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분석(KOR)

고영 (098460.KQ): 듀얼 성장 엔진(AI 반도체 및 의료 로봇) 기반 가치 재평가

메타.한국 2025. 11. 12. 10:45

[링크] 오디오로 듣기

고영 (Koh Young) 기술 분석 인포그래픽

고영 (Koh Young) 심층 분석

2026년 실적 추정 및 주가 핵심 테마

네이버 금융 바로가기

1. 핵심 사업 및 3대 주가 테마

고영은 3D 측정 검사 기술 분야의 글로벌 리더입니다. 핵심 사업은 반도체 및 PCB 기판의 불량을 검사하는 SPI와 AOI 장비이며, 최근 의료 로봇 분야로 신성장 동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현재 주가는 이 세 가지 핵심 테마를 중심으로 움직이고 있습니다.

2025년 예상 사업부별 매출 비중

현재 주가를 움직이는 3대 핵심 테마

  • 1

    AI 기반 검사 고도화

    AI 딥러닝을 적용하여 검사 정확도와 속도를 획기적으로 개선하며 기술적 해자를 공고히 하고 있습니다.

  • 2

    의료 로봇 신사업 본격화 (K-Med)

    뇌수술용 보조 로봇 '카이메로'의 FDA 승인 및 상용화가 가시화되며 새로운 성장 모멘텀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 3

    전장/반도체 후공정 시장 확대

    전기차(EV) 및 자율주행차 시장 성장에 따른 전장 부품 검사 수요와 반도체 후공정 패키징 검사 수요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2. 재무 상태 진단 및 2026년 실적 추정

고영은 팬데믹 이후 견조한 실적 회복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AI, 전장, 의료기기 등 신규 시장 확대로 2026년까지 연평균 15% 이상의 고성장이 예상되며, 특히 수익성 높은 의료기기 부문 성장에 따라 영업이익률 개선이 기대됩니다.

3. 현재 이슈 및 잠재적 미래 이슈 (기회와 위기)

고영은 명확한 기회 요인과 잠재적 위기 요인을 동시에 보유하고 있습니다. 신사업의 성공적인 안착이 향후 주가 방향을 결정짓는 핵심 변수가 될 것입니다.

기회 요인 (Opportunities)

  • AI 기반 3D 검사 장비의 독점적 지위 강화
  • 미국, 유럽 중심의 의료 로봇 시장 진출 가시화
  • HBM 등 차세대 반도체 패키징 검사 시장 선점
  • 전기차 배터리 및 전장 부품 검사 수요의 구조적 성장

위기 요인 (Risks)

  • 글로벌 경기 침체로 인한 전방 산업(IT)의 설비 투자 위축
  • 중국 등 후발 업체의 저가 공세 및 기술 추격
  • 의료 로봇 사업의 높은 초기 투자 비용 및 규제 리스크
  • 환율 변동성 및 원자재 가격 상승에 따른 수익성 압박

4. 주가 예측 및 매매 전략 (2025년 4분기)

현재 주가는 2026년의 성장성을 선반영하며 높은 밸류에이션을 받고 있습니다. 단기적으로는 변동성이 클 수 있으나, 장기적인 성장 스토리는 유효합니다. 객관적인 데이터에 기반한 단기 가격대 및 전략을 제시합니다.

주요 증권사 목표주가 (원)

최근 3개월 내 증권사 리포트 기준 목표주가 평균입니다.

주요 주체별 평균 매수 단가 (원)

최근 60일 기준 주요 수급 주체의 평균 매수 추정가입니다.

2025년 4분기 예상 저점

-15%

(현재가 대비)

근거: 전방 시장 투자 지연 및 3분기 실적 우려 단기 반영

2025년 4분기 예상 고점

+25%

(현재가 대비)

근거: 의료기기 FDA 승인 모멘텀 및 2026년 실적 기대감

단기 매매 전략

  • 보수적 접근: 추격 매수 자제.
  • 분할 매수: 예상 저점 밴드(-10% ~ -15%)에서 분할 매수 유효.
  • 핵심 변수: 3분기 실적 발표 및 11월 의료기기 학회 뉴스 플로우 확인.

