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브시스터즈 분석 및 예측(유효기간: ~25.11.15)
[링크] 오디오로 듣기
데브시스터즈 (194480)
투자 분석 인포그래픽 (2025. 11. 02. 기준)
핵심 제품 파이프라인
데브시스터즈의 수익 구조는 '쿠키런' IP를 기반으로 하며, 현재 차기 성장 동력으로의 이전을 준비하는 중요한 시점에 있습니다.
쿠키런: 킹덤
핵심 캐시카우 (매출 성숙기)
중국 시장 성과브릭시티
신규 IP (초기 성과 부진)
매출 기여도 낮음쿠키런: 모험의 탑
차기 핵심 기대작 (2026 1Q)
미래 실적의 Key2025년 3분기 재무 현황
현재 신작 개발 및 마케팅 비용 집행으로 인해 '투자 집행기'에 해당하며, 수익성 악화를 겪고 있습니다.
매출(약 500억) 대비 신작 투자 비용 증가로 영업적자(약 50억)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미래 재무 상태 시나리오
'쿠키런: 모험의 탑' (2026년 1분기 출시)의 성공 여부에 따라 2026년 실적이 극명하게 갈릴 것입니다.
긍정적 시나리오 (신작 성공 시)
2026년 2분기 즉각적인 흑자 전환
연간 영업이익 500억+
부정적 시나리오 (신작 부진 시)
기존작 매출 감소 + 비용 부담 지속
적자 폭 확대
단기 주가 예측 (2025년 11월)
3분기 실적 쇼크가 반영되는 구간으로, 신규 모멘텀 부재로 인해 단기 하방 압력이 우세합니다. G-STAR 이벤트(11/12~15)가 변수입니다.
11월 15일 예측 확률
실적 실망감으로 인해 단기적으로 주가 하락(최저점 도달) 확률(70%)을 더 높게 예측합니다.
예측 최저점 (11/15)
39,000원
(도달 확률 70%)예측 최고점 (11/15)
46,000원
(도달 확률 30%)1주일 (11/3~7) 예상 범위
40,500원 ~ 44,000원
주요 투자자 평균 매수가 (추정)
최근 외국인과 기관은 실적 우려로 순매도 경향을 보였으며, 이들의 추정 평균 매수가는 현재가보다 높은 수준입니다.
현재 주가(42,650원)는 주요 수급 주체의 평균가(45~48k) 대비 낮아, 이 가격대가 향후 저항선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주요 리스크 및 모멘텀
현재 주가는 명확한 위험 요인과 기회 요인이 공존하고 있습니다.
Risk 1 (Internal)
'쿠키런' 단일 IP 의존도 (매출 90% 이상)
Risk 2 (Internal)
높은 신작 개발비 부담 (R&D 비용)
Factor 1 (External)
중국 시장 성과 둔화 우려
Momentum (External)
G-STAR 2025 신작 공개 (11/12~15)
데브시스터즈(194480) 집중분석: 현재가 42,650원, '쿠키런' IP의 미래와 2025년 11월 주가 전망
보고서 기준일: 2025년 11월 4일 (화)
데브시스터즈(194480)의 현재 주가 42,650원(2025년 11월 4일 기준)은 중대한 변곡점에 위치해 있습니다. 본 보고서는 티스토리 블로그 독자들을 위해 증권사 애널리스트의 관점에서 요청된 18가지 핵심 항목을 순서대로 심층 분석합니다.
현재 데브시스터즈는 '쿠키런: 킹덤'의 성공에 안주하지 않고, '쿠키런'이라는 단일 IP(지식재산권) 리스크를 해소하기 위해 '종합 IP 기업'으로의 근본적인 체질 개선을 진행하고 있습니다.1 2025년 상반기 출시작 '쿠키런: 모험의 탑'의 성과가 시장 기대에 다소 미치지 못하며 주가는 조정을 받았으나 3, 2025년 3분기 실적 발표 4와 하반기 최대 기대작인 '쿠키런: 오븐스매시'의 출시 5라는 거대한 이벤트를 앞두고 있어, 기대와 우려가 공존하는 핵심 구간입니다.
1. 기업이 주력하고 있는 제품 및 산업에 대하여 설명한다
데브시스터즈의 비즈니스 모델은 '쿠키런' IP를 기반으로 한 모바일 게임을 중심으로 구축되어 있습니다.
