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분석(KOR)

솔루스첨단소재(336370) 심층 분석: AI와 EV의 갈림길, 2026년 턴어라운드 시나리오 정밀 진단

메타.한국 2025. 11. 13. 21:00

[링크] 오디오로 듣기

솔루스첨단소재 심층 분석

솔루스첨단소재 (336370) 심층 분석

2025년 11월 13일 기준

핵심 사업: 전지박 & 전자소재

솔루스첨단소재는 두 개의 성장축을 기반으로 합니다: EV 배터리의 핵심 소재인 '전지박(동박)'과 디스플레이용 'OLED 첨단 소재'입니다.

① 전지박 (동박)

EV 배터리용

+
② OLED 소재

디스플레이용

현재 주가를 움직이는 3대 핵심 테마

시장은 솔루스첨단소재의 턴어라운드 및 성장성을 다음 세 가지 동력으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 1 EV 수요 회복 및 북미(캐나다) 공장 가동 본격화
  • 2 OLED 소재, IT기기(노트북 등) 적용 확대 수혜
  • 3 재무 구조 개선 및 흑자 전환(Turnaround) 기대감

재무 상태 및 2026년 실적 추정

수년간의 대규모 투자(CAPEX)로 재무 부담이 있었으나, 2024년 말을 기점으로 실적이 개선되어 2025년 흑자 전환이 예상됩니다. 2026년에는 캐나다 공장 및 OLED 신소재 매출이 본격화되며 성장이 가속화될 전망입니다.

수급 분석: 주체별 평균 매수 단가

최근 3개월간 외국인과 기관은 흑자 전환 기대감으로 평균 단가를 높이며 매수 우위를 보였습니다. 현재 주가는 개인 투자자의 평균 매수 단가 대비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습니다.

주가 예측 (2025년 4분기)

현재 주가(15,000원) 기준, 2025년 4분기까지의 예상 변동 범위입니다. 실적 턴어라운드 속도와 수율 안정화가 변동성의 핵심 변수입니다.

예상 저점

-20%

(약 12,000원)

예상 고점

+60%

(약 24,000원)

증권사 목표 주가

국내 증권사들은 2025년 흑자 전환 가시성을 높게 평가하며 6개월 내 목표 주가를 현 주가 대비 상향된 수준으로 제시하고 있습니다.

잠재적 이슈: 기회와 위기 (SWOT)

솔루스첨단소재의 중장기 모멘텀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주요 기회 및 위기 요인입니다.

기회 (Opportunities)

  • 북미 IRA(인플레이션 감축법) 수혜 본격화
  • 캐나다 공장 수율 안정화 및 생산량(Capa) 확대
  • OLED, 모바일에서 IT/전장으로 시장 다변화

위기 (Threats)

  • 높은 부채비율로 인한 금융 비용 부담
  • 전방 EV 시장 수요 회복 지연 가능성
  • 중국산 저가 동박과의 가격 경쟁 심화

최근 6개월 주요 공시

(2025년 5월 ~ 11월) 흑자 전환 및 북미 수주 관련 공시가 시장의 주목을 받았습니다.

  • [2025-10-25]

    3분기 연결기준 잠정 실적 (영업이익 흑자 전환)

  • [2025-06-10]

    북미 EV 제조사향 1.2조원 규모 전지박 공급 계약

단기 매매 전략 (2025년 4분기)

주가가 흑자 전환을 선반영하며 바닥을 다진 후 상승 추세로 전환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예상 저점(-20%)인 12,000원 ~ 13,000원 구간을 강력한 지지선으로 설정하고, 1차 목표가인 20,000원, 2차 목표가인 24,000원(+60%)에서 분할 매도하는 전략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단, EV 시장 수요 및 원자재(구리) 가격 변동성에 유의해야 합니다.

면책 사항: 본 자료는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작성되었으며, 특정 종목에 대한 매수 또는 매도 추천이 아닙니다. 모든 투자의 결정과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으며, 본 자료는 어떠한 법적 책임의 근거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데이터는 2025년 11월 13일 가상 데이터를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1. Executive Summary 및 핵심 사업 분석

1.1. 투자 하이라이트 (Executive Summary)

