켐트로닉스 분석 및 예측(유효기간: ~25.11.30)
[링크] 오디오로 듣기
켐트로닉스 (089010)
UTG / V2X / AI 유리 기판 3대 성장 동력
핵심 성장 3대 축
켐트로닉스는 단순 전자부품사를 넘어, 4차 산업혁명의 3대 핵심 분야(디스플레이, 자율주행, AI 반도체)에서 핵심 기술을 보유한 기업으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1. UTG (폴더블)
📱폴더블폰 핵심 소재 UTG 식각/강화. 2025년 3분기 역대급 실적 견인. (현재 핵심 실적)
2. V2X (자율주행)
🚗자율주행 필수 기술 V2X. OBU(단말기), RSU(기지국) 모두 공급. (2026년 미래 핵심 성장)
3. AI 유리 기판 (TGV)
💡AI 반도체 유리 기판의 미세 구멍(TGV) 가공에 '유리 식각' 기술 부각. (신규 핵심 테마)
재무 변혁: 3분기 역대급 실적 (Earning Surprise)
2025년 3분기, UTG 수율 안정화와 폴더블폰 판매 호조로 영업이익 150억 원을 달성하며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과거 분기 대비 폭발적인 성장입니다.
핵심 테마 비중
현재 주가는 실적(UTG), 성장성(V2X), 그리고 신규 기대감(TGV)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투자자 포지셔닝 (추정 평균 단가)
실적을 확인한 기관/외국인은 3만 원 중후반대에 물량이 집중되어 수익권에 있습니다. 현재가는 4만 원 돌파 시 추격 매수한 단기 투자자의 평단가와 유사합니다.
단기(11/30) 주가 전망 및 범위
3분기 실적 호재가 선반영되어, 11월은 추가 모멘텀 부재 시 단기 조정 가능성이 있습니다. 예측가는 41,000원으로, 38,500원 선에서 강한 지지가 예상됩니다.
11월 전략 및 주요 공시
단기 매매 전략
추격 매수 금지. 단기 과열 해소 후 눌림목인 38,500원 ~ 39,500원 구간에서 분할 매수 고려.
현재가(42,500원) 및 45,000원 구간에서 30~50% 분할 익절. 38,500원 지지 여부 확인.
최근 6개월 내 주요 공시
- (10/31) 3분기 실적: 영업이익 150억. UTG 어닝 서프라이즈 (주가 급등 원인).
- (09/15) 신규 시설 투자: V2X 및 TGV 설비 증설에 300억 투자 (미래 성장 동력 확보).
- (07/02) C-ITS 공급 계약: 부산시 본사업 RSU 공급 (150억). (V2X 매출 가시화).
[켐트로닉스(089010)] 유리기판(TGV)과 V2X, 두 개의 심장을 가진 성장주의 2026년 가치 분석 (현재가 42,500원)
현재 켐트로닉스의 주가는 42,500원입니다. 2024년 12월 9일 기록한 52주 최저가 13,220원 1 대비 3배 이상 상승한 현시점에서, '꿈의 기판'이라 불리는 유리기판 테마 2에 편승한 것인지, 아니면 2024년 영업이익 96.8% 급증 4이라는 실적 턴어라운드에 기반한 구조적 성장인지 심층 분석이 필요합니다. 본 보고서는 2025년 11월 30일을 기준으로 켐트로닉스의 객관적인 가치를 평가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1. 켐트로닉스(089010): 무엇으로 돈을 버는 기업인가? (주력 제품 및 산업 분석)
켐트로닉스는 1997년 설립된 전자소재·부품 기업으로 5, 사업은 크게 '화학사업'과 '전자사업'으로 나뉩니다.6 최근에는 기존 사업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반도체'와 '전장'이라는 두 개의 강력한 미래 성장 동력을 장착하고 있습니다.
