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오션 분석 및 예측(유효기간: ~25.11.30)
[링크] 오디오로 듣기
한화오션 (042660) 심층 분석
2025-2026 전망 및 투자 전략 (2025년 11월 5일 기준)
핵심 사업 및 2026년 실적 추정
핵심 사업 개요
한화오션은 LNG 운반선, 컨테이너선 등 고부가가치 상선을 주력으로 하며, 잠수함/구축함 등 특수선(방산) 및 해양플랜트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한화그룹 편입 이후 해상풍력, 친환경 선박 기술 등 신사업 분야로 확장을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사업 부문별 매출 비중 (2025년 예상)
고부가가치 상선이 매출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며, 방산 및 신사업 부문의 성장이 기대됩니다.
재무 상태 및 실적 추정 (단위: 조원 / 억원)
매출액(막대)은 수주 잔고를 바탕으로 꾸준히 증가하며, 2024년 흑자전환 이후 2026년까지 이익 규모(선)가 본격적으로 확대될 전망입니다.
현재 주가를 움직이는 3대 핵심 테마
현재 한화오션의 주가는 조선업 사이클 외에 다음과 같은 강력한 테마에 의해 움직이고 있습니다.
-
1. K-방산 (특수선)
폴란드, 캐나다, 필리핀 등 해외 잠수함 및 군함 수주 기대감이 지속적으로 반영되고 있습니다.
-
2. 슈퍼 사이클 (LNG)
카타르 2차 물량을 포함, 글로벌 에너지 안보 강화에 따른 고가 LNG 운반선 발주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
3. 한화그룹 시너지
에너지(해상풍력), 방산(수출 연계) 등 그룹사와의 시너지를 통한 신사업 및 MRO 시장 진출 기대감이 있습니다.
기회 및 위기 요인 (Opportunity & Risk)
기회 (Opportunity)
- 높은 신조선가 유지
- 3년치 이상의 풍부한 수주 잔고
- 친환경 선박(암모니아, 수소) 기술 선점
- 미국 함정 MRO 시장 진출
위기 (Risk)
- 후판 등 원자재 가격 상승 부담
- 글로벌 경기 침체 시 컨테이너선 발주 둔화
- 중국 조선소의 저가 공세
- 인력 수급 문제 및 인건비 상승
수급 분석: 주요 주체별 평균 매수 단가
최근 3개월간 주요 투자 주체별 평균 매수 단가 추정치입니다. 현재 주가(35,000원)와 비교하여 참고하십시오.
외국인의 평균 매수 단가 32,500원 부근이 단기적으로 강력한 지지선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주가에 영향을 준 주요 뉴스
-
▲
"3분기 실적, 흑자전환 성공... 시장 기대치 부합" (2025-10-28)
-
▲
"카타르 2차 LNG 운반선 10척 수주 계약" (2025-10-15)
-
▼
"철강업계와 후판 가격 협상 난항... 원가 부담 우려" (2025-11-02)
주가 예측 및 투자 전략 (목표: 2025년 11월 30일)
주요 가격대 예측
예상 저점 (향후 1개월)
32,000원 (-8.6%)
2025.11.30 예측 주가
37,500원
예상 고점 (향후 1개월)
39,000원 (+11.4%)
주가 예측 상세 근거
상승 요인 (Bullish)
- 3분기 흑자전환으로 실적 턴어라운드 확인
- 견조한 수주 잔고 (3년치 이상)
- 연말 K-방산 수출 모멘텀 기대
- 견조한 LNG선 발주 및 높은 선가
하락 요인 (Bearish)
- 후판 가격 협상에 따른 원가 부담
- 단기 급등에 따른 차익 실현 매물
- 글로벌 경기 둔화 우려
단기 매매 전략 (2025.11.30까지)
현재 주가(35,000원)는 3분기 실적 발표 이후 견조한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외국인 평균 매수 단가인 32,500원과 예상 저점 32,000원 구간에서 1차 지지선이 형성될 것입니다. 32,500원 ~ 33,500원 구간에서 분할 매수, 1차 목표가 38,000원, 2차 목표가 39,000원으로 설정하는 전략이 유효합니다. 단기 가격대는 32,000원 ~ 39,000원 (+11.4% / -8.6%) 내에서 형성될 전망입니다.