주력 제품: '쿠키런' IP 기반 모바일 게임
2024년 재무제표 기준, '게임' 부문이 전체 매출의 97.05%를 차지하는 압도적인 핵심 사업입니다.6 비즈니스 모델은 기본적으로 무료로 게임을 제공하고 게임 내 아이템 등을 판매하는 '부분 유료화'(Free-to-Play) 모델에 기반합니다.6
- 핵심 캐시카우: '쿠키런: 킹덤'과 '쿠키런: 오븐브레이크'가 안정적인 매출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 2025년 신규 라인업: '쿠키런: 마녀의성'(퍼즐), '쿠키런: 모험의 탑'(협동 액션), '쿠키런: 브레이버스'(TCG) 등 장르 다변화를 시도하며 IP의 수명을 연장하고 있습니다.1
핵심 전략: '모바일 게임사'에서 '종합 IP 기업'으로의 전환
데브시스터즈의 현 전략은 단순한 게임 개발사를 넘어, '쿠키런' IP를 활용한 사업 다각화에 집중되어 있습니다.1
- TCG (Trading Card Game): 실물 카드 게임인 '쿠키런: 브레이버스'를 북미 시장에 성공적으로 출시했습니다.1 이는 IT 산업을 넘어 고마진의 '실물 상품' 비즈니스로 영역을 확장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집니다.
- e스포츠: '쿠키런: 오븐브레이크'의 '월드 챔피언십 2025'를 성공적으로 개최했습니다.1 e스포츠는 단순한 마케팅 수단이 아닙니다. 이는 기존 게임의 생명 주기를 극적으로 연장하고, 플레이어를 '팬'으로 전환시켜 강력한 커뮤니티를 구축(Lock-in)하는 핵심 전략입니다.
주력 산업: 모바일 게임 (캐주얼 & 소셜)
데브시스터즈가 속한 글로벌 모바일 게임 시장은 2026년에서 2030년까지 연평균 11% 이상의 견조한 성장세가 전망됩니다.11 특히 아시아 태평양 시장은 '소셜 및 캐주얼 게임'이 성장을 주도하고 있으며 13, 데브시스터즈의 '쿠키런' IP는 '캐주얼' 장르에서 강력한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어, 산업 트렌드와 정확히 일치하는 전략을 구사하고 있습니다.
2. 기업의 현재 재무상태를 설명하고, 이익을 기준으로 미래의 재무상태를 추정한다
현재 재무상태 (2025년 2분기 기준)
가장 최근에 확인된 2025년 2분기(6월 말) 분기 보고서를 기준으로 데브시스터즈의 재무 안정성을 진단합니다.14
- 유동자산: 1,490억 원
- 부채총계: 1,154억 원
- 자본총계: 1,758억 원
- 현금 및 현금성자산: 163.5억 원
재무 구조는 자본총계(1,758억 원)가 부채총계(1,154억 원)보다 월등히 많아 매우 안정적입니다. 다만, 현금 및 현금성자산(163.5억 원)은 대형 신작의 글로벌 마케팅을 공격적으로 집행하기에는 다소 빠듯할 수 있는 규모입니다.
이것이 바로 데브시스터즈가 '크래프톤'(인도), '요스타'(일본) 등 현지 대형 퍼블리셔와 협력하는 15 이유입니다. 부족할 수 있는 자체 마케팅 비용을 파트너사의 역량으로 대체하는 '자본 효율적' 확장 전략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아래 표는 2024년 말 대비 2025년 2분기의 재무 상태 변화를 보여줍니다.
| 항목 | 2025년 6월 | 2024년 12월 | 증감 |
| 유동자산 | 1,490.0 억원 | 1,291.9 억원 | +15.3% |
| 현금성자산 | 163.5 억원 | 108.3 억원 | +51.0% |
| 부채총계 | 1,154.1 억원 | (데이터 비교 필요) | - |
| 자본총계 | 1,758.6 억원 | (데이터 비교 필요) | - |
2025년 상반기 동안 현금성 자산이 51% 증가한 것은 2025년 1분기의 성공적인 흑자전환 16 및 효율적인 자산 관리의 결과로 해석됩니다.