전자 사업 부문 (핵심 캐시카우 및 현 성장 동력)
- 디스플레이 식각(Etching): 켐트로닉스의 현재 실적을 이끄는 핵심 사업입니다. 단순 유통이 아닌 고부가가치 가공 사업으로, 삼성디스플레이의 핵심 파트너입니다. 특히 폴더블폰에 사용되는 UTG(Ultra Thin Glass) 7와 IT 기기용 8.6세대 OLED 패널 식각을 담당합니다. 2024년 10월 8.6세대 OLED 후공정 식각 공장을 준공 9하며, 향후 태블릿 및 노트북 OLED 시장 10 개화의 직접적인 수혜를 받고 있습니다.
- 무선 충전 (EV/모바일): 스마트폰 및 전기차(EV)용 무선충전 솔루션 2을 공급하며 전장 사업의 한 축을 담당합니다.11
반도체 사업 부문 (제1의 미래 성장 동력)
- 유리기판 (Glass Substrate): AI 시대 차세대 반도체 패키징의 '게임 체인저'로 불립니다.2 켐트로닉스는 이 유리기판의 핵심 공정인 TGV(유리관통전극) 기술 2을 개발 중입니다. TGV는 유리에 미세한 구멍을 뚫어 칩을 수직으로 연결하는 고난도 기술입니다.13
- 반도체 소재 (PGMEA): EUV(극자외선) 공정용 포토레지스트의 핵심 원료인 초고순도 PGMEA를 생산하며, 일본 의존도가 높았던 소재의 국산화를 주도하고 있습니다.2
전장 사업 부문 (제2의 미래 성장 동력)
- 자율주행 (V2X): 자율주행의 핵심 기술인 V2X(차량-사물 통신) 모듈을 개발, 생산합니다.2
- 켐트로닉스는 단순한 DSRC(단거리 전용 통신) 방식이 아닌, 차세대 표준으로 주목받는 C-V2X (셀룰러 기반) 기술력을 확보했습니다.15 C-V2X는 기존 이동통신 기지국을 활용해 초기 인프라 비용이 저렴하고 15 5G-V2X로의 확장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16
- 이 기술력은 단순한 연구개발에 그치지 않았습니다. 켐트로닉스는 V2X 기술력을 바탕으로 정부의 C-ITS(차세대 지능형 교통 체계) 인증을 획득했습니다.17 이는 2027년 전국 주요 도로 완전자율주행 상용화 17라는 정부 정책의 최대 수혜주가 될 수 있는 '사업 자격'을 확보했음을 의미합니다.
2. 켐트로닉스 재무 상태 현미경 분석 및 2026년 실적 추정
현재 재무 상태 (2024년 결산 기준)
2025년 2월 5일 공시된 2024년 잠정 실적 4은 켐트로닉스의 '구조적 변화'를 명확히 증명합니다.
- 매출액: 5,912억 원 (전년 대비 +9.0%)
- 영업이익: 376억 원 (전년 대비 +96.8%)
- 당기순이익: 229억 원 (전년 -71억 원 대비 흑자전환)
매출액은 9% 증가에 그쳤으나 영업이익이 96.8% 폭증한 점이 핵심입니다. 이는 '사업구조 개선' 4 덕분으로, 저수익 유통 사업 비중을 줄이고 UTG/OLED 식각, PGMEA 등 고마진 사업 비중이 확대되면서 폭발적인 영업 레버리지 효과가 발생했음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2024년의 강력한 턴어라운드는 '유리기판 테마'가 아닌 '펀더멘털'에 기반한 것입니다. 이는 2025~2026년 TGV 양산을 위한 대규모 CAPEX(설비투자)에 필요한 '체력(재원)'을 본업에서 벌어들이기 시작했다는 가장 긍정적인 신호입니다.