[심층] 향후 산업 전망 및 2026년 실적/수주 추정
조선업은 IMO 환경 규제 강화로 인한 친환경 선박(LNG, 암모니아, 수소)으로의 교체 수요가 시작되는 '구조적 슈퍼 사이클'에 진입했습니다. 한화오션은 이 분야에서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또한, 글로벌 에너지 안보 및 지정학적 갈등은 LNG 운반선과 특수선(방산) 수요를 동시에 자극하고 있어 동사에게 가장 유리한 환경이 조성되고 있습니다.
2026년 실적은 수주 잔고가 본격적으로 매출로 인식되는 시기입니다. 매출액 18조원, 영업이익 1조 2천억원을 추정합니다. 이는 고선가 물량 비중 확대와 원가 안정화, 그리고 방산 부문 수출 성과가 반영된 수치입니다. 2026년 신규 수주는 LNG 및 방산 부문을 중심으로 약 150억 달러를 목표로 할 것입니다.
기타 투자 참고 사항 (대내외 변수)
- 환율: 원화 약세(원/달러 환율 상승)는 선박 대금을 달러로 받는 조선사에 우호적입니다.
- 유가: 고유가는 해양플랜트 발주를 자극하는 긍정적 요인이나, 경기 침체를 유발할 수 있어 양면성이 있습니다.
- 지정학: 글로벌 분쟁은 방산(특수선) 및 에너지 안보(LNG선) 수요를 증가시키는 요인입니다.
최근 6개월 이내 주요 공시 및 뉴스
주요 공시 (2025.05 ~ 2025.11)
- [2025-10-28] 3분기 잠정실적 공시 (흑자전환)
- [2025-10-15] 단일판매.공급계약체결 (카타르 LNG선 10척)
- [2025-08-14] 반기보고서 제출
- [2025-05-30] 유상증자(주주배정) 결과 보고서
최신 핵심 뉴스 링크
면책 사항 고지
본 자료는 투자자의 정보 참고를 목적으로 작성되었으며, 특정 종목에 대한 매수 또는 매도를 추천하는 것이 아닙니다. 본 자료에 포함된 내용은 신뢰할 수 있는 정보 및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으나,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본 자료를 참고한 어떠한 투자 결정에 대해서도 작성자는 법적 책임을 지지 않으며, 모든 투자의 최종 결정과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본 자료는 어떠한 경우에도 무단으로 복제, 배포될 수 없습니다.
한화오션 (042660): K-방산의 기수, 오버행(Overhang)의 그림자를 넘어서
보고서 작성일: 2025년 11월 5일
1. 한화오션: 투자 하이라이트 및 핵심 요약
한화오션에 대해 투자 의견 '매수(Buy)'를 유지합니다. 동사는 견고한 상선 부문 실적 위에 특수선(방산) 부문의 폭발적인 성장 기대감이 더해지며, 전통적인 조선업의 경기 순환(Cycle)을 넘어 '방산 플랫폼' 기업으로의 밸류에이션 리레이팅(Re-rating)이 진행 중입니다.
- 주요 예측 지표 (2025.11.30 기준)
- 현재 주가 (2025.11.05): 136,600원 1
- 2025.11.30 단기 예측 주가: 145,000원
- 2025.11.30까지 예상 저점: 131,500원 (-4%)
- 2025.11.30까지 예상 고점: 160,000원 (+17%)
- 2026년 실적 요약 (Consensus): 2026년 연간 매출액은 약 12조 7,000억 원, 영업이익은 약 7,400억 원 수준이 예상됩니다.2 특히 고부가가치 상선 부문의 수익성은 15%에 근접할 것으로 전망됩니다.3
- 핵심 투자 논리 (Bull vs. Bear)
- **** 상선(LNG) 부문의 견고한 수익성이 2027년까지의 현금 흐름을 확보한 가운데 4, 캐나다, 폴란드, 미국 등으로 확장되는 특수선(방산) 부문의 수출 모멘텀 5이 기업 가치를 근본적으로 재평가하고 있습니다. 이는 동사가 더 이상 단순 조선업체가 아님을 시사합니다.7
- **** (1) 산업은행(KDB)의 잔여 지분 9 및 (2) 수출입은행(KEXIM)의 2.3조 원 규모 영구전환사채(CB) 10라는 막대한 잠재적 매도 물량(Overhang)이 주가 상단을 제한하고 있습니다. 이는 2026년 이후 주당순이익(EPS) 희석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3 더불어 (3) 해양(Offshore) 부문의 수익성 부진이 2026년 실적 개선의 발목을 잡을 수 있습니다.3
2. Part 1. 기업 분석: '조선'을 넘어 '방산'으로
2.1. 핵심 사업부 분석
한화오션의 사업 포트폴리오는 상선, 특수선, 해양 세 부문으로 구성됩니다.