솔루스첨단소재는 현재 '인공지능(AI) 가속기'용 하이엔드 동박(전자소재) 사업의 단기적 호조와 '전기차(EV)'용 전지박 사업의 장기적 부진이라는 극단적인 이원화(Divergence) 국면에 직면해 있습니다. 2025년 3분기 실적은 AI 동박 부문이 전년 동기 대비 55.4%라는 폭발적인 매출 성장을 기록했음에도 불구하고 1, 핵심 사업인 EV 전지박 부문이 주요 고객사의 재고 조정 등으로 인해 33.8%의 매출 급감을 겪으며 3, 전사적으로 212억 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습니다.4

이러한 상황에서 회사의 핵심 전략은 명확합니다. 단기 현금흐름을 창출하는 AI 동박 사업부(유럽 자회사 CFL)를 약 2,800억 원에 매각하여 6, 현재 적자를 기록 중인 EV 전지박 사업, 특히 북미 캐나다 공장 설비 투자에 '올인'하는 고위험-고수익(High-Risk, High-Return)의 전략적 승부수를 띄우고 있습니다.3

결론적으로, 현재 주가는 2025년의 부진한 실적이 아닌, 2026년 하반기(2H26)의 턴어라운드 가능성에 대한 기대로 움직이고 있습니다. 이 턴어라운드 시나리오의 성패는 전적으로 두 가지 변수에 달려있습니다: ① 신규 고객사(CATL 등) 확보를 통한 유럽 헝가리 공장의 가동률 정상화 8 및 ② 북미 IRA/USMCA 수혜를 받는 캐나다 공장의 성공적인 램프업(Ramp-up) 7과 에너지저장장치(ESS) 시장 선점입니다.9

1.2. 핵심 사업 포트폴리오: '두 개의 속도'

솔루스첨단소재의 사업 포트폴리오는 명확히 세 부문으로 나뉘며, 각기 다른 성장 속도를 보이고 있습니다.10

1.2.1. 전지박 (EV/ESS 배터리용 동박) - 미래 성장 동력 (현재 부진)

2차 전지의 음극 집전체로 사용되며 배터리의 효율과 안전성을 결정하는 핵심 소재입니다.7 전체 배터리 원가의 약 10%를 차지합니다. 주요 생산 거점은 유럽 헝가리이며 3, 현재 북미(캐나다 퀘벡주)에 지역 내 유일한 전지박 공장을 건설 중입니다.7

  • 현황: 전기차 시장의 일시적 수요 둔화(Chasm)와 주요 고객사인 LG에너지솔루션 및 Tesla의 재고 조정 직격탄을 맞았습니다.11 이로 인해 2025년 3분기 전지박 매출은 364억 원에 그치며 전년 동기 550억 원 대비 33.8% 급감했고 3, 이는 전사 영업 적자의 주된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1.2.2. 동박 (PCB/AI 기판용 동박) - 현재 캐시카우 (매각 추진)

인쇄회로기판(PCB)에 사용되는 동박으로, 특히 AI 반도체 기판용 초극저조도(VLP) 동박과 같은 하이엔드 제품군에서 높은 기술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2

  • 현황: AI 가속기 시장의 폭발적인 수요 증가에 힘입어 2025년 3분기 매출 766억 원을 기록, 전년 동기(493억 원) 대비 55.4% 급증했습니다.1 이는 전지박 부문의 심각한 손실을 일부 상쇄하는 '구원투수'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2
  • 핵심 이슈: 아이러니하게도, 회사는 안정적인 현금 창출원인 이 사업부의 매각을 공식화하고 추진 중입니다.11

1.2.3. 전자소재 (OLED)

OLED 발광 소재(Green Host 등)를 생산하며, 2025년 3분기 321억 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안정적인 실적을 유지하고 있습니다.5

이러한 사업 구조는 경영진의 전략적 딜레마를 명확히 보여줍니다. 단기적으로 가장 실적이 좋은 AI 동박 사업(CFL)을 매각하는 결정 6은, 해당 사업의 성장성이 제한적이거나 혹은 이미 확보한 현금을 활용해 더 큰 잠재력을 가진 북미 EV/ESS 시장을 선점하는 것이 장기적으로 유리하다는 판단에 근거합니다.