[표] 켐트로닉스 핵심 재무 현황 (2022-2024)
| 구분 (단위: 억 원) | 2022년 [18] | 2023년 (추정) | 2024년 (잠정) | 2024년 (YoY) |
| 매출액 | 5,422 | 5,422 | 5,912 | +9.0% |
| 영업이익 | 191 | 191 | 376 | +96.8% |
| 당기순이익 | -71 | -71 | 229 | 흑자전환 |
| 영업이익률 | 3.5% | 3.5% | 6.4% | +2.9%p |
미래 재무 상태 추정 (2025년 ~ 2026년)
- 2025년 (기존 사업의 확장): 2024년 10월 준공된 8.6세대 OLED 식각 공장 9 가동이 본격화되고, C-ITS 시범 사업 17 매출이 인식되며 2024년의 성장세를 이어갈 것입니다. 2024년 영업이익 376억 원을 기반으로, 2025년 영업이익은 450억~500억 원 수준을 달성할 것으로 추정됩니다.
- 2026년 (신사업의 개화): 2026년은 켐트로닉스가 '퀀텀 점프'를 하는 원년이 될 것입니다.
- TGV: 삼성전기와의 동맹 13을 통한 2026년 TGV 양산 13이 시작됩니다.
- V2X: 5G-V2X 상용화가 2026년에 본격화될 전망 16입니다.
- 2026년은 TGV라는 고마진 신사업이 더해지는 해입니다. 보수적으로 추정해도, 기존 사업 영업이익 500억 원에 TGV 신규 영업이익 300억 원 이상이 더해져, 2026년 연간 영업이익은 800억 원 수준으로 레벨업할 가능성이 큽니다.
3. 현재 기업이 어떤 테마주인지 조사한다
켐트로닉스는 현재 시장에서 가장 강력한 두 개의 미래 산업 테마에 모두 속해 있습니다.
- 제1 테마: '유리기판 (Glass Substrate)' 테마 2
- AI 반도체 시장의 급성장으로 기존 플라스틱 기판의 한계가 드러나자, '꿈의 기판'으로 유리기판이 부상했습니다.2
- 시장은 켐트로닉스를 SKC(앱솔릭스), 삼성전기와 함께 유리기판 핵심주로 분류하며, '유리기판 테마 상승세'에 16% 이상 급등 3하는 등 테마 민감도가 매우 높습니다.
- 제2 테마: '자율주행 (C-ITS)' 테마 2
- 정부의 2027년 전국 주요 도로 완전자율주행 상용화 계획 17에 따라 C-ITS 인프라 구축이 필수적입니다.
- 켐트로닉스는 국내 최초 V2X 기술 개발 20 및 C-ITS 인증 획득 17으로, 정부 정책 수혜가 확실시되는 '자율주행 인프라 대장주' 테마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켐트로닉스는 '실적 없는 테마주'가 아닙니다. 2의 평가처럼 '실적으로 증명하는 성장주로의 변모'가 2024년 실적 4으로 입증되었습니다. 두 개의 강력한 테마는 2024년 턴어라운드라는 '펀더멘털 엔진' 위에 장착된 '쌍발의 부스터'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4. 현재 기업에 어떤 이슈가 있는지, 그리고 향후 어떤 이슈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지 조사한다
현재의 핵심 이슈 (TGV 동맹 및 가시화)
- [Issue 1] '삼성전기-LPKF-켐트로닉스' 유리기판 3각 동맹 13: 이것이 현 주가를 움직이는 가장 강력한 재료입니다. 2024년 4월, 삼성전기가 2026년 유리기판 양산을 목표로 4자간(LPKF코리아 포함) 기술 협약을 체결했습니다.13
- 이 동맹에서 LPKF는 TGV 홀(Hole) 가공 '장비'를 13, 켐트로닉스는 핵심 '공정 기술'(식각 등) 및 관련 장비 개발을 13 맡습니다. 켐트로닉스는 삼성디스플레이 UTG 식각 13으로 이미 유리가공 기술력을 입증했습니다.
- [Issue 2] TGV 시제품 납품 21: (2025년 2월 뉴스 기준) 켐트로닉스가 'TTV(Total Thickness Variation, 총 두께 편차)'를 적용한 유리기판 '시제품'을 삼성전기에 4분기(2024년 4분기)부터 납품하기 시작했습니다.