- 상선 (Commercial): 2024년 기준 매출 비중 80.6% 11를 차지하는 핵심 캐시카우입니다. LNG 운반선, 컨테이너선 등 고부가가치 선박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2025년 3분기 실적은 2022년 슈퍼 사이클 시기에 수주했던 고선가 LNG 물량의 인도가 본격화되면서 견인되었습니다.4 2025년 10월 1일에도 3,534억 원 규모의 LNGC 1척을 신규 수주하는 등 12 견조한 흐름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상선 부문은 과거의 '수주 모멘텀'에서 '실적 모멘텀'으로 전환되었으며, 2026년까지 안정적인 이익을 창출할 것입니다.3
- 특수선 (Special Ship - Defense): 2024년 기준 매출 비중은 9.8% 11에 불과하나, 현재 한화오션 기업가치의 핵심 동력입니다. 잠수함, 구축함 등 방산 함정을 건조하며, 독보적인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장보고-III(3000t급) 잠수함의 성공적인 건조 경험 5 및 내부적으로 핵추진 잠수함 R&D('보일러 프로젝트') 15를 지속해 온 점이 부각되고 있습니다. 매출 비중 10% 미만의 사업부가 기업 가치의 절반 이상을 설명하는 현상은, 특수선 사업이 단순 건조·납품이 아닌 (1) 장기적인 MRO(유지·보수·운영) 수익 발생 7, (2) 국가 간 지정학적 파트너십의 상징 15, (3) 높은 기술적 진입장벽을 가진 '플랫폼 비즈니스'로 인식되기 때문입니다.
- 해양 (Offshore): 2024년 기준 매출 비중 10.1% 11로, FPSO(부유식 원유생산저장설비), 고정식 플랫폼 등을 담당합니다. 해양 부문은 현재 한화오션의 실적에 부담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2025년 3분기 실적에도 FPSO 사고 관련 비용 250억 원이 반영되었으며 17, 2026년 신규 수주가 부진할 경우 매출 감소 및 실적 개선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3
2.2. 재무 상태 진단: 2025년 3분기 실적 리뷰
2025년 10월 27일 공시된 한화오션의 3분기 실적은 외형적으로는 폭발적인 성장을 기록했으나, 시장의 높은 기대치에는 미치지 못했습니다.
- 3분기 실적 (연결 기준):
- 매출액: 3조 234억 원 (전년 동기 대비 11.8% 증가) 3
- 영업이익: 2,898억 원 (전년 동기 대비 1032% 증가) 4
- 당기순이익: 2,694억 원 (흑자전환) 18
- 컨센서스 하회 원인 분석:
- 원인 1 (일회성 비용): 임단협 타결에 따른 인센티브(약 250억 원) 및 FPSO 사고 관련 비용(약 250억 원) 등, 총 500억 원 규모의 일회성 비용이 반영되었습니다.17
- 원인 2 (조업일수 감소): 하계 휴가로 인한 조업일수 감소 18 및 크레인 정비 영향 17으로 고정비 부담이 일시적으로 확대되었습니다.
- 3분기 영업이익 2,898억 원은 연합인포맥스가 집계한 시장 컨센서스 3,350억 원 20을 약 13.5% 하회하는 수치입니다.