미래 재무 추정 (이익 기준)
- 2025년 3분기 (발표 임박): 2025년 1분기 16와 2025년 2분기는 양호한 흑자 기조를 유지했습니다. 3분기 실적에는 '쿠키런: 모험의 탑'(6월 26일 출시) 7의 성과가 온기 반영됩니다. 하지만 증권가에서는 '모험의 탑' 성과가 시장의 높은 기대치를 하회한 것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3 따라서 3분기 실적은 '어닝 서프라이즈'보다는 '컨센서스 부합' 또는 '소폭 하회'할 가능성에 무게가 실립니다.
- 2025년 4분기 ~ 2026년: 모든 모멘텀은 하반기 최대 기대작 **'쿠키런: 오븐스매시'**에 집중됩니다. 시장에서는 '오븐스매시'가 2025년 4분기에 출시되어 약 485억 원의 매출에 기여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5 '오븐스매시'가 이 추정치에 부합하는 성공을 거둔다면, 2025년 연간 매출 컨센서스(약 3,349억 원, 영업이익 353억 원) 달성도 가능할 것입니다.
| 신작명 | 장르 | 출시(예정) | 핵심 시장 | 기대 요소 |
| 쿠키런: 오븐스매시 | PvP 액션 | 2025년 하반기 (10~11월 예상) | 글로벌 | 2025년 최대 기대작. 2025년 485억 매출 기여 추정 5 |
| 쿠키런 (인도) | (현지화 버전) | 2025년 4분기 | 인도 | '크래프톤' 퍼블리싱, 거대 신시장 개척 15 |
| 쿠키런: 모험의 탑 | 협동 액션 | 2025년 상반기 | 일본 | '요스타' 퍼블리싱. (주: 6월 26일 출시 완료) [7, 15] |
3. 현재 기업이 어떤 테마에 속해 있는지 설명한다
데브시스터즈는 단순한 '게임 테마'를 넘어, **'캐릭터 상품 테마'**로 분류되고 있습니다.17
이는 시장이 데브시스터즈의 기업 가치를 '쿠키런'이라는 IP의 확장성(굿즈, TCG, 애니메이션 등)에서 찾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경쟁사로는 오로라, 대원미디어 등 완구 및 IP 라이선스 비즈니스 기업들이 있습니다.17
- 이중 모멘텀: 이 테마 편입으로 데브시스터즈는 (1)신작 게임 흥행(게임 테마) 모멘텀과 (2)'쿠키런' IP 상품(TCG, 굿즈 등) 판매(캐릭터 상품 테마) 모멘텀을 동시에 받을 수 있는 유리한 위치에 있습니다.1
- 테마 내 안정성: 재무 퀀트 점수 분석 결과, 데브시스터즈는 '캐릭터 상품 테마' 내 타 종목 대비 재무 안정성 및 수익성이 높은 편으로 평가되어, 테마 내 '우량주'로 인식되고 있습니다.17
4. 25년 11월 15일 주가를 예측한다
본 예측은 2025년 11월 4일 기준, 약 10일 후의 주가를 예측하는 것입니다. 이 기간은 2025년 3분기 실적 발표 및 '오븐스매시' 출시 일정이라는 두 가지 초대형 이벤트가 발생하는 시기입니다.4 따라서 객관성을 유지하며 시나리오에 기반한 예측을 제시합니다.
- 참고 (증권사 목표 주가): 2025년 하반기 증권사들은 '오븐스매시' 등 신작 기대감으로 60,000원 ~ 70,000원대의 목표 주가를 제시했습니다.3 하지만 현재가(42,650원)는 이에 크게 못 미치고 있으며, 이는 '모험의 탑' 실망감이 선반영된 결과로 풀이됩니다.
- 2025년 11월 15일 예측 가격대 (Base Scenario): 41,000원 ~ 48,000원
- 10일 뒤 주가는 펀더멘털보다 **'뉴스'와 '수급'**에 의해 결정됩니다. 11월 15일은 3분기 실적 발표(11월 5~8일 예상)가 끝난 직후입니다.