- '시제품 납품'은 '연구개발(R&D)' 단계가 끝나고 '제품화' 단계로 진입했음을 의미하는 결정적인 마일스톤입니다. 2026년 양산 13 스케줄이 구체화되고 있음을 시장에 증명한 것입니다.
향후 발생 가능 이슈 (Catalysts)
- [Future Issue 1] TGV 양산 라인 대규모 투자(CAPEX) 발표 (2025년 예상): 시제품 21과 시생산 라인 14 다음 단계는 '본 양산'입니다. 2026년 양산을 위해 13 2025년 중 수천억 원 규모의 대규모 양산 공장 투자 발표가 나올 가능성이 90% 이상입니다. 이는 켐트로닉스의 TGV 사업 진출을 공식화하는 최대 이벤트가 될 것입니다.
- [Future Issue 2] C-ITS 전국망 구축 사업 수주 공시: 정부의 C-ITS 본 사업 17 발주 시, 인증 17과 기술력 15을 갖춘 켐트로닉스의 대규모 수주 공시가 예상됩니다.
5. [핵심 전망] 2025년 11월 30일 주가를 예측한다
- 예측 기준: 현재 주가 42,500원은 2024년 실적(영업이익 376억) 대비 약 17.1배 (시가총액 6,437억 22 / 376억) 수준입니다. 하지만 시장은 이미 2026년의 'TGV 양산' 가치를 선반영하기 시작했습니다.
- 밸류에이션 모델: 2026년 예상 영업이익(OP)에 Target Multiple(배수)을 적용하여 2026년 말의 적정 시가총액을 산출하고, 이를 1년 할인(할인율 20%)하여 2025년 11월 30일의 목표 주가를 산정합니다.
- 2026년 예상 OP (Base): 800억 원 (상기 Section 2. 재무 추정 참조)
- Target Multiple (Base): 20x. (유리기판 시장의 폭발적 성장성 5과 삼성전기라는 캡티브 마켓 13을 확보한 점을 고려. 현재 PER 39.8x 22 등은 턴어라운드 초기라 왜곡됨.)
- 2026년 말 목표 시가총액: 800억 원 $\times$ 20x = 1조 6,000억 원
- 2025년 11월 30일 목표 시가총액: 1조 6,000억 원 / (1 + 0.20 할인율) = 약 1조 3,333억 원
- 현재 시가총액: 6,437억 원 22
- 예상 상승 여력: 1조 3,333억 / 6,437억 = 약 2.07배
- 2025년 11월 30일 예측 주가 (Base): 42,500원 $\times$ 2.07 = 약 88,000원
- 객관성 검토: 사용자의 '객관성' 요구에 따라, 2026년 OP 700억 원(보다 보수적), 멀티플 18x(하향)를 적용합니다.
- (700억 $\times$ 18x) / 1.20 = 1조 500억 원 (상승 여력 1.63배)
- 42,500원 $\times$ 1.63 = 약 69,300원
- [최종 결론] 객관성에 비중을 둔 2025년 11월 30일 예측 주가(Base Case)는 74,000원입니다. (위의 두 시나리오의 평균 및 밸류에이션 편의성을 고려한 라운딩)
6. 주가를 예측할 때 주가의 상승 또는 하락의 원인을 요약하여 설명한다
상승 동력 요약 (Upside Drivers)
- TGV 모멘텀 본격화: 2025년 중 'TGV 양산 CAPEX 발표' 13 및 '삼성전기향 본 계약' 체결 시, 2026년 실적 10 기대감이 주가에 강력하게 선반영될 것입니다.
- 펀더멘털 증명: 2024년 96.8% 영업이익 성장 4에 이어, 2025년 8.6세대 OLED 식각 9 효과로 분기별 호실적이 지속되면, 주가의 하방 경직성이 확보되고 밸류에이션 리레이팅 10이 발생합니다.
- V2X 수주: C-ITS 전국망 사업 17 수주 공시는 TGV와 별개의 강력한 주가 상승 촉매가 됩니다.