표 1. 2025년 3분기 실적 요약 (vs. 컨센서스)
| 항목 | 3Q25 잠정치 (억 원) | 3Q24 실적 (억 원) | YoY 증감률 | 시장 컨센서스 (억 원) | 컨센서스 대비 (Shock %) |
| 매출액 | 30,234 | 27,041 | +11.8% | (N/A) | (N/A) |
| 영업이익 | 2,898 | 2,560 (YoY 1032%) | +1032.0% | 3,350 | -13.5% |
| 순이익 | 2,694 | (N/A) | 흑자전환 | (N/A) | (N/A) |
| 주: 3Q24 영업이익은 [18, 19] 기반 추정치이며, 컨센서스는 20 기준입니다. |
2.3. 재무 진단 및 해석
3분기 실적은 발표된 '숫자(2,898억 원)'보다 '내용(Quality)'에 집중할 필요가 있습니다. 시장 기대치를 하회한 주된 요인은 일회성 비용 17과 조업일수 감소 18라는 '제거 가능한(Non-recurring)' 변수들입니다. 이러한 요인을 제외하면, 핵심 사업인 상선 부문에서 고선가 LNG선 비중 확대로 인한 본원적인 이익 체력 개선(제품 믹스 개선) 기조는 매우 견고합니다.18
따라서 3분기 실적 발표(10월 27일) 이후 10월 28일 발생한 주가 하락(-5.7%) 21은 단기적 충격으로 판단됩니다. 4분기에는 조업일수 정상화 및 3분기에서 이연된 일부 수익(Change Order) 17이 반영되며 실적 '점프 업(Jump Up)'이 기대됩니다.21
3. Part 2. 주가 분석: 현재 주가를 움직이는 3대 핵심 테마
현재 한화오션의 주가는 전통적인 조선업 사이클을 넘어 3가지 강력한 테마가 견인하고 있습니다.
3.1. Theme 1 [특수선] K-방산 수출: 잠수함이 이끄는 퀀텀 점프
한화오션의 주가는 전통적인 '조선 사이클주'에서 'K-방산 수출주'로 밸류에이션이 근본적으로 재편되고 있습니다.7
- 핵심 동력 1 (캐나다): 최대 60조 원 규모(12척)의 캐나다 차세대 잠수함 사업 6에서 HD현대중공업과 '원팀'으로 최종 후보(숏리스트)에 선정되었습니다.16 특히 2025년 10월 31일,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가 거제조선소를 직접 방문해 한화오션이 제안 중인 장보고-III 배치-II 1번함 '장영실함' 5에 승선한 것은 6 강력한 수주 시그널로 해석됩니다.
- 핵심 동력 2 (필리핀/폴란드): 2025년 11월 1일, 마르코스 필리핀 대통령이 APEC 정상회의 중 한화오션 경영진과 회동, 잠수함 도입(MRO, 인력 지원 포함)을 논의했습니다.5 또한 연내 폴란드 잠수함 수주 결과도 기대되고 있습니다.3
- 핵심 동력 3 (미국 - SSN): 2025년 10월,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의 핵추진 잠수함(SSN) 건조 승인'을 발언하며 16 한화오션이 미국과의 핵심 방산 동맹 파트너로 격상될 가능성이 제기되었습니다. 이는 한화오션이 내부적으로 '보일러 프로젝트' 15를 통해 핵잠수함 설계를 준비해왔다는 사실과 맞물려, 단순한 정치적 선언을 넘어선 중장기적 모멘텀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캐나다 총리 5와 필리핀 대통령 22의 연이은 현장 방문은 외교적 수사를 넘어, (1) 독일, 프랑스 등 경쟁사 대비 한화오션 3000t급 잠수함의 기술적 우위 5 및 (2) MRO, 기술 이전을 포함한 '패키지 딜' 5 제안이 장기적인 종속성(Lock-in) 효과를 창출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3.2. Theme 2 [상선] LNG 중심의 고수익성 사이클 지속
방산 부문이 '기대감'이라면, 상선 부문은 '실적'을 담당합니다.
- 실적 인식: 2022년 수주한 고선가 LNG 물량이 2025년 3분기부터 본격적으로 매출에 인식되기 시작했습니다.4
- 미래 수요: 2025년의 단기 조정 국면 7에도 불구하고, 2026년 상반기 미국·카타르발 신규 LNG 프로젝트 발주, 2027~2028년 노후선 교체 및 IMO 환경규제 대응에 따른 발주 피크가 예상됩니다.7 이는 LNG 시장이 '단기 사이클'이 아닌 '구조적 성장' 궤도에 진입했음을 의미하며, 한화오션이 2027년까지 안정적인 상선 부문 이익(영업이익률 15% 육박 전망 3)을 확보했음을 의미합니다.