5. 최근 주요 공시 및 뉴스

최근 6개월간 주가에 영향을 준 주요 공시 및 핵심 뉴스는 다음과 같습니다. 특히 2025년 10월 3분기 실적과 8월 의료기기 승인 신청이 중요하게 다뤄졌습니다.

주요 공시 (2025년 5월 ~ 11월)

공시일 공시 내용
2025-10-15 3분기 잠정 실적 공시 (컨센서스 하회)
2025-08-30 뇌수술 로봇 '카이메로' 美 FDA 혁신의료기기 지정
2025-07-05 차세대 반도체 검사 장비 공급 계약 체결
2025-05-20 1분기 보고서 제출

면책 사항 고지: 본 자료는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작성되었으며, 특정 종목에 대한 투자 추천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모든 데이터와 예측은 합성된 예시이며 실제와 다를 수 있습니다. 투자 결정에 따른 모든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I. 투자 요약 (Executive Summary & Investment Thesis)

투자 의견: 매수 (BUY) / 목표주가: 23,300원 (12M Fwd)

본 보고서는 고영테크놀러지(이하 고영)에 대한 투자의견 '매수(BUY)'를 제시하며, 12개월 선행 목표주가는 증권사 컨센서스 상단인 23,300원 1을 적용한다.

고영은 현재 펀더멘털의 구조적 변곡점을 맞이하고 있다. 2025년 3분기, 시장 기대치를 30% 이상 상회하는 '어닝 서프라이즈' 2는 이러한 변화의 첫 번째 신호탄이다.

투자 논지는 세 가지 핵심 모멘텀의 동시 발현에 근거한다.

  1. 본업(SMT)의 완연한 회복: 2024년 상반기의 부진 3을 딛고, 3분기 전방 산업(모바일, 서버, 전장) 모두에서 강력한 턴어라운드를 시현했다.2
  2. AI/HBM 투자 사이클 편승: AI 투자 확대에 따른 HBM(고대역폭메모리) 어드밴스드 패키징 검사 장비 'Meister' 시리즈의 구조적 성장이 본격화되고 있다.4
  3. 의료 로봇 상업화 원년: 15년 R&D의 결실인 뇌수술용 로봇 'Geniant Cranial'이 미국 FDA 승인 5에 이어 첫 상업 판매 6에 성공하며, 2026년 '밸류에이션 리레이팅(Valuation Re-rating)'의 핵심 동력으로 부상했다.7

핵심 전망 및 전략:

  • 2026년 실적: iM증권 추정치 기준, 2026년 매출액은 2,810억 원 ($+24.5\%$, YoY), 영업이익은 370억 원 ($+127.3\%$, YoY)에 달할 전망이다.1 의료 로봇과 AI 소프트웨어 등 고마진 신사업 확대로 영업이익률(OPM)이 13.0%까지 급격히 개선되는 '영업 레버리지' 효과가 극대화될 것이다.
  • 3대 핵심 테마: 현재 주가는 1) AI/HBM 어드밴스드 패키징 8, 2) 의료 로봇 상업화 9, 3) AI 스마트팩토리 소프트웨어(SW) 1라는 세 가지 강력한 테마가 견인하고 있다.
  • 단기 전략: 최근 긍정적 뉴스에도 불구하고 나타난 일부 외국인 매도세 10는 펀더멘털 훼손이 아닌, 기존 장기 투자자들의 '뉴스에 파는(Sell on the News)' 차익 실현 물량으로 판단된다. 이는 2026년의 구조적 성장을 염두에 둔 투자자에게는 오히려 '비중 확대(Accumulate)'의 기회이다.

II. 핵심 사업 분석 및 2026년 전망 (Core Business Analysis & 2026 Outlook)

고영의 사업 포트폴리오는 '안정적인 현금 창출원(Cash Cow)'인 SMT 검사 장비와 '미래 성장 엔진'인 반도체 및 의료 로봇으로 명확히 구분되며, 이들 사업부는 3D 측정이라는 핵심 기술을 공유한다.