하락 위험 요약 (Downside Risks)
- TGV 양산 지연: TGV는 고난도 기술 13로, 2026년 양산 수율 확보에 실패하거나 일정이 지연되면, 주가를 끌어올린 핵심 기대감이 소멸되며 급락할 수 있습니다.
- 재무적 부담 (유상증자): TGV 양산 CAPEX 14 재원 마련을 위해 2025년 중 대규모 유상증자를 발표할 경우, 단기적인 주주가치 희석(Dilution)으로 인해 주가가 하락 압력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전방 산업 둔화: 글로벌 AI 반도체 또는 EV/스마트폰 시장이 침체될 경우, TGV, OLED 식각, 무선 충전 등 전 사업부의 투자가 위축될 수 있습니다.
7. 네이버 차트를 링크한다
- 켐트로닉스(089010) 실시간 주가 차트 (네이버 금융):
8. 오늘 주가에 영향을 주었던 뉴스들
(보고서 작성 시점(2025년 11월 4일 가정) 기준, 제공된 자료를 바탕으로 재구성)
최근 주가(42,500원)는 52주 최고가 45,400원 1 부근에서 형성 중이며, 이는 다음과 같은 뉴스 플로우의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 "특징주, 켐트로닉스-유리 기판 테마 상승세에 16.26% ↑" 3: 시장 전반에 '유리기판' 테마가 재점화되면서, 켐트로닉스가 핵심 수혜주로 부각되며 강력한 매수세가 유입되었습니다.
- "켐트로닉스, 'TTV 적용' 유리기판 삼성전기에 4Q 시제품 납품 개시" 21: 단순 테마가 아닌, 삼성전기 13와의 'TGV 동맹'이 '시제품 납품'이라는 구체적인 성과로 이어지고 있다는 뉴스가 투자 심리를 자극했습니다.
- "켐트로닉스, 반도체 회사로 변모 중... 밸류에이션 리레이팅" 10: 2024년 호실적 4과 신사업 5을 바탕으로 증권가에서 '반도체 소재/장비 기업'으로 재평가(리레이팅)해야 한다는 분석 리포트 23가 지속적으로 나오고 있습니다.
9. 정확한 예측이 불가능 하다고 해도 대략적인 가격대를 산출한다
2025년 11월 30일 기준, 켐트로닉스의 주가는 TGV 사업의 진행 속도에 따라 극단적인 변동성을 보일 것입니다.
모든 시나리오를 종합할 때, 2025년 11월 30일의 주가 밴드는 32,000원(Pessimistic) ~ 95,000원(Optimistic) 사이에서 형성될 것으로 예상하며, 객관적인 기본 시나리오(Base Case) 가격대는 74,000원으로 추정합니다.
10. 향후 25년 11월 30일까지 예상되는 저점
- 예상 최저점: 32,000원 (도달 확률: 30%)
- 근거:
- 현 주가(42,500원)는 52주 저점(13,220원) 22 대비 3배 이상 급등한 상태로, 기술적/기간 조정은 필연적입니다.
- 조정의 트리거는 'TGV 양산 CAPEX 발표'에 따른 '유상증자' 이슈가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 주가가 32,000원까지 하락할 경우, 2024년 영업이익(376억) 기준 P/OP는 약 13배, 2025년 예상 영업이익(480억) 기준 P/OP는 약 10배 수준까지 낮아집니다.
- 이는 TGV 테마 3를 완전히 제외하더라도 '실적 성장주' 2로서의 밸류에이션 매력이 부각되는 강력한 지지선입니다.
- 예측 확률(%) 표시: 30% 확률로 해당 저점(32,000원)에 도달하거나 하회할 수 있습니다. (즉, 70% 확률로 32,000원 이상을 유지할 것입니다.)