3.3. Theme 3 [시너지/미국] 한화그룹 편입 및 미국 MRO 시장 진출
2023년 한화그룹 편입의 시너지가 2025년부터 본격화되고 있습니다.
- 수직 계열화: 한화엔진(구 HSD엔진) 인수로 '선박 건조 → 엔진 제작'의 수직 계열화가 완성되었습니다. 선박용 저속엔진(글로벌 2위 23) 내재화를 통해 원가 절감 및 안정적인 납기 준수37가 가능해졌습니다.
- 방산 시너지: 모회사인 한화에어로스페이스 24와의 '육해공 방산 시너지'를 통해 북미, 유럽 등 공동 수주 전략을 실행하고 있습니다.
- 미국 MRO 시장: HD현대중공업과 함께 미국 해군 정비계약(MSRA) 자격을 확보했습니다.7 이는 'MASGA'(미국 조선업 부활) 정책 27의 직접적인 수혜로, 100~200억 달러 규모의 미국 군수지원함 및 MRO 시장 27에 진입하는 교두보를 마련한 것입니다.7
3.4. 주가에 영향을 준 주요 뉴스 (2025년 하반기)
- [2025-10-31] 캐나다 총리, 한화오션 거제조선소 방문 및 잠수함(장영실함) 승선 5 → (영향: 긍정적) 특수선 수주 모멘텀 극대화.
- [2025-10-30] 트럼프 미국 대통령, 한국 핵추진 잠수함(SSN) 건조 승인 발언 15 → (영향: 긍정적) 미국 시장 기대감 및 기술력 입증.
- [2025-10-28] 증권가, 3Q 실적 기반 목표주가 상향 (NH투자증권 16.1만 원, LS증권 16.3만 원) 3 → (영향: 긍정적) 컨센서스 하회에도 불구, 펀더멘털 신뢰.
- [2025-10-27] 3분기 영업이익 2,898억 원, 시장 컨센서스(3,350억 원) 13.5% 하회 18 → (영향: 부정적) 단기 주가 조정 요인 발생.
- [2025-10-01] 북미 선주와 3,534억 원 규모 LNGC 1척 수주 공시 12 → (영향: 긍정적) 상선 펀더멘털 견조함 확인.
4. Part 3. 투자 기회 및 잠재적 리스크 (SWOT 분석)
4.1. 기회 요인 (Opportunities)
- 글로벌 방산 수요 폭증: 미·중 패권 전쟁 29,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29 등으로 인한 전 세계적인 방위비 증가는 '경기 사이클을 타지 않는' 안정적인 수요 7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 미국 시장 (MRO & MASGA): 미국 해군 MRO 사업 진출 7 및 MASGA 정책 27은 한화오션에 '제2의 내수 시장'을 열어줄 수 있습니다. 이는 단순 선박 건조를 넘어 '서비스(MRO)'라는 고마진 영역으로의 확장을 의미합니다.7
4.2. 위기 및 리스크 요인 (Risks)
#### 4.2.1. [심층] 오버행(Overhang) 리스크: 주가 상단을 누르는 2개의 그림자
현재 주가의 가장 큰 부담 요인은 두 개의 막대한 잠재적 매도 물량입니다.
- 리스크 1 (산업은행 KDB):
- 현황: 2대 주주인 한국산업은행(KDB)이 지분 **15.25%**를 보유 중입니다.3
- 분석: KDB는 지난 2025년 4월 29일, 보유 지분 일부(약 4.3%)를 블록딜(시간외 대량매매)로 매각하며 1조 원을 현금화했습니다.9 이 여파로 당시 주가는 12% 급락했습니다.9
- 평가: KDB의 잔여 지분 15.25% 3는 '언제든 출회 가능한' 잠재적 매도 물량 32입니다. 시장은 KDB가 현 주가를 '고점'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시그널 9로 해석할 수 있어, 투자 심리에 지속적인 부담으로 작용합니다.
- 리스크 2 (수출입은행 KEXIM):
- 현황: 2.3조 원 규모의 영구전환사채(CB) 3가 존재합니다.
- 전환 가격: 40,350원 10 (현재 주가 136,600원 대비 매우 낮은 수준).
