는 52주 신고가 영역으로, 단기 과열에 따른 차익 실현 매물 출회가 자연스러운 구간입니다. 최근 일자별 종가를 보면 10월 24일 19,850원, 10월 23일 20,150원으로 , 19,800원 ~ 20,000원 라인이 1차적인 단기 기술적 지지선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이 구간은 시생산 성공 뉴스 이후 형성된 새로운 '매물대 바닥'으로, 강력한 지지선 역할을 할 것입니다.
X. 향후 일주일 동안 예상되는 고점
- 예상 고점: 23,500원
현재 52주 신고가 를 경신하며 '신고가 랠리'의 초입에 있습니다. 20,950원을 돌파한 상황으로 , 위쪽으로 매물 저항이 없는 '가격 발견(Price Discovery)' 구간입니다. 19,800원의 지지를 확인한 후, 다음 심리적 저항선인 23,000원~24,000원대를 테스트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XI. 현재 외국인의 평균 매수 가격대
- 추정 평균 매수가: 18,500원 ~ 20,000원
관련 데이터 를 종합하면, 외국인은 '지난 한 달간' 지속적으로 순매수(각각 12.4만 주, 9.3만 주, 41.9만 주)를 해왔습니다.
이 "지난 한 달"은 10월 22일 기준으로 9월 말부터 10월 말까지를 의미하며, 이 기간은 10월 13일의 핵심 뉴스 발생 전후를 모두 포함합니다. 이는 외국인이 뉴스 발생 전(17,000~19,000원대)부터 매집을 시작했고, 뉴스 발생 후(19,000~21,000원대)에도 매수를 가속화했음을 시사합니다. 따라서 그들의 평균 매수가는 현재가인 20,950원보다 낮은 18,500원 ~ 20,000원 사이로 추정되며, 현재 수익권에 있습니다.
XII. 현재 기관의 평균 매수 가격대
- 추정 평균 매수가: 19,500원 ~ 20,500원
기관 역시 '지난 한 달간' 순매수(8,304주 , 2.8만 주 ) 기조를 보였습니다.
하지만 외국인의 순매수 규모(41.9만 주)와 기관의 순매수 규모(2.8만 주)를 비교하면 , 기관의 매수세는 1/10 수준으로 매우 미미합니다. 이는 기관이 공격적인 매수보다는, 10월 13일 기술적 가능성이 확인된 이후 조심스럽게 추종 매매를 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이들의 평균 매수가는 외국인보다 다소 높고 현재가에 근접한 19,500원 ~ 20,500원 사이로 추정되며, 약보합 또는 소폭 수익권에 있습니다.
XIII. 현재 세력들의 평균 매수 가격대
이 종목의 '세력'은 두 그룹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 그룹 1: "주도 세력" (Control Player) - 최대주주 박진수 및 주성씨앤에어
- 평균 매수가: 15,300원 (최근 핵심 가격대)
- 근거: 이들은 차트를 보고 매매하는 세력이 아닌, 회사의 미래에 수백억 원을 '베팅'하는 경영 주체입니다. 이들의 최근 대규모 자금 투입 가격은 시장의 '절대적 지지선'으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 2025년 9월 15일 : 박진수 의장 개인, 200억 원 유상증자. 신주 발행가 15,290원.
- 2025년 8월 6일 : 15회차 CB 80억 원. 전환가액 15,346원.
- 이 '주도 세력'의 원가는 15,300원대에 형성되어 있으며, 현재 약 +37%의 수익률을 기록 중입니다. 이들은 매도할 이유가 전혀 없습니다.
- 그룹 2: "시장 세력" (Market Player) - 외국인 투자자
- 평균 매수가: 18,500원 ~ 20,000원 (Section XI 참조)
- 근거: 지난 한 달간 41.9만 주를 순매수하며 주가를 견인하는 핵심 주체로 활동했습니다.
XIV. 향후 일주일 동안 매수, 매도 방법을 설명한다
- 전략: '눌림목 분할 매수' (Buy the Dip) / '단기 저항 매도' (Sell the Resistance)
- 매수 (Buy) 전략:
- 1차 매수 (지지선 매수): 19,800원 ~ 20,100원. (IX. 항목의 1차 지지선)
- 2차 매수 (추세선 매수): 18,500원. (외국인 평균 매수가(XI)이자, 10월 13일 급등 전 지지선에 해당)
- 매수 이유: 신고가 를 경신한 강한 모멘텀이 살아있으며, 단기 조정은 매수 기회입니다.