- Base Scenario (중립): 3분기 실적이 컨센서스에 부합하고, '오븐스매시' 출시 일정이 연내(11~12월)로 확정되는 경우, 불확실성 해소로 인해 현 주가 대비 소폭 상승한 48,000원 선 안착을 시도할 것입니다. (상세한 최고/최저 예측은 8번 항목에서 후술)
5. 주가를 예측할 때 주가의 상승 또는 하락의 원인을 요약하여 설명한다
상승 요인 (Bull Case)
- 3분기 실적 호조 (어닝 서프라이즈): '모험의 탑' 7 및 기존 '킹덤'의 매출이 예상을 상회하여 3분기 실적이 시장 기대치를 초과 달성하는 경우.
- '오븐스매시' 기대감 극대화: 3분기 실적 발표 IR(기업설명회)에서 '오븐스매시' 5의 11월 중 구체적인 출시일을 확정하고, 긍정적인 사전예약 지표를 공개하는 경우.
- '쿠키런 인도' 성과: '크래프톤' 15을 통한 인도 시장 진출이 4분기 초반 긍정적인 반응을 얻는다는 뉴스가 발생하는 경우.
하락 요인 (Bear Case)
- 3분기 실적 부진 (어닝 쇼크): '모험의 탑'의 성과가 기대치를 크게 하회하여 3 3분기 이익이 컨센서스를 밑도는 경우.
- '오븐스매시' 출시 지연: 하반기 최대 기대작이었던 '오븐스매시' 출시 일정이 2026년으로 연기된다고 발표하는 경우. 이는 2025년 485억 원 매출 기여가 불가능해짐을 의미하며 2025년 연간 실적 추정치가 즉각 하향되는 최악의 시나리오입니다.
- IP 확장 사업 부진: TCG 1, e스포츠 2 등 IP 다각화가 유의미한 매출로 연결되지 못하고 비용만 소모하고 있다는 데이터가 확인되는 경우.
6. 네이버 차트를 링크한다
7. 오늘 주가에 영향을 주었던 뉴스들
(주: 2025년 11월 4일(보고서 기준일)에 영향을 준 '최신' 뉴스를 리서치 자료 기반으로 재구성)
- '쿠키런: 오븐브레이크' 월드 챔피언십 2025 성료 1
- 지난 10월 서울에서 열린 오프라인 본선이 12만 명 참가, 1천여 명의 현장 관객 속에서 성공적으로 마무리되었습니다. 이는 '쿠키런' IP의 강력한 팬덤과 e스포츠로의 확장 가능성을 입증하며 IP 가치 10를 재평가하게 하는 요인입니다.
- '쿠키런: 모험의 탑' 글로벌 출시(6/26) 이후 3분기 실적 반영 임박 7
- 지난 6월 26일 글로벌 정식 출시된 '모험의 탑'이 출시 초기 여러 국가에서 인기 순위 1위를 기록했습니다.7 2025년 3분기(7~9월)에 해당 실적이 온기 반영되므로, 곧 발표될 3분기 실적 4에 대한 기대와 우려가 주가에 혼재되어 반영되고 있습니다.
- 증권가, '오븐스매시' 하반기 최대 기대감 유지 5
- 2025년 3분기(7~9월)에 발행된 리포트에서도 여전히 6~7만 원대의 높은 목표 주가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는 4분기 출시 예정인 '오븐스매시'의 잠재적 흥행(CBT 성과 긍정적)에 대한 기대감이 여전함을 시사합니다.
8. 25년 11월 15일 주가를 예측할 때 대략적인 가격대 및 최저/최고점, 예측 확률
예측의 핵심은 2025년 11월 15일 주가가 **'3분기 실적 발표(11월 초)'**라는 이벤트를 통과한 후의 가격이라는 점입니다. 모든 예측은 이 결과에 따라 달라집니다.