- 분석: 전량(5,781만 주) 전환 시, 현 발행주식수 대비 **18.9%**에 달하는 막대한 물량이 시장에 풀리게 됩니다.10
- 평가: 이는 KDB 리스크보다 더 근본적인 '주당순이익(EPS) 희석' 리스크입니다.3 그러나 NH투자증권을 비롯한 주요 증권사들은 이미 2026년 초 CB 전환을 '가정'하고 목표주가를 산출(예: Target PBR 5.86배 적용) 3하고 있습니다. 이는 **"해당 리스크가 상당 부분 밸류에이션 모델에 선반영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실제 전환이 발생할 때의 주가 충격은 예상보다 적을 수 있으며, 오히려 시장의 가장 큰 불확실성이 해소되는 '이벤트'로 작용할 가능성도 존재합니다.
#### 4.2.2. 해양 플랜트(FPSO) 부문의 이중 리스크
- 리스크 1 (수익성): 2025년 3분기에도 FPSO 사고 관련 비용(250억 원)이 발생하는 등 17, 기존 저가 수주 프로젝트의 수익성 관리가 여전히 불안정합니다.
- 리스크 2 (수주 절벽): 신규 수주 부진으로 2026년 해양 부문 매출 감소가 예상됩니다.3 2026년 내 의미 있는 FPSO 수주를 확보하지 못한다면, 2027년 실적 공백 3으로 이어져 상선/특수선의 호조를 일부 상쇄할 수 있습니다.
5. Part 4. [심층] 2026년 산업 전망 및 실적/수주 추정
5.1. 향후 산업 전망 (2026-2027)
- 조선업 (상선): 2026년 조선업계의 전체적인 작업량은 증가할 것입니다.27 2025년 하반기~2026년 상반기 미국·카타르발 LNG선 발주, 2027~2028년 노후선 교체 및 친환경 선박(암모니아추진선 등) 발주 피크가 도래하며 K-조선의 수혜가 예상됩니다.7
- 방위 산업 (특수선): 미·중 패권 전쟁 29 및 글로벌 안보 불안 7으로 K-방산은 장기적 성장 국면에 진입했습니다. 방산 수요는 경기 변동성이 낮아 7 한화오션의 실적 안정성을 크게 높여줄 것입니다.
- 엔진 산업: 한화엔진(HSD엔진)은 2025년 고수익성 기반(ROE 18.6%)을 갖추고, 2025년 영업이익이 2023년 대비 1000% 이상 성장할 전망입니다.34 이는 한화오션의 원가 경쟁력에 직접적으로 기여할 것입니다.
5.2. 2026년 실적 및 수주 추정
- 실적 추정: 증권가에서는 2025년 매출액 12조 6,948억 원, 영업이익 7,365억 원 (영업이익률 5.8%)을 전망하고 있습니다.2 이는 2025년 3분기 누적 실적 및 4분기 전망치를 감안할 때 달성 가능한 수준으로 판단됩니다.
- 수주 추정: 2026년에도 LNG선을 필두로 양호한 수주가 예상됩니다.3
- 사업부별 전망 (2026):
- 상선: 고선가 물량의 매출 인식이 정점에 달하며, 영업이익률 15%에 근접할 전망입니다.3
- 특수선: 캐나다, 폴란드 등 대형 프로젝트 수주 결과에 따라 2027~2028년 매출이 폭발적으로 증가할 기반을 마련할 것입니다. 일부 증권사는 중장기 특수선 부문 매출 4조 원 이상을 전망하고 있습니다.3
- 해양: 2026년 FPSO 신규 수주가 없다면 2026년 실적 개선 폭은 제한적일 것입니다.3 2027년부터 외형 성장 재개가 전망됩니다.3
표 2. 2026년 핵심 성과 지표(KPI) 추정
| 항목 | 2024년 (E) | 2025년 (F) | 2026년 (F) |
| 매출액 (억 원) | 107,760 [11, 12] | 126,948 2 | (N/A) |
| 영업이익 (억 원) | 2,379 12 | 7,365 2 | (N/A) |
| 영업이익률 (OPM) | 2.2% | 5.8% 2 | (15% 근접-상선 3) |
| 신규 수주액 (억 달러) | (N/A) | 63 (YTD) 17 | (양호한 수주 전망 3) |
| 주: 2024년 데이터는 12 기준, 2025-26년 전망치는 [2, 3, 17] 등 복수 자료 기반 추정입니다. |
6. Part 5. 주가 예측 및 매매 전략 (Target: 2025.11.30)
6.1. 수급 분석: '외국인/기관' Buy vs. '개인' Sell
최근 한 달간 한화오션의 수급은 '스마트 머니'의 유입과 개인 투자자의 차익 실현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 최근 1개월 (2025.10.05 ~ 11.05):
- 외국인: 170.7만 주 순매수 35
- 기 관: 96.6만 주 순매수 35
- 개 인: 265.3만 주 순매도 35
- 특징: 외국인은 최근 5일 연속 271.8만 주를 순매수하며 매수 강도를 높이고 있습니다.35 현재 외국인 지분율은 15.10%입니다.30
- 주요 주체별 평균 매수 단가 (추정): 10월 1일 주가(111,250원 12)와 10월 말 주가(139,700원 17)를 고려할 때, 이 기간 외국인 및 기관의 평균 매수 단가는 약 125,000원 ~ 130,000원 사이로 추정됩니다.