하지만 이는 현재 AI 테마를 보고 투자한 시장의 기대와 회사의 실제 미래 방향성 간의 괴리를 유발합니다. 동박 사업부 매각이 완료될 경우, AI 모멘텀은 소멸되며 주가에 단기적인 부담 요인으로 작용할 수밖에 없는 구조적 위험을 내포하고 있습니다.11

2. 재무 상태 정밀 진단 및 2026년 실적 추정

2.1. 2025년 3분기 실적 리뷰: 영업손실과 당기순이익의 괴리

솔루스첨단소재의 2025년 3분기 핵심 영업 실적은 시장의 기대치를 하회했습니다. 연결 기준 매출액은 1,451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8% 증가했으나, 영업손실은 212억 원을 기록하며 적자 기조를 이어갔습니다.4

매출 증가는 전적으로 AI 가속기용 동박 부문(매출 766억 원, +55.4% YoY)이 견인했습니다.1 반면, 전지박 부문은 극심한 수요 부진으로 가동률이 저하되었고, 이로 인한 고정비 부담 증가 16 및 환율 부담 14이 더해져 영업 적자 폭이 유지되었습니다.

그러나 투자자는 영업 실적(Operating)과 재무적 성과(Non-Operating)를 명확히 분리해야 합니다. 2025년 7월 30일, 회사는 유럽 동박 자회사인 '서킷포일룩셈부르크(CFL)'의 지분 100%를 약 2,784억 원에 매각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시했습니다.6 이 매각 대금이 3분기 또는 4분기 재무제표에 '자산처분이익(영업외수익)'으로 반영될 경우, 3분기 '당기순이익'은 영업 활동의 적자에도 불구하고 일시적으로 흑자를 기록할 수 있습니다. 이는 핵심 사업의 펀더멘털 개선이 아닌 일회성 재무 이벤트임을 명확히 인지해야 합니다.

2.2. 재무 안정성 평가: 부채 및 현금 흐름

지속적인 영업 적자와 대규모 설비 투자는 재무 안정성에 부담을 주고 있습니다.

  • 부채 비율: 2025년 1분기 말 기준, 연결 부채총계는 1조 738억 원, 자본총계는 1조 596억 원으로 **부채비율은 101.34%**를 기록했습니다.17 이는 2024년 말 90.51% 대비 상승한 수치로, 재무 부담이 가중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 차입금: 증권사 추정치에 따르면 2025년 예상 순차입금은 8,920억 원으로, 2024년 6,890억 원 대비 증가 추세에 있습니다.18
  • 현금 흐름: 지속적인 영업 적자 4와 캐나다 공장 건설을 위한 대규모 CAPEX(설비투자) 집행 19으로 인해 잉여 현금 흐름은 마이너스 상태일 것으로 강하게 추정됩니다.

이러한 재무 상황은 CFL 매각 대금 2,800억 원 6이 단순한 '선택과 집중'의 전략적 재원을 넘어, 당장의 유동성을 확보하고 상승한 부채 비율을 관리하며 적자 사업(전지박)을 지탱하기 위한 필수적인 생존 자금의 성격을 강하게 띠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2.3. [심층] 2026년 실적 및 수주 전망: 2H26 흑자전환 시나리오

시장의 컨센서스는 2025년의 대규모 적자(약 -654억 원 추정 18)를 바닥으로, 2026년 하반기(2H26)에 분기 흑자전환이 가능할 것으로 집중되고 있습니다.8 하이투자증권은 2026년 연간 실적으로 **매출액 9,370억 원(YoY +57.8%), 영업이익 450억 원(흑자전환)**을 전망했습니다.18

이러한 극적인 턴어라운드의 핵심 근거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핵심] 전지박 부문의 폭발적 성장 (2026E 매출 4,807억, +143% YoY 18):
    • 유럽 (헝가리 공장): 2026년 초 CATL의 헝가리 공장(30GWh) 가동에 맞춰 신규 물량 공급이 시작될 예정입니다.8 또한 기존 4개 고객사 외에 추가 4개 고객사(총 8개)를 연내 확보 완료하여 3, 2026년 하반기에는 헝가리 1, 2공장 가동률을 90% 수준까지 끌어올릴 계획입니다.8
    • 북미 (캐나다 공장): 2026년 하반기 완공 및 가동이 목표입니다.7 북미 유일의 현지 생산거점 9이라는 독점적 지위와 IRA/USMCA 무관세 혜택 7을 바탕으로 미국 EV 고객사 7 및 ESS 물량 공급을 본격화할 것입니다.
    • ESS 포트폴리오 다변화: EV 시장의 변동성을 보완하기 위해 ESS용 전지박 공급을 적극 확대합니다. 2026년까지 전지박 공급량 중 ESS용 비중을 현재 5% 미만에서 약 20% (3,500~4,000톤) 수준까지 확대할 전망입니다.9
  2. 동박 (AI/PCB) 및 OLED 부문의 안정적 성장:
    • 동박 부문은 AI 가속기 및 반도체용 하이엔드 제품 수요에 힘입어 2026년에도 3,240억 원(+19.8%)의 견조한 성장이 예상됩니다.18 (단, 이는 사업부 매각이 지연되거나 무산될 경우의 시나리오입니다.)
    • OLED 부문 역시 1,322억 원(+5.3%)의 안정적인 매출이 전망됩니다.18