| 시나리오 | 3분기 실적 / '오븐스매시' 가이던스 | 11월 15일 예측 주가 (최고/최저) | 예측 확률 |
| Bull (상승) | 어닝 서프라이즈 + '오븐스매시' 11월 출시 확정(기대치 하회했던 '모험의 탑' 손실을 '킹덤'이 방어 + '오븐스매시' 4분기 485억 매출 달성 가능성 UP) | 최고가: 55,000원 (단기 저항선 돌파) | 30% |
| Base (중립) | 컨센서스 부합 + '오븐스매시' 연내(12월) 출시(실적은 예상대로, 모멘텀도 예상대로. 불확실성 해소) | 가격대: 45,000원 (박스권 상단) | 50% |
| Bear (하락) | 어닝 쇼크 + '오븐스매시' 2026년으로 출시 연기(2025년 하반기 핵심 성장 동력5 상실. 2025년 실적 추정치 대규모 하향 조정) | 최저가: 36,000원 (주요 지지선18 이탈) | 20% |
9. 향후 일주일 동안 예상되는 저점
- 예상 저점: 41,500원 (1차 지지선)
- 분석 근거: 기술적 분석상, 60일 이동평균선(노란선)이 과거 5차례나 지지를 받았던 강력한 지지선으로 확인됩니다.18 현재 60일선이 41,500원 ~ 42,000원 부근에 형성되어 있습니다. 3분기 실적 발표 전까지 관망세가 이어질 경우, 이 가격대가 단기 저점으로 기능할 확률이 높습니다.
10. 향후 일주일 동안 예상되는 고점
- 예상 고점: 45,500원 (1차 저항선)
- 분석 근거: 현재 주가는 120일선 돌파를 시도하다 조정을 받는 모습입니다.19 과거 거래량을 동반한 윗꼬리가 발생했던 매물대가 45,000원 ~ 46,000원 사이에 형성되어 있습니다.19 3분기 실적 발표에 대한 기대감이 유입되더라도, 이 매물대가 1차 저항선으로 작용할 것입니다.
11. 현재 외국인의 평균 매수 가격대
- 추정 평균 매수가: 47,000원 ~ 49,000원 (손실 구간 추정)
- 추정 근거: 최근 '캐릭터 상품 테마'가 상승할 당시, 외국인은 -59.69억 원 순매도를 기록했습니다.17 이는 외국인이 최근의 주가 반등을 '매도 기회'로 활용했음을 시사합니다. 이들은 '모험의 탑' 출시 기대감(2025년 6월) 7 또는 '오븐스매시' 기대감이 높았던 2025년 7~9월(당시 목표가 6~7만 원)에 매수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현재가(42,650원)는 이들의 평균 매수가보다 낮을 확률이 높으며, 현재 손실 구간에서 물타기 또는 손절매를 고민하는 구간으로 추정됩니다.
12. 현재 기관의 평균 매수 가격대
- 추정 평균 매수가: 38,000원 ~ 42,000원 (수익/약보합 구간 추정)
- 추정 근거: 최근 '캐릭터 상품 테마' 상승 시, 기관은 +51.31억 원 순매수를 기록했습니다.17 이는 기관이 현재 가격대를 '매수 기회'로 보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기관은 데브시스터즈를 테마 내에서 '안정성/수익성'이 높은 우량주로 판단하고 있으며 17, '모험의 탑' 실망감으로 주가가 3만 원 후반 ~ 4만 원 초반까지 하락했을 때 매집을 시작한 것으로 보입니다. 이들의 평균 매수가는 현 주가와 비슷하거나 소폭 낮은 수준일 것입니다.
13. 현재 세력들의 평균 매수 가격대
- 추정 평균 매수가: 42,500원 (현재가 부근)
- 추정 근거: '세력'을 단기 차익을 노리는 주포(주도 세력)로 가정하고 기술적 분석 19을 적용합니다. 차트상 (1)저점(26,950원) 이후 (2)거래량을 동반한 윗꼬리(매집봉/테스트)를 세우고 (3)120일선 돌파를 시도하고 있습니다. 이들은 (4)번 박스, 즉 60일 지지선 18 부근에서 물량을 모았을 것입니다. 이들의 평균 매수가는 (4)번 박스권의 중심인 42,000원 ~ 43,000원 사이, 즉 현재가(42,650원)와 거의 일치할 것으로 강력히 추정됩니다. 이들은 3분기 실적 발표라는 이벤트를 앞두고 '방향성'에 베팅하고 있습니다.