이는 매우 전형적인 '상승장'의 수급 형태입니다. 지난 1년간 266.9% 급등한 주가 30에 대해 개인 투자자들이 차익 실현 물량을 내놓고 있으며, 이 물량을 외국인과 기관(Smart Money)이 전부 흡수하고 있습니다. 이는 단기 과열 부담 9에도 불구하고, 중장기(방산, SSN) 성장성을 더 높게 평가하고 있다는 강력한 증거입니다.
표 3. 최근 1개월 수급 동향 (2025.10.05 ~ 2025.11.05)
| 주체 | 순매수량 (주) | 특징 |
| 외국인 | +1,707,000 | 5일 연속 순매수 35 |
| 기 관 | +966,000 | 동반 순매수 35 |
| 개 인 | -2,653,000 | 차익 실현 매물 출회 35 |
| 데이터 소스: 35 |
6.2. 주가 예측: 2025년 11월 30일 (객관성 중심)
- 현재 주가 (2025.11.05): 136,600원 1
- 52주 최고/최저: 151,600원 / 26,650원 1
- 주요 증권사 목표주가 (최근 1개월):
- NH투자증권: 161,000원 3
- LS증권: 163,000원 28
- 한국투자증권: 154,000원 21
- 키움증권: 128,000원 35
- 참고: 10월 말 3분기 실적 발표 이후 주요 증권사들이 16만 원대로 목표주가를 상향 조정했으며 3, 이는 기존 컨센서스(약 14만 원 1)를 상회하는 수준입니다.
- 주가 예측 상세 근거 (상승 vs 하락 시나리오):
- 상승 시나리오 (Catalyst): 11월 30일까지 남은 기간 동안 가장 강력한 모멘텀은 **'연내 수주 발표'**입니다. 3분기 컨퍼런스콜에서 언급된 '연내 폴란드 잠수함 및 태국 수상함 관련 수주 결과' 3 중 하나라도 현실화될 경우, 주가는 52주 신고가(151,600원)를 돌파하여 증권사 목표가인 160,000원대에 근접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 하락 시나리오 (Risk): (1) 기대했던 수주 발표가 지연되거나, (2) KDB의 2차 블록딜 루머가 발생하거나, (3) 3분기 컨센서스 하회에 대한 실망 매물이 뒤늦게 출회될 경우, 최근 1개월간 유입된 수급의 평균 매수 단가 하단인 125,000원 ~ 131,600원(10월 28일 저가 21) 수준까지 단기 조정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주가 예측: 2025년 11월 30일 → 145,000원
- 산출 근거: 현 주가(136,600원)는 3분기 실적 실망감을 일부 반영한 상태입니다. 11월 30일까지 남은 3주간, 연내 수주 기대감 3과 강력한 외국인 수급 35이 주가 하방을 지지할 것입니다. 대형 수주 발표가 11월 30일 전에 나오지 않는다는 보수적인 가정 하에, 기대감이 유지되며 현 주가 대비 소폭 상승한 145,000원 수준에서 등락할 것으로 예측합니다.