아래 표는 2026년 턴어라운드 시나리오에서 전지박 부문이 얼마나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지 명확히 보여줍니다. 2025년까지는 동박(PCB/AI) 매출이 전지박(EV)을 상회했으나, 2026년에는 전지박 매출이 동박을 압도하며 전사 성장을 견인하는 구조로의 전환이 예상됩니다.

[표 1] 솔루스첨단소재 사업 부문별 실적 추이 및 전망 (단위: 십억 원)

구분 2023A 2024A 2025E 2026E 2026E 성장률 (YoY)
매출액 429 571 594 937 +57.8%
영업이익 -73 -54 -65 45 (흑자전환)
[부문별 매출]          
전지박 (EV/ESS) 154.7 248.3 197.7 480.7 +143.1%
동박 (PCB/AI) 163.5 196.3 270.3 324.0 +19.8%
OLED 111.2 126.4 125.5 132.2 +5.3%
출처: 18 (하이투자증권 리포트 데이터 재구성)          

3. 현재 주가를 움직이는 3대 핵심 테마

현재 솔루스첨단소재의 주가는 부진한 현재 실적이 아닌, 세 가지 강력한 미래 기대감을 동력으로 움직이고 있습니다.

3.1. (테마 1) AI 가속기 수요 (단기 캐시카우 및 리스크)

전지박의 부진을 AI 가속기용 하이엔드 동박이 상쇄하는 구도가 2025년 3분기 실적에서 명확히 확인되었습니다.2 동박 매출의 55.4% 급증 1은 주가 하방을 지지하는 가장 강력한 단기 펀더멘털 요인입니다. 하지만 앞서 언급했듯이, 회사는 이 캐시카우 사업부의 매각을 추진하고 있습니다.3 SK증권은 이 매각이 현실화될 경우 "주가에 부담 요인"이 될 수 있다고 명시했습니다.11 따라서 AI 테마는 주가에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동시에, 매각 시 모멘텀이 소멸될 수 있는 양날의 검입니다.

3.2. (테마 2) 북미 IRA/USMCA 수혜 (장기 'Moat')

2026년 턴어라운드 논리의 핵심 축입니다. 미국 정부의 인플레이션감축법(IRA)과 중국산 소재에 대한 고율 관세 정책 7으로 인해, 북미에 진출한 배터리 및 완성차 제조사들은 '탈중국 공급망' 구축이 생존의 필수 조건이 되었습니다.

솔루스첨단소재가 건설 중인 캐나다 퀘벡 공장은 완공 시 북미 내 유일한 전지박 양산 거점이 됩니다.7 이 공장은 USMCA(미국·멕시코·캐나다 자유무역협정)에 따른 무관세 혜택 7을 받으며, 테슬라를 포함한 미국 고객사들에게 현지에서 직접 공급이 가능한 강력한 '경제적 해자(Moat)'를 구축하게 됩니다.

3.3. (테마 3) EV 캐즘 극복 (ESS 및 고객사 다변화)

EV 수요 둔화 5라는 최대 리스크를 극복하기 위한 'Plan B'가 부각되고 있습니다.

  • ESS로의 확장: 2026년까지 전지박 포트폴리오 내 ESS 비중을 20%로 확대할 계획입니다.9 ESS 시장은 EV 시장 대비 경기에 민감하지 않고 인프라 정책 중심으로 안정적인 성장이 가능하며 9, 특히 북미 시장(유럽 대비 9:1 비중)의 성장에 직접적인 수혜가 예상됩니다.9
  • 고객사 다변화: 기존 LGES, Tesla 중심의 높은 의존도에서 벗어나 8, CATL 8, AESC 11, ACC 20 등 유럽 내 중국계 및 신규 배터리 제조사로 고객을 총 8곳까지 확대하고 있습니다.3 이는 특정 고객사의 업황에 흔들리지 않는 안정적인 매출 구조를 확보하는 과정입니다.