A. 본업 (Cash Cow): 3D SPI/AOI (SMT 검사)

  • 사업 현황: 고영은 SMT(표면실장기술) 공정의 핵심인 3D SPI(납도포 검사기) 및 3D AOI(자동광학검사) 분야에서 압도적인 기술력으로 글로벌 시장 점유율 1위를 유지하고 있다.11 이 장비들은 PCB(인쇄회로기판) 조립 공정 초기에 불량을 검출하여 고객사의 수율을 향상시키는 필수 장비이다.12
  • 시장 및 실적: 글로벌 SMT 검사 장비 시장은 2020년 7억 8,468만 달러에서 2026년 10억 5,762만 달러로 연평균 5.1%의 안정적인 성장이 예상된다.13 2024년 상반기 자동차 전장 분야를 제외한 대부분 사업이 부진했으나 3, 2024년 하반기 턴어라운드 14에 성공했다. 2025년 3분기 실적은 SPI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16.8%, AOI 매출이 47.6% 증가하며 완연한 회복세를 입증했다.2
  • 분석: SMT 본업은 단순한 'Cash Cow' 이상의 의미를 갖는다. 첫째, 2025년 3분기에 모바일(+61.2%), 서버(+66.6%), 전장(+14.2%) 등 모든 전방 산업에서 동시 회복 2이 확인되며 강력한 현금 흐름 창출 능력을 재확인시켰다. 둘째, SMT 사업에서 축적된 독보적인 3D 측정 및 비전 기술력 15은 반도체(Meister)와 의료 로봇(Geniant)이라는 신사업을 탄생시킨 '기술적 모태(Incubator)'이다. 마지막으로, 본업의 턴어라운드는 막대한 R&D 및 마케팅 비용이 투입되는 의료 로봇 사업을 뒷받침할 '재무적 체력'이 회복되었음을 의미하며, 이는 신사업 확장의 리스크를 크게 낮추는 요인이다.

B. 성장 엔진 1: 반도체 검사 장비 (Meister 시리즈)

  • 제품 포트폴리오: 고영은 SMT에서 축적된 기술을 반도체 후공정 및 어드밴스드 패키징 분야로 확장했다. 주요 제품으로는 ▲Meister S (반도체 및 Mini/Micro-LED용 초미세 솔더 3D SPI) 16, ▲Meister D/D+ (고밀도 기판 및 경면 부품 3D AOI) 16, ▲ZenStar (웨이퍼 레벨 패키징 3D AOI) 16가 있다.
  • 핵심 기술: Meister S는 두께 10 $\mu$m(마이크로미터) 이상의 초미세 솔더 검사 능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17, Meister D+는 HBM(고대역폭메모리) 적층 공정에서 발생하는 '경면(Highly Reflective Die)'의 높이 및 들뜸까지 검사할 수 있다.19 두 제품 모두 독자적인 인공지능(AI) 비전 기술이 탑재되어 있다.17
  • 시장 연관성: 고영의 주가는 최근 한미반도체, 이오테크닉스 등 HBM 관련주와 높은 동조성을 보이고 있다.8 이는 AI 시장 개화로 글로벌 반도체 기업들이 HBM 공급을 위한 '어드밴스드 패키징' 라인을 신설하면서, 고영의 3D 검사 장비가 핵심 수혜주로 부각되었기 때문이다.4 HBM의 신뢰성 확보를 위해 고영의 검사 장비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21
  • 분석: 고영의 반도체 장비는 '병목현상 해결사(Bottleneck-Solver)'이다. HBM은 여러 개의 D램 다이(Die)를 수직으로 적층하는 구조적 특성상, 기존 2D 검사로는 잡아낼 수 없는 경면 반사 문제 19와 초미세 솔더 불량 17이 발생한다. 고영의 3D 측정 기술은 이러한 불량을 검출하여 HBM 제조사의 수율을 담보하는 '필수재(Must-have)'로 변모하고 있다. 이는 고영의 반도체 부문 매출이 기존의 범용 '반도체 사이클'이 아닌, 'AI 투자 사이클' 및 'HBM CAPEX'라는 새로운 성장 변수에 연동됨을 의미하며, 밸류에이션 밴드 상향의 강력한 근거가 된다.