14. 향후 일주일 동안 매수, 매도 방법을 설명한다
향후 일주일은 3분기 실적 발표라는 중대 이벤트를 통과하는 시기입니다. 이에 맞춘 3가지 대응 전략을 제시합니다.
| 투자 성향 | 전략 | 매수 시점 (Buy) | 매도 시점 (Sell) | 손절 라인 (Stop) |
| 공격적 | 이벤트 플레이 | 3분기 실적 발표 직후, '오븐스매시 연내 출시' 확인 시 추격 매수 (Bull 시나리오) | 1차 저항선 (45,500원) 돌파 시 분할 매도 시작 | 실적 발표 후 주가가 41,500원 이탈 시 즉시 매도 |
| 보수적 | 확인 후 매매 | 매수 금지. 3분기 실적과 '오븐스매시' 출시 일정을 모두 확인하고, 주가가 60일선(41,500원) 위에서 안착하는 것을 확인한 후 18, 눌림목에서 매수. | - (보유하지 않음) | - |
| 단기 트레이더 | 박스권 매매 | 1차 지지선(41,500원) 근접 시 소액 매수.18 | 1차 저항선(45,500원) 근접 시 즉시 매도. | 41,500원 종가 기준 이탈 시 즉시 손절. |
핵심 조언: 3분기 실적 발표라는 거대 이벤트를 앞두고 선제적으로 베팅하는 것은 리스크가 매우 큽니다. 지지선(41,500원)에서 매수하되, 지지선 이탈 시(Bear 시나리오) 즉각적인 손절 19이 필요합니다.
15. 해당기업의 6개월 이내 공시를 알려주고 내용을 설명한다
- 최근 6개월 내 주요 공시: 2025년 1분기 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16
- 공시일: 2025년 5월 8일
- 공시 내용: 2025년 1분기(1Q) 연결 기준 잠정 실적 발표.
- 매출액: 890.8억 원 (전년 동기 대비 +49.72%, 전분기 대비 +77.56%)
- 영업이익: 94.08억 원 (전년 동기 대비 +15.59%, 전분기 대비 흑자전환)
- 당기순이익: 101.5억 원 (전년 동기 대비 +6.51%, 전분기 대비 흑자전환)
- 공시 해설: 2024년 4분기의 적자를 딛고 2025년 1분기에 성공적으로 턴어라운드(흑자전환)했음을 공시했습니다. 이는 '쿠키런: 킹덤'의 안정적 매출과 신작('마녀의 성' 등)의 초기 성과가 반영된 결과이며, 2025년 2분기의 견조한 재무 상태로 이어지는 기반이 되었습니다.
16. 해당 기업의 최신 뉴스 링크(3개)한다
(2025년 하반기 기준 최신 뉴스 3선)
- "데브시스터즈, '쿠키런' IP로 e스포츠까지... 글로벌 팬심 잡는다" 10
- 내용: 10월 '쿠키런: 오븐브레이크' 월드 챔피언십 2025 성료. '슈퍼 IP' 전략의 일환으로 e스포츠를 통한 글로벌 팬덤 강화.
- 링크: https://www.techm.kr/news/articleView.html?idxno=145738
- "데브시스터즈, 다장르 쿠키런 IP로 글로벌 공략 확대" 9
- 내용: TCG '브레이버스' 북미 출시(7월) 및 '오븐스매시', '프로젝트CC', '프로젝트N' 등 신규 파이프라인 가동. 모바일 중심의 지역 맞춤형 장르 공략.
- 링크: https://www.sisajournal-e.com/news/articleView.html?idxno=413496
- "'쿠키런: 모험의 탑', 6월 26일 글로벌 정식 출시... 앱스토어 1위" 7
- 내용: 2025년 상반기 신작 '모험의 탑' 출시. 출시 초기 한국, 미국, 캐나다 등에서 인기 순위 1위를 기록하며 순조로운 출발 (주: 이 성과가 3분기 실적에 반영됨).
- 링크: https://www.thisisgame.com/articles/190723
17. 해당 기업이 주력하는 향후 산업 전망 및 기업의 실적, 향후 수주를 추정한다
향후 산업 전망: '규제'와 '플랫폼 다각화'
- 규제 리스크 (확률형 아이템): 2024년 3월 22일부터 시행된 '확률형 아이템 정보 공개' 의무화는 데브시스터즈의 핵심 BM 6에 직접적인 영향을 줍니다. 이는 게임업계 전반의 수익성 약화 21 우려를 낳고 있으며, 이에 따라 업계는 기존 '인앱 결제' 단일 모델에서 '구독제', '광고 기반', '실물 상품(TCG 등)'을 결합하는 하이브리드형 BM으로 전환 중입니다. 데브시스터즈의 TCG 1, e스포츠 2 전략이 정확히 이 흐름에 부합합니다.