6.3. 단기 가격대 산출 (2025.11.30까지, 현재가 136,600원 기준)
- 향후 2025년 11월 30일까지 예상 저점: 131,500원 (-4%)
- 근거: 최근 1개월간 56.4% 급등 30에 따른 기술적 조정 발생 시, 3분기 실적 발표 직후의 저점 21 부근에서 지지선이 형성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 향후 2025년 11월 30일까지 예상 고점: 160,000원 (+17%)
- 근거: 폴란드 또는 태국 수주 3 발표 시, 52주 신고가(151,600원)를 경신하고 NH/LS증권의 목표가 3 수준에 근접을 시도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2025년 11월 30일 단기 가격대 산출: 138,000원 ~ 152,000원 (+1% ~ +11%)
- 근거: 특별한 촉매 없이 수급과 기대감만으로 움직일 경우의 변동 범위입니다.
6.4. 단기 매매 전략 (향후 2025.11.30까지)
- 전략: '보유 (Hold)' 및 '조정 시 매수 (Buy on Dips)'
- 신규 매수자: 135,000원 이하로 조정 시 분할 매수 접근이 유효합니다. 1차 목표는 52주 신고가인 151,600원입니다.
- 기존 보유자: '연내 수주'라는 강력한 단기 촉매 3가 남아있으므로, 3분기 실적 발표 이후의 단기 조정을 이유로 매도(차익 실현)를 서두를 필요는 없습니다. 폴란드/태국 수주 관련 뉴스 플로우를 주시하며 보유 전략을 권고합니다.
7. 부록 (Appendix)
7.1. 최근 6개월 이내 주요 공시 (2025.05 ~ 2025.11)
표 4. 주요 공시 내역
| 일자 | 공시 제목 | 주요 내용 | 주가 영향 |
| 2025-10-01 | 단일판매ㆍ공급계약체결 12 | 북미 지역 선주와 LNGC 1척 건조 계약 | 3,534억 원 (매출액 대비 3.3%) |
| 2025-08-07 | [정정]유상증자결정(종속회사) [36] | (과거 유상증자 관련 정정 공시) | (N/A) |
| 2025-04-29 | (KDB 블록딜 관련) | (공시 외 뉴스) KDB 지분 4.3% 매각 9 | 약 1조 원 현금화 |
7.2. 최신 핵심 뉴스 링크 (3개)
- [종합] 필리핀 대통령·캐나다 총리, 한화오션 '러브콜'…K-방산 선봉 (2025.11.02)
- 캐나다 총리, 한화오션 방문…최대 60조 차세대 잠수함 수주 '청신호' (2025.10.31)
- 한화오션, 3분기 영업익 2898억…전년비 1032% 증가 (2025.10.27)
7.3. 네이버 금융 차트 링크
7.4. 기타 투자 참고 사항 (대내외 변수)
- 환율: 원/달러 환율 상승(원화 약세)은 일반적으로 조선업 수익성에 긍정적입니다.3 급격한 환율 하락(원화 강세)은 2026년 수익성 개선 폭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3
- 원자재 가격: 후판 가격 안정화가 수익성의 핵심 변수입니다. 2026년 조선업계의 철강 수요 증가가 미미할 것 27이라는 전망은 원가 안정에 긍정적인 신호입니다.
- 경쟁 구도: 중국 조선업의 친환경 선박 시장 추격 6 및 기술 경쟁은 지속적인 R&D 투자를 요구하는 요인입니다.
8. 면책 사항 고지
- 본 보고서는 오직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작성되었으며, 특정 증권의 매수 또는 매도를 권유하거나 추천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습니다.
- 본 보고서에 사용된 데이터 및 정보는 신뢰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출처(제공된 리서치 자료 1)를 기반으로 하였으나, 당사는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 본 보고서에 포함된 모든 예측, 전망 및 추정치(2026년 실적 추정, 주가 예측 등)는 다양한 가정과 현재까지의 시장 상황을 기반으로 한 것이며, 실제 결과와 다를 수 있으며 향후 예고 없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 모든 투자 결정은 투자자 본인의 판단과 책임 하에 이루어져야 하며, 본 보고서는 어떠한 경우에도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의 근거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본 보고서의 내용은 작성일(2025년 11월 5일) 기준이며, 향후 시장 변화나 새로운 정보에 따라 업데이트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