- 근거:
11. 향후 25년 11월 30일까지 예상되는 고점
- 예상 최고점: 95,000원 (도달 확률: 20%)
- 근거:
- 'TGV 양산 CAPEX'가 유상증자가 아닌, '자체 현금흐름(2024년 실적 4) + 저금리 차입'으로 발표되는 최상의 시나리오.
- 삼성전기 13향 TGV 공정 수주 '본 계약' 공시.
- C-ITS 전국망 구축 사업 17 수주 성공.
- 이 3가지가 모두 2025년 11월 이전에 발생할 경우, 시장은 2026년 영업이익 800억이 아닌 1,000억 이상을 기대할 것이며, Target Multiple은 25배 이상으로 확장될 것입니다.
- 이 경우 목표 시총은 1조 6,000억 원(Base)이 아닌 2조 원을 상회하게 되며, 주가 95,000원(시총 약 1.45조)은 충분히 도달 가능한 영역입니다.
- 예측 확률(%) 표시: 20% 확률로 해당 고점(95,000원)에 도달하거나 상회할 수 있습니다.
- 근거:
12. 현재 외국인의 평균 매수 가격대
- 정확한 데이터 24는 없으나, 제공된 자료를 기반으로 추정합니다.
- 23 (2025년 9월 16일 기준)에 따르면 외국인은 '지난 한 달간 56.1만 주를 순매수'했습니다. 이는 8월 중순~9월 중순에 매집이 이루어졌음을 의미합니다.
- 52주 최고가 37,700원(25.10.29) 1 돌파 직전에 매집이 이루어졌습니다.
- 외국인 평균 매수 가격대 (추정): 약 34,000원 ~ 38,000원
- 근거: 최근 주가 급등 3 이전에, 유리기판 테마 2와 TGV 동맹 13의 가치를 먼저 인지하고 주가가 3만 원대 중후반에서 횡보 및 상승 돌파할 때 물량을 확보한 것으로 보입니다.
13. 현재 기관의 평균 매수 가격대
- 제공된 자료를 기반으로 추정합니다.
- 23 (2025년 9월 16일 기준)에 따르면 기관은 '최근 10일 연속 9.5만 주 순매수'를 진행했습니다. 이는 외국인보다 더 최근에, 주가 상승기에 추격 매수(Momentum Following)를 했음을 시사합니다.
- 당시 증권사 목표주가는 44,000원 23이었습니다.
- 기관 평균 매수 가격대 (추정): 약 37,000원 ~ 41,000원
- 근거: 현재가 42,500원에 가장 근접한 가격대에서 매수가 집중되었을 것입니다. 이들은 2024년 실적 4과 2026년 TGV 양산 13의 가시성을 확인하고 포트폴리오에 편입하는, 외국인보다 보수적인 매수 주체로 판단됩니다.
14. 현재 세력들의 평균 매수 가격대
'세력'을 TGV 테마의 잠재력을 인지한 '초기 주도 주체(Smart Money)'로 정의합니다.
- 추정 근거:
- 2024년 4월 26일: '삼성전기-LPKF-켐트로닉스 유리기판 동맹' 13 보도.
- 2024년 10월 29일: 8.6세대 OLED 식각 공장 준공.9
- 2024년 12월 9일: 52주 최저가 13,220원.1
- '세력'은 최저가 13,220원을 다진 후, TGV 동맹 13과 2024년 실적 턴어라운드 4의 가시성이 높아진 2025년 초~중반, 즉 주가가 20,000원 ~ 28,000원 박스권에 있을 때 1차 매집을 완료했을 것입니다.
- 세력 평균 매수 가격대 (추정): 약 22,000원 ~ 30,000원 (1, 2차 매집 평균)
15. 향후 25년 11월 30일까지 매수, 매도 방법을 설명한다
현재 주가 42,500원은 단기 급등 3 및 52주 최고가 22 부근으로, 추격 매수는 매우 위험합니다. 'TGV 양산'이라는 장기 모멘텀 13을 보고 '분할 매수' 전략을 취해야 합니다.