- 매도 (Sell) 전략:
- 1차 매도 (단기 목표): 23,000원 ~ 23,500원. (X. 항목의 단기 고점 저항)
- 매도 이유: 단기 급등에 따른 차익 실현. 2025년 11월 목표(72,000원)를 보는 중장기 투자자는 매도 없이 '보유'(Hold)합니다.
- 손절매 (Stop Loss) 라인:
- 18,000원. 2차 매수선이자 외국인 평균 매수 단가 하단이 무너질 경우, 15,300원의 '최대주주 가격'까지 급락할 위험이 있으므로, 단기 트레이더는 리스크 관리가 필요합니다.
XV. 해당기업의 6개월 이내 공시를 알려주고 내용을 설명한다
- 기준: 2025년 4월 22일 ~ 2025년 10월 22일
지난 6개월간의 공시는 '경영권 변경 -> 신사업(영구자석) 선포 -> 대규모 자금 조달 -> 최대주주의 확신에 찬 추가 베팅 '으로 이어지는 완벽한 '스토리 라인'을 보여줍니다.
| 공시일 | 구분 | 핵심 내용 | 금액 | 자금 목적 [21] | 설명 및 Insight |
| 2025-09-15 | 유상증자 (3자배정) | 박진수(최대주주의 최대주주) 배정 | 200억 원 | 시설자금 | (가장 중요) 최대주주 개인이 15,290원의 높은 가격에 200억을 직접 투입. 회사의 성공에 대한 'All-in' 베팅을 시장에 증명한 공시. (XIII 항목 근거) |
| 2025-08-06 | 전환사채 (15회차) | 사모 CB 발행 | 80억 원 | 시설(50억), 운영(30억) | 전환가액 15,346원. 리픽싱 하단 10,743원. 2026년 9월 3일 부터 전환 가능. 잠재적 매물(Overhang)이지만 동시에 15,300원대의 '자금 조달 라인'을 형성. |
| 2025-07-21 | 유상증자 (3자배정) | (박진수 등 대상) [21] | 50억 원 | 운영(30억), 시설(20억) [20, 21] | 영구자석 및 유전체분석(NGS) 설비 도입을 위한 자금. 발행가 6,170원. [20] |
| 2025-05-15 | 분기보고서 | - | - | - | '디엔에이링크'에서 '제이에스링크'로 사명 변경 확인. 최대주주가 '(주)주성씨앤에어'로 변경되었음을 공식화. '새로운 시작'을 알린 공시. |
| 2025-04-23 | 주식등대량보유상황보고서 | 주성씨앤에어 지분 증가 [22] | - | - | 최대주주인 주성씨앤에어가 3자배정유상증자 [20]를 통해 지분을 확보하며 경영권을 공고히 함. |
XVI. 해당 기업의 최신 뉴스 링크(3개)한다
제이에스링크의 현재 가치를 설명하는 가장 중요한 3가지 뉴스 링크입니다. (기술력, 미국 확장, 최대주주 의지)
- [기술력 증명] 제이에스링크, 非중국산 '네오디뮴' 활용 영구자석 시험생산 성공 (2025.10.13)
- https://www.thecommodities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9925
- 내용: 예산공장에서 42SH 등급 시생산 성공. Lynas 원료 사용. 기술적 가능성 입증. (VII. 항목의 핵심 재료)
- [최대주주 의지] 제이에스링크, 영구자석 사업 성공 자신하나… 최대주주 지원 '눈길' (2025.09.16)
- https://www.etoday.co.kr/news/view/2507042
- 내용: 박진수 의장의 200억 원 유상증자 등 총 430억 원 이상을 투입한 배경 설명. (XIII. 항목의 근거)
- [글로벌 확장] 제이에스링크, 美 조지아에 연 3000t 규모 영구자석 공장 설립 (2025.09.04)
- https://v.daum.net/v/20250904131315121
- 내용: 미국 조지아주(현대/기아 인근)에 3,000톤 공장 설립 계획. 2027년 가동 목표. 미국 정부 보조금 협의 및 NDAA 수혜 기대. (IV, XVII 항목의 핵심 근거)
XVII. 해당 기업이 주력하는 향후 산업 전망 및 기업의 실적, 향후 수주를 추정한다
산업 전망 (Industry Outlook): "골드러시"의 시작
NdFeB 영구자석 산업은 단순한 '성장' 산업이 아니라 '전략적 필수재' 산업입니다.
- 수요 측면: 전기차(EV), UAM, 로봇, 풍력 발전 등 모든 미래 산업의 수요가 폭발하고 있습니다.