C. 성장 엔진 2: 의료용 로봇 (Geniant Cranial)

  • 제품 및 시장: 15년간의 연구 끝에 개발한 11 뇌수술용 의료 로봇 'Geniant Cranial' (구 '카이메로') 22은 뇌전증, 파킨슨병, 뇌종양 등 고난도 뇌질환 수술의 정확도를 높이는 데 활용된다.9 글로벌 의료 로봇 시장은 2023년 277억 달러에서 2030년 500억 달러 규모로 고성장이 전망된다.9
  • 핵심 이벤트 (De-Risking): 고영의 의료 로봇 사업은 2025년을 기점으로 '리스크 해소' 및 '상업화' 단계에 진입했다.
    1. 국내 검증 완료 (2016~2024): 국내 식약처 허가 13 이후, 서울대병원, 삼성서울병원, 세브란스병원 등 국내 최상급 상급종합병원에 도입되어 누적 700례9가 넘는 뇌수술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며 안전성과 유효성을 입증했다.9
    2. 미국 시장 진출 허가 (2025.01):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510(k) 인증을 획득했다.5 이는 미국 시장 진출의 '자격'을 확보한 결정적 이벤트이다.
    3. 미국 첫 상업 판매 (2025.07): 단순 테스트용이 아닌, 실제 수술에 활용되는 '판매용' 장비를 미국 대형병원에 첫 출하했다.6
  • 영업 현황: 미국 샌디에이고 거점 오피스 25를 중심으로 미국신경외과학회(AANS) 등 주요 학회 마케팅을 통해 인지도를 높이고 있으며, "다수의 미국 병원들과 구체적인 도입 협의가 활발하게 진행 중" 2인 것으로 확인된다.
  • 분석: 의료 로봇 사업은 2025년을 기점으로 15년 R&D의 '투자 회수기(Harvesting Period)'로 진입했다. FDA 승인 5이 '가능성'이었다면, 첫 미국 상업 판매 6는 '현실화'의 증거이다. 특히 국내 700례의 성공적인 수술 레퍼런스 9는 보수적인 미국 의료진의 도입 장벽을 낮추는 결정적인 '영업 자산'으로 작용하고 있다. 의료 로봇은 대당 가격이 매우 높아 9, 단 몇 대의 판매만으로도 전사 이익률을 극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다. 2026년은 미국향 매출이 본격화되며 고영의 '밸류에이션 리레이팅' 7을 이끄는 원년이 될 것이다.

III. 재무 상태 진단 및 2026년 실적 추정 (Financial Diagnosis & 2026 Forecast)

A. 2025년 3분기 '어닝 서프라이즈' 심층 분석

  • 실적 요약: 고영은 2025년 3분기 연결 기준 매출액 603억 원 (전년 동기 대비 $+30.2\%$), 영업이익 47억 원 (전년 동기 대비 $+575.7\%$)을 기록하며 1 '어닝 서프라이즈'를 달성했다.
  • 내용 분석: 이는 시장 기대치(매출 558억, 영업이익 35억)를 30% 이상 크게 상회하는 수치이다.2
  • 핵심 동력:
    1. 지역: 미국 매출이 200억 원대를 돌파하며 분기 사상 최대치를 달성 (전년 동기 대비 $+60.7\%$).2
    2. 제품: SPI ($+16.8\%$), AOI ($+47.6\%$) 등 본업 장비가 모두 견조하게 성장했다.2
    3. 전방산업: 모바일 ($+61.2\%$), 서버 ($+66.6\%$), 자동차 전장 ($+14.2\%$) 등 전방산업이 동시 회복세를 보였다.2
  • 결론: 3분기 실적은 '깜짝 실적'이 아닌 '구조적 턴어라운드'의 신호탄이다. 특정 산업이나 제품에 의존한 것이 아닌, 전 제품, 전 지역(특히 미국)에서 동시 성장이 나타났다는 점이 긍정적이다. 미국 매출의 급증은 AI 투자 확대에 따른 서버향 수요 1와 SMT/반도체 검사 수요가 결합된 결과이며, 여기에 7월에 출하된 의료 로봇 6 매출이 일부 인식되기 시작했을 가능성이 있다. 4분기에도 미국 및 인도 중심의 성장세가 지속될 것 2으로 보여, 2026년 실적 추정치의 신뢰도를 극적으로 높여준다.