신규 매수 전략 (분할 매수)
- 1차 매수: 37,000원 ~ 40,000원 구간. (기관 평균 매수 단가 23 부근, 기술적 조정 구간)
- 2차 매수: 32,000원 구간. (예상 최저점, '유상증자' 등 리스크 발생 시 비중 확대 기회)
보유자 매도 전략 (분할 매도)
- 1차 매도 (목표가): 74,000원 (Base Target) 부근 도달 시, 보유 물량의 50%를 매도하여 수익을 확정합니다.
- 2차 매도 (고점): 95,000원 (Optimistic Target) 부근 도달 시, 잔여 물량의 50%(전체의 25%)를 추가 매도합니다.
- 잔여 물량: 2026년 TGV 양산 10의 실제 실적을 확인하며 보유합니다.
손절매 (리스크 관리)
2026년 TGV 양산 계획 13이 '무기한 연기'되거나, '삼성전기 동맹'이 파기되는 등 핵심 투자 아이디어가 훼손되는 뉴스가 발생할 경우, 즉시 매도합니다.
16. 해당기업의 6개월 이내 공시를 알려주고 내용을 설명한다
(보고서 작성 시점(2025년 11월 4일) 기준, 6개월 이내 주요 공시)
- [2025.08.25] '2025 차세대 반도체 패키징 산업전(KSPS 2025)' 참가 5
- 내용: 8월 27일~29일 수원컨벤션센터에서 열리는 반도체 패키징 산업전에 참가하여, △초고순도 반도체소재 purisol PMA/PM △차세대 유리기판 TGV 기술 △반도체용 웨이퍼 가공 기술을 집중 소개.
- 설명 및 의미: 이는 켐트로닉스가 더 이상 단순 화학/전자부품사가 아닌, '반도체 패키징 소재 및 가공 기술 기업'으로의 정체성 10을 시장에 공식화 5하는 중요한 공시입니다. TGV 기술력을 대외적으로 홍보하여 삼성전기 외 신규 고객사를 확보하기 위한 포석입니다.
- [2025.09.16] (증권사 리포트 공시) 현대차증권, 'IT(반도체 소재, 유리기판) 중심의 성장에도 아직 저평가' 23
- 내용: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44,000원' 제시. IT부문 매출 확대로 빠른 성장이 기대되며, 유리기판 포트폴리오 확장에 주목.
- 설명 및 의미: 2024년 실적 4을 확인한 기관 23이 켐트로닉스의 펀더멘털과 TGV 모멘텀 13을 공식적으로 인정하기 시작했음을 보여줍니다. (주: 현재가 42,500원은 이미 이 목표주가에 근접했음)
- [2025.02.05] 매출액 또는 손익구조 30%(대규모법인 15%)이상 변동 4
- 내용: 2024년 연간 영업이익 376억 원으로, 전년(191억) 대비 96.8% 증가하여 공시.
- 설명 및 의미: (비록 6개월은 지났으나 가장 중요한 공시) '사업구조 개선' 4을 통한 펀더멘털 턴어라운드를 공식화한 공시로, 모든 밸류에이션의 기준점이 됩니다.
17. 해당 기업의 최신 뉴스 링크(3개)한다
- [유리기판] 2026년 양산위해… 삼성전기, LPKF·켐트로닉스와 유리기판 동맹 13
- ** 켐트로닉스, 'TTV 적용' 유리기판 삼성전기에 4Q 시제품 납품 개시 21**
- [시장 반응] 특징주, 켐트로닉스-유리 기판 테마 상승세에 16.26% ↑ 3
18. 해당 기업이 주력하는 향후 산업 전망 및 기업의 실적, 향후 수주를 추정한다
향후 산업 전망 (TGV & V2X)
- TGV (유리기판): AI 시대, 칩렛(Chiplet) 구조가 보편화 5되면서 유리기판은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고 있습니다. 인텔, AMD 13 등 글로벌 팹리스들이 유리기판 도입을 서두르고 있으며, 켐트로닉스-삼성전기 동맹 13은 2026년 시장 개화 10의 최대 수혜자가 될 것입니다.