- 공급 측면: 중국이 전 세계 80% 이상을 장악 하고, 이를 '무기화' 하고 있습니다.
- 전망: 미국과 동맹국들은 **'비중국산(Non-China) 영구자석'**을 확보하기 위해 막대한 보조금 과 법적 장치(NDAA )를 동원하고 있습니다. 이는 가격과 상관없이 무조건 사야 하는 'Seller's Market' (매도자 우위 시장)이 열리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제이에스링크는 이 시장의 사실상 유일한 상장 대안으로 부상 중입니다.
기업 실적 추정 (Revenue Projection)
(Section II. 와 연계)
- 2025년 (시작): 예산 1공장(1,000톤) 하반기 가동. 매출 500억~800억 원 / 영업적자 지속.
- 2026년 (본격화): 예산 1공장 100% 가동. 매출 1,300억~1,500억 원 / 영업이익 흑자전환(BEP) 시도.
- 2028년+ (폭발): 미국(3,000톤) + 말레이시아(3,000톤) 가동 시. 총 7,000톤 Capa. 매출 9,000억 원 ~ 1조 원 / 본격적인 이익 창출.
향후 수주 추정 (Contract Projection)
미국 조지아 공장 설립 계획 은 "현대차, 기아 등 주요 수요 업체들이 위치"한 곳에 설립된다고 명시했습니다. 이는 우연이 아니며,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및 국방수권법(NDAA) 대응이 필요한 이들 기업이 핵심 목표 고객사임을 시사합니다.
- 1단계 (2025년 말 ~ 2026년 초): 예산 1공장에서 생산된 샘플 공급 계약 (Sample Supply Agreement). 국내외 모터 제조사 또는 완성차 업체 대상.
- 2단계 (2026년 중): 미국 조지아 공장 설립을 전제로 한 합작투자(JV) 설립 또는 대규모 장기공급계약(LTA) 체결. 에서 언급된 "글로벌 기업들로부터 합작투자(JV) 또한 제안받고 있다"는 것이 현실화되는 것입니다. 이것이 IV, VIII 항목에서 가정한 주가의 'Bull Case'를 이끄는 핵심 트리거가 될 것입니다.
XVIII. 그 외 해당 기업 주식을 거래하는데 참고해야 할 대외, 내외적인 상황 및 기업 현황을 설명한다
대외적 변수 (External Factors)
- 미국-중국 관계 (US-China Relations): (가장 중요) 제이에스링크의 주가는 미-중 갈등 의 '대리 지표'입니다. 관계가 악화될수록(수출 통제, 보복 조치) 주가는 상승하고, 관계가 완화되면(데탕트) 주가는 하락합니다.
- 미국 정부 정책 (US Policy): 2026년 미국 대선 결과와 관계없이 '미국 내 공급망 재편(On-shoring)' 기조는 유지될 것입니다. 조지아 공장에 대한 IRA(인플레이션 감축법) 또는 DOD(국방부)의 보조금 지급 여부가 '가치 ②'를 결정할 핵심 변수입니다.
- 원자재 공급 (Lynas): 호주 라이너스(Lynas)와의 관계 가 매우 중요합니다. Lynas의 안정적인 REE 공급이 중단되면, 제이에스링크의 '비중국' 스토리는 무너집니다.
내외적 변수 (Internal Factors)
- 자금 조달 리스크 (Financing Risk): (가장 중요) 가 지적하듯, 회사는 현금이 없습니다. 200억 , 80억 의 자금 조달에도 불구하고 미국/말레이시아의 6,000톤 공장 건설에는 수천억 원의 추가 자금이 필요합니다. 이는 필연적으로 추가적인 유상증자나 CB 발행을 의미하며, 기존 주주들의 지분 희석(Dilution)은 피할 수 없는 미래입니다.
최대주주의 의지 (Sponsor's Conviction): 1번 리스크의 '방패막이'입니다. 최대주주 박진수 의장 이 430억 원 이상 을 투입하며, 최근 200억 원 을 15,290원에 넣었습니다. 이는 '회사가 망하게 두지 않겠다'는 강력한 신호이자, 주가의 하방 경직성을 확보하는 가장 큰 요인입니다.
기술적 실행력 (Execution Risk): 1.8톤의 42SH 등급 시생산 과 1,000톤의 45UH 등급 양산 은 완전히 다른 차원의 문제입니다. 수율(Yield)을 확보하지 못하면, 모든 계획은 '꿈'으로 끝납니다. 향후 발표될 '양산 수율' 관련 뉴스가 주가의 분수령이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