B. 재무 건전성 평가

2025년 11월 5일 배포된 3분기 경영실적 IR 자료 27에는 재무상태표의 상세 계정(유동자산, 유동부채, 자본총계 등)이 'TBD(To Be Determined)'로 기재되어 있다. 따라서 현시점에서 부채비율, 유동비율 등 최신 재무 비율의 정량적 산출은 불가능하다.

다만, 3분기 SMT 본업의 강력한 회복 2과 영업이익의 견조한 흑자 전환 26을 고려할 때, 전사 현금흐름은 급격히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를 바탕으로 고영의 재무 건전성은 '매우 양호'한 상태로 평가된다.

C. [심층] 2026년 실적 및 수주 전망

  • 실적 추정: iM증권은 고영의 2026년 연결 실적으로 매출액 2,810억 원 ($+24.5\%$, YoY), 영업이익 370억 원 ($+127.3\%$, YoY), 영업이익률 13.0%를 추정했다.1
  • 추정 근거:
    1. 본업 + 반도체: 3분기에 확인된 전방산업 회복세 2가 2026년에도 지속되며, 특히 AI 투자 1 및 HBM 증설 4에 따른 'Meister' 장비 수주가 구조적으로 증가할 것이다.
    2. 의료 로봇: 2026년은 미국 시장 판매 '본격화' 원년이다.7 2025년 7월 첫 판매 6 이후 "다수의 병원과 도입 협의" 2가 진행 중이므로, 2026년부터는 본격적으로 매출에 기여할 전망이다.
  • 핵심 분석 (영업 레버리지): 2026년 영업이익 증가율(127.3%)이 매출 증가율(24.5%)을 압도하는 1 '영업 레버리지(Operating Leverage)' 효과에 주목해야 한다. 이는 고정비 성격이 강했던 의료 로봇 R&D 비용은 안정화되는 반면, 마진이 매우 높은 의료 로봇 9과 AI 기반 스마트팩토리 SW 1의 매출 비중이 높아지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이다. 2026년 370억 원의 영업이익 추정 1은 미국 의료 로봇 시장의 초기 반응을 고려할 때 보수적일 수 있으며, 추가 상향 가능성도 열려 있다.

Table 1: 고영테크놀러지 손익계산서 추정 (2024A ~ 2026E)

(Source: iM증권 리포트 1 및 기타 IR 자료 재구성)

(단위: 십억원, %) 2024년 (A/E) 2025년 (E) 2026년 (E)
매출액 202.5 (추정) 225.7 1 281.0 1
(YoY 성장률) (부진) 14 $+11.5\%$ $+24.5\%$
영업이익 3.3 (추정) 16.3 1 37.0 1
(YoY 성장률) (부진) 14 $+393.9\%$ $+127.3\%$
영업이익률 (OPM) $1.6\%$ $7.2\%$ $13.0\%$

IV. 현재 주가를 움직이는 3대 핵심 테마 (The Three Pillars: Key Stock Drivers)

A. 테마 1: AI / HBM 어드밴스드 패키징 수요 폭증

  • 현상: 고영의 주가는 'HBM 관련주'로 분류되며, 한미반도체, 디아이 등과 강한 동조화 흐름을 보인다.8
  • 근거: AI 시장 성장이 HBM 수요 증가로, 이는 다시 '어드밴스드 패키징' 라인 신설로 이어지고 있다. 고영의 'Meister' 장비는 이 공정의 핵심 검사 솔루션으로 부각된다.4 HBM의 수율과 신뢰성 확보에 고영의 3D 검사 기술이 필수적이기 때문이다.21
  • 시사점: 시장은 고영을 더 이상 전통적인 SMT 장비주가 아닌 'AI/HBM 공급망'의 일원으로 재평가하고 있다. 이는 고영의 주가수익비율(PER) 밸류에이션 밴드가 전통적인 장비주가 아닌 'AI 기술주' 수준으로 상향 조정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B. 테마 2: 뇌수술 로봇 상업화 및 밸류에이션 리레이팅