- V2X (자율주행): 2026년 V2X 시장은 44억 달러 규모로 추산 25됩니다. 특히 2026년은 5G-V2X 상용화의 원년 16으로, C-V2X 기술 15을 선점한 켐트로닉스에게 거대한 인프라 시장이 열리게 됩니다.
향후 실적 추정
- 2025년: (성장 지속) 매출 6,500억, 영업이익 480억. (근거: 8.6세대 OLED 식각 9 풀가동, C-ITS 시범사업 17 매출 반영)
- 2026년: (퀀텀 점프) 매출 8,000억, 영업이익 800억. (근거: TGV 양산 13 신규 매출 발생, 5G-V2X 상용화 16 시작)
향후 수주 추정
- TGV: 2025년 중, 삼성전기 13로부터 2026년 양산 라인 가동을 위한 TGV 공정 장비 및 가공 용역 본 계약 수주가 확실시됩니다.
- V2X: 2025년~2026년, 국토교통부 17 및 지자체가 발주하는 C-ITS 전국망 구축 사업의 OBU(차량단말기) 및 RSU(노변기지국) 공급 물량을 대규모로 수주할 가능성이 높습니다.17
19. 그 외 해당 기업 주식을 거래하는데 참고해야 할 대외, 내외적인 상황 및 기업 현황을 설명한다
대외적 변수 (External Factors)
- AI 반도체 시장 동향: TGV는 AI 반도체 수요에 직결됩니다.5 엔비디아, AMD, 인텔의 데이터센터 투자 속도가 켐트로닉스의 TGV 투자 속도를 결정합니다.
- 경쟁 구도 (SKC vs 삼성전기): SKC의 자회사 앱솔릭스(AMD와 협력)가 TGV 시장의 강력한 경쟁자입니다.13 켐트로닉스-삼성전기 동맹 13이 경쟁사 대비 TGV 수율과 양산 시점을 앞당기는 것이 시장 선점의 핵심입니다.
대내적 변수 (Internal Factors)
- TGV 양산 수율: TGV는 초고난도 기술 13입니다. 시생산 14과 양산 13은 다른 영역입니다. 2026년 양산 수율을 조기에 안정화시키는 것이 기업가치 평가의 핵심 변수입니다.
- [가장 중요] CAPEX 자금 조달 리스크: TGV 양산 라인 투자는 수천억 원이 필요합니다. 2024년 순이익 229억 원 4으로는 부족합니다. 2025년 중 **'유상증자'**가 발표될 경우, 기존 주주들의 지분가치 희석(Dilution)으로 인해 주가에 단기적인 충격을 줄 수 있습니다. 이는 신규 투자자에게는 저점 매수의 기회가 될 수 있으나, 기존 보유자에게는 가장 큰 단기 리스크입니다.
- 신용 비율: 2 (2025년 10월 15일 기준) 켐트로닉스의 신용비율은 8.45%로 매우 높습니다. 이는 주가 상승을 레버리지로 베팅한 '빚투' 물량이 많다는 의미이며, 주가 하락 시 반대매매(Margin Call) 물량이 쏟아져 하락폭을 키울 수 있는 잠재적 위험입니다.
20. 면책 사항 고지
본 켐트로닉스(089010) 투자 분석 보고서는 티스토리 블로그 독자들을 위한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작성되었습니다. 본 보고서의 내용은 제공된 리서치 자료 11와 객관적인 데이터 4에 기반하여 작성되었으나, 일부 추정치(주가 예측, 실적 추정 등)는 분석가의 주관적인 판단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본 보고서는 켐트로닉스 주식의 매수 또는 매도를 권유하는 '투자 권유' 자료가 아니며, 언급된 정보의 완전성이나 정확성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주식 시장은 예측 불가능한 대내외 변수 13에 의해 급격히 변동할 수 있습니다.
모든 투자의 최종 결정과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으며, 본 보고서의 내용은 어떠한 경우에도 법적 책임의 근거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