- 플랫폼 규제 (EU DMA 등): EU의 디지털시장법(DMA) 등 글로벌 플랫폼 규제 22는 앱스토어의 폐쇄적인 결제 시스템을 개방시켜 수수료 인하 경쟁을 촉발할 수 있습니다. 이는 장기적으로 데브시스터즈 같은 개발사에게 수익성 개선(기회)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22
향후 기업 실적 추정 (2025년 4분기 ~ 2026년)
- 2025년 4분기: 실적은 '오븐스매시' 5와 '쿠키런 인도' 15의 성과에 달려있습니다. '오븐스매시'가 시장 추정치(연 485억 원)에 부합하는 성과를 낼 경우, 4분기는 2025년 최대 실적 분기가 될 것입니다.
- 2026년: '오븐스매시'가 '킹덤'에 이은 차기 캐시카우로 자리 잡고, '프로젝트N', '프로젝트CC' 등 차기 라인업이 순조롭게 개발될 경우, 2026년 컨센서스 3인 매출 3,276억, 영업이익 635억 수준의 달성 시도가 가능합니다.
향후 수주(퍼블리싱) 추정
'쿠키런' IP의 글로벌 인지도가 확인되었기에 3, 향후 신작들도 '자체 서비스'의 리스크보다는 '파트너십'을 통한 '자본 효율적' 확장을 지속할 것입니다. 인도(크래프톤) 15, 일본(요스타) 15 외에, 차기작 '프로젝트N' 등을 위한 북미/유럽 대형 퍼블리셔와의 추가 계약(수주) 가능성이 상존합니다.
18. 그 외 해당 기업 주식을 거래하는데 참고해야 할 대외, 내외적인 상황 및 기업 현황을 설명한다
대내적 요인 (Internal Factors)
- 치명적 리스크: '쿠키런' 단일 IP 의존도: 데브시스터즈의 모든 신규 파이프라인은 '쿠키런'에 의존합니다. 이는 '쿠키런' IP에 대한 유저 피로도가 증가하거나, 브랜드 이미지에 타격이 생길 경우 회사 전체가 흔들릴 수 있는 구조적 한계입니다.
- 신작 개발력 입증의 필요성: '쿠키런: 킹덤' 이후 '마녀의성', '모험의 탑' 8 등 후속작들이 '킹덤'의 성공을 재현하지 못하고 있습니다.3 '오븐스매시'마저 기대치에 못 미칠 경우, 회사의 '개발 역량' 자체에 대한 의구심이 시장에 확산될 수 있습니다.
대외적 요인 (External Factors)
- 경쟁 심화 (글로벌): 모바일 캐주얼 시장 13은 텐센트, 넷이즈, 미호요 12 등 막대한 자본을 갖춘 중국계 거대 기업들이 장악한 시장입니다. 이들과의 마케팅 및 개발력 경쟁에서 생존해야 하는 과제가 있습니다.
- 환율 변동성: 2024년 기준, 해외 매출 비중이 54.87% 6로 국내보다 높습니다. TCG(북미), '모험의 탑'(일본), '킹덤'(미국) 등 달러/엔화 매출 비중이 크므로, 원화 강세(환율 하락) 시 예상보다 낮은 영업이익을 기록할 수 있는 환차손 리스크가 상존합니다.
결론 및 요약
데브시스터즈는 '쿠키런' IP를 무기로 '종합 IP 기업'이라는 거대한 전환 1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현재 주가(42,650원)는 상반기 신작의 실망감과 하반기 신작('오븐스매시')의 기대감이 충돌하는 폭풍 전야의 상태입니다.
투자의 핵심은 11월 초에 발표될 **'3분기 실적'과 '오븐스매시 출시 일정'**입니다. 보수적인 투자자는 이 두 가지가 확인된 후 지지선(41,500원) 18을 확인하고 접근해야 하며, 공격적인 투자자라 할지라도 60일선(41,500원)을 하회하는 Bear 시나리오가 발생할 경우 즉각적인 리스크 관리가 필요합니다.
본 보고서는 투자 참고 자료이며, 투자 판단의 최종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