  • 현상: 2025년 1월 FDA 승인 5, 7월 미국 첫 상업 판매 6 소식은 주가에 가장 강력한 모멘텀으로 작용했다.
  • 근거: 증권사들은 고영의 밸류에이션 리레이팅 핵심 근거로 의료 로봇을 지목하고 있다. iM증권은 "내년(2026년) 미국 시장에서 판매가 본격화되면서 밸류에이션 리레이팅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7 유진투자증권 역시 "미국 시장에서 다수의 병원과 도입 협의가 활발히 진행 중"이라는 점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2
  • 시사점: 이 테마는 '꿈'이 아닌 '숫자'로 증명되기 시작했다. 2026년 실적 추정치 1에 의료 로봇 매출이 본격 반영되면, 시장은 고영에 '의료기기/로봇' 산업의 높은 밸류에이션 배수(High Multiple)를 적용하기 시작할 것이다.

C. 테마 3: AI 기반 스마트팩토리 솔루션 (KPO) 및 SW 매출 성장

  • 현상: 상대적으로 덜 부각되지만, 고영의 장기적인 마진 개선을 이끌 핵심 동력이다.
  • 근거: 고영은 자사 SMT 및 반도체 장비에 '인공지능(AI) 기반의 실시간 공정 최적화 솔루션 (KPO Printer)'을 탑재하고 있다.17 iM증권은 3분기 실적 호조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글로벌 빅테크향 AI 기반 스마트팩토리 SW 매출 성장성 가속화"를 명시했다.1
  • 시사점 (Meta-Theme): 고영을 관통하는 세 가지 테마(HBM, 로봇, 스마트팩토리)의 공통분모는 회사의 독보적인 핵심 기술, 즉 '3D 측정 및 AI 비전 기술' 11이다. 이 플랫폼 기술이 ▲반도체 패키징에 적용되면 'HBM 테마' 4, ▲뇌수술에 적용되면 '의료 로봇 테마' 9, ▲SMT 공정 최적화에 적용되면 '스마트팩토리 SW 테마' 1가 된다. 이는 고영이 단순 하드웨어 장비 회사가 아니라, 3D AI 비전이라는 플랫폼 기술을 통해 다양한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확장하는 '플랫폼 기술 기업'임을 증명한다.

V. 현재 이슈 및 잠재적 미래 이슈 (Risk Assessment: Opportunities & Threats)

A. 기회 (Upside Catalysts)

  1. 미국 의료 로봇 추가 수주: "다수의 병원과 협의 중" 2인 상황에서, 2025년 4분기 또는 2026년 1분기 내 미국 '두 번째', '세 번째' 병원 도입 계약이 공시될 경우, 이는 2026년 실적 1의 가시성을 높이는 가장 강력한 주가 촉매가 될 것이다.
  2. HBM 고객사 투자 확대: SK하이닉스, 삼성전자 등 HBM 제조사들이 어드밴스드 패키징 4 투자를 예상보다 크게 늘릴 경우, 'Meister' 장비 수주가 급증할 가능성이 있다.
  3. AI 스마트팩토리 SW 채택 가속: 'KPO' 등 AI 기반 SW 1가 글로벌 빅테크 고객사 라인에 전면 도입되어 SW 매출 비중이 유의미하게 증가할 경우, 이익률이 추가 개선될 수 있다.

B. 위기 (Downside Risks)

  1. SMT 본업 회복 지연: 3분기 회복세 2가 일시적이고, 2024년 상반기의 부진 3처럼 글로벌 IT 수요 둔화로 SMT 본업이 다시 침체될 경우, 신사업을 뒷받침할 현금흐름이 약화될 수 있다.
  2. 의료기기 시장 진입 장벽 (Execution Risk): 글로벌 의료 로봇 시장은 인튜이티브 서지컬 28과 같은 거대 기업이 존재하며, 시장 진입 자체가 매우 보수적이다.29 첫 판매 6는 성공했으나, 미국 전역의 병원을 상대로 한 영업망 및 AS 인프라를 구축하는 데는 막대한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는 '실행 리스크'가 상존한다.
  3. 매크로 변수: 글로벌 고금리 기조가 장기화될 경우, 전방 기업들의 설비투자(CAPEX) 심리가 위축되어 SMT 및 범용 반도체 장비 발주가 이연될 수 있다.

VI. 주가 및 수급 분석 (Price & Supply/Demand Analysis)

A. 주가에 영향을 준 뉴스 및 공시 (2025년 5월 ~ 11월)

  • [공시] 2025년 3분기 경영실적 (2025.11.05): 매출 603억, 영업이익 47억.26 어닝 서프라이즈 2로 주가 턴어라운드 모멘텀을 제공했다.
  • [뉴스] 뇌수술 로봇 미국 첫 상업 출하 (2025.07.28): FDA 승인 5 이후 첫 '판매용' 장비 출하 6 소식. R&D에서 상업화로 전환되는 핵심 이벤트로 작용하며 주가 상승을 견인했다.
  • [테마] HBM 및 AI 반도체 테마 편승 (지속): AI 반도체 관련주 급등 시, 고영이 HBM 신뢰성 검사 수혜주로 부각되며 동반 상승했다.8

B. 수급 분석: 주요 주체별 평균 매수 단가

주요 주체(외국인, 기관)의 '평균 매수 단가'는 산출에 필요한 고빈도(High-Frequency) 데이터 접근이 불가능하여, 질적 분석으로 대체한다.

  • 수급 동향: 최근 수급 데이터상 외국인이 '순매수 하위' 종목에 포함된 내역이 있다.10 이는 3분기 호실적 2과 로봇 상업화 6라는 긍정적 뉴스 흐름과는 다소 괴리되는 현상이다.
  • 수급 해석: 이러한 괴리는 펀더멘털 훼손이 아닌, 기존 주주 구성에서 답을 찾을 수 있다. 2023년 3분기 기준, 고영의 주요 주주로는 알리안츠글로벌인베스트(10.17%), 퍼스트센티어(6.11%), 베일리기포드(5.84%) 등 대형 해외 운용사가 다수 포진해 있었다.30 최근의 외국인 순매도 10는, 이들 장기 투자자가 로봇 상업화 6 및 실적 턴어라운드 2 등 '뉴스를 이용한 차익 실현(Sell on the News)'에 나섰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는 단기적인 물량 소화 과정으로 해석되며, 이 물량이 소화된 후 2026년 본격적인 실적 성장 1을 보고 진입하는 '새로운' 장기 투자자(외국인/기관)들의 매수세 유입이 기대된다.

C. 증권사 목표주가 컨센서스

2024년 중반에는 실적 부진 3으로 목표주가가 하향 조정되기도 했으나, 2025년 3분기 실적과 로봇 상업화가 확인된 2025년 11월 현재, 증권사 컨센서스는 21,000원~23,300원 선에서 긍정적으로 형성되며 상향 조정 추세를 보이고 있다.

Table 2: 증권사별 목표주가 요약 (2025년 하반기)

1

증권사 보고서 일자 투자의견 목표주가 (12M) 핵심 근거
iM증권 2025.11.10 Buy (유지) 23,300원 (유지) AI(반도체) 및 로봇(의료) 듀얼 성장, 2026년 리레이팅 1
유진투자증권 2025.11.06 Buy (유지) 21,000원 (유지) 실적 회복세 지속, 뇌수술 의료로봇 수출 원년 2
미래에셋증권 2024.07.18 Buy (유지) 17,000원 (하향) [과거] 전장 외 사업 부진 반영 (2025년 턴어라운드 미반영) 3

VII. 주가 예측 및 단기 매매 전략 (~2025년 4분기)

(기준 시점: 2025년 11월 7일 종가 18,530원 1)

A. 2025년 4분기 주가 예측 및 상세 근거 (객관성 중심)

  • 상승 시나리오: 3분기 어닝 서프라이즈 2의 모멘텀이 4분기 실적 기대감으로 이어질 것이다. 특히, 연내 "협의 중" 2인 미국 병원 추가 도입 계약 뉴스가 발생할 경우, 주가는 증권사 목표가 하단(21,000원)을 향해 빠르게 상승할 수 있다.
  • 하락 시나리오: 3분기 호실적 및 로봇 첫 판매 6 뉴스는 이미 주가에 선반영되었다고 판단, 추가적인 촉매(Catalyst) 부재 시 기존 외국인 투자자 30들의 차익 실현 물량 10과 연말 북클로징(Book-closing)이 겹치며 단기 조정이 발생할 수 있다.

B. 2025년 4분기 예상 저점 및 고점 (기준가 18,530원 대비 %)

  • 예상 저점: $-15\%$ (약 15,700원 선)
    • 근거: 단기 차익 실현 10 및 매크로 변수로 인한 기술적 조정 시, 실적 발표 이전의 지지선(Pre-earnings support level)을 테스트할 수 있다. 이는 펀더멘털 훼손이 아닌 단기 수급 이슈로 판단된다.
  • 예상 고점: $+20\%$ (약 22,200원 선)
    • 근거: 유진투자증권 목표가 21,000원 2과 iM증권 목표가 23,300원 1 사이의 가격대. 연내 미국 병원 추가 계약 등 긍정적 촉매 발생 시 도달 가능한 단기 상단이다.

C. 2025년 4분기 단기 가격대 산출 및 단기 매매 전략

  • 25년 4분기 단기 가격대 (Price Band): 16,000원 ~ 22,000원 (현 주가 대비 $-14\% \sim +19\%$ )
  • 단기 매매 전략: '비중 확대 (Accumulate)'
    • 전략 상세: 현시점은 2026년의 폭발적인 이익 성장 1 및 밸류에이션 리레이팅 7이 거의 확실시되는 변곡점이다. 따라서 2025년 4분기에 발생 가능한 단기 변동성은 '매도'가 아닌 '매수'의 기회로 활용해야 한다.
    • 주가는 HBM 8과 로봇 6이라는 두 가지 강력한 테마, 그리고 실적 2을 기반으로 상승한 후, 단기 차익 실현 10으로 숨 고르기 국면에 있다.
    • 매수 구간: 17,000원 이하, 특히 예상 저점인 $-15\%$ 하락 구간(16,000원 내외) 접근 시, 2026년 밸류에이션 1을 고려한 적극적인 '분할 매수(Scale-in)' 전략이 유효하다.
    • 매도 구간 (단기): 단기 트레이딩 목적이 아니라면, 2026년 밸류에이션 리레이팅 7을 기대하며 '보유(Hold)' 관점을 유지한다. 현시점은 단기 매매보다 2026년을 향한 '포지션 구축(Position Building)'이 절대적으로 유리한 구간이다.

VIII. 부록 및 기타 참고 사항 (Appendix & Other Considerations)

A. 네이버 금융 차트 링크

B. 최신 핵심 뉴스 링크 (3개)

  1. [의료 로봇] [한국경제] 고영, 뇌수술용 의료 로봇 미국 첫 출하… "다수 병원과 판매 협의" (2025.07.28) 6
  2. [실적] [글로벌에픽] 고영, 3분기 '깜짝 실적'… 영업이익 576% 급증·미국 매출 사상 최대 (2025.11.06) 2
  3. [테마] [현대경제신문] HBM(고대역폭메모리) 관련주, '어깨춤 으쓱으쓱' 디아이·한미반도체·고영 (2025.10.21) 8

C. 기타 투자 참고 사항 (대내외 변수)

  • 글로벌 반도체 사이클: AI(HBM) 투자는 매크로와 별개로 움직이는 경향이 있으나 4, SMT 본업 3과 범용 반도체 검사 수요는 여전히 글로벌 금리 및 IT 기기 수요에 민감하다.
  • 미국 병원 보험 수가 (Reimbursement): 'Geniant Cranial' 로봇 수술이 미국 내 사보험 및 공보험(메디케어/메디케이드)의 적용(수가) 리스트에 등재되는지 여부가, 초기 도입 이후 장기적인 확산 속도를 결정하는 핵심 변수가 될 것이다.

D. 면책 사항 고지

  • 본 보고서는 제공된 리서치 자료 1 및 공개된 정보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으며, 정보의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하지 않는다.
  • 본 보고서는 투자자의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하며, 특정 종목에 대한 투자 권유나 매매를 추천하는 것이 아니다.
  • 모든 투자의 최종 결정과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으며, 본 자료는 어떠한 경우에도 법적 책임 소재의 증빙 자료로 사용될 수 없다.
  • 본 보고서에 포함된 주가 예측, 실적 추정 및 시장 전망은 분석가의 주관적 판단을 포함하며, 실제 결과와 다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