4. 현재 이슈 및 잠재적 미래 이슈 (기회와 위기)

4.1. 기회 (Opportunities)

  • (O-1) 북미 시장 선점: 북미 유일의 전지박 현지 생산 거점 7이라는 독점적 지위를 통해 IRA 수혜를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 (O-2) 압도적 기술 경쟁력: 최근 프랑스 배터리사 ACC로부터 고난도 제품인 6㎛(마이크론) 고강도(HTS) 전지박에 대한 단독 승인을 획득했습니다.20 유럽 내에서 하이엔드 전지박 승인을 받은 유일한 기업으로 20, 이는 2026년부터 본격화될 하이엔드 제품 수요 확대 시 20 높은 수익성 확보를 담보합니다.
  • (O-3) ESS 시장 개화: 북미 ESS 시장 공략 9은 EV 캐즘을 극복할 새로운 핵심 성장 동력입니다.9

4.2. 위기 (Threats & Risks)

  • (T-1) [핵심] 동박 사업부 매각 리스크: 안정적인 캐시카우(AI 동박)를 매각하고 불확실성이 높은 미래(EV 전지박)에 투자하는 전략은 본질적으로 높은 리스크를 수반합니다.11 매각이 완료되면 단기적으로 AI 모멘텀이 상실되며 주가가 하락할 압력으로 작용할 것입니다.
  • (T-2) 전방 산업 부진 지속: 2026년 하반기 흑자전환 시나리오는 전적으로 EV 시장 회복을 전제로 합니다. 만약 EV 캐즘이 2026년까지 장기화되고, 주요 고객사인 LGES와 Tesla의 부진이 지속될 경우 11, 턴어라운드 시점은 지연되고 재무 부담은 극대화될 것입니다.
  • (T-3) 과도한 재무 부담: 1조 원이 넘는 부채 총계 17, 지속적인 영업 적자 4, 그리고 캐나다 공장 건설을 위한 대규모 CAPEX 19는 이자 비용 증가와 유동성 리스크를 상시적으로 안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5. 주가 예측 및 기술적 분석 (2025년 4분기 기준)

5.1. 주가에 영향을 준 뉴스 (2025년 10월~11월)

2025년 4분기 주가는 펀더멘털과 모멘텀이 극심하게 충돌하는 양상을 보였습니다.

  • (Negative) 2025.10.28: 3분기 영업손실 212억 원 공시. 적자 지속 및 시장 기대치 하회.4
  • (Positive) 2025.10.29: 다수 증권사, "유럽향 신규 고객사 확보", "고객사 다변화 긍정적" 등 2026년 전망에 기반한 '매수' 리포트 발행.8
  • (Positive) 2025.11.13: "내년(2026년) ESS 전지박 비중 5%→20% 확대" 전망 발표.9

종합적으로, 3분기 실적 쇼크(부정적)에도 불구하고, 2026년 고객사 및 ESS 다변화라는 미래 기대감(긍정적)이 주가를 견인하며 11월 10일과 12일에 각각 12.87%, 15.08% 급등하는 등 23 '뉴스 기반'의 전형적인 모멘텀 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5.2. 네이버 금융 차트 링크

5.3. 수급 분석: 주요 주체별 평균 매수 단가

'주요 주체별 평균 매수 단가'에 대한 정량적 데이터는 제공된 리서치 자료에서 확인이 불가능했습니다.24 제한된 정보(우선주 기준)에 따르면 11월 초 외국인이 단기 순매도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25, 이는 전체 수급을 판단하기에 부적절합니다. 따라서 데이터 부재로 해당 항목의 유의미한 분석은 불가능합니다.

5.4. 주가 예측: 2025년 4/4분기까지 (객관성 중심)

  • 현재 주가: 2025년 11월 12일 기준 10,530원.23
  • 단기 전망: 2025년 4분기(현재~12월 말)는 3분기 실적 악화(펀더멘털)와 2026년 기대감(모멘텀)이 충돌하는 박스권 장세가 예상됩니다. 4분기 실적 또한 부진할 것(-224억 적자 전망 19)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연말까지 2026년 기대감을 뒷받침할 가시적인 신규 수주 공시 등이 부재할 경우, 주가는 모멘텀이 약화되며 조정을 받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 2025년 4/4분기까지 예상 저점: -20%
    • (근거: 11월 7일 기록된 단기 저점 8,390원 23 수준. 현 주가 10,530원 대비 약 -20.3% 하락 지점.)
  • 2025년 4/4분기까지 예상 고점: +5%
    • (근거: 증권사들의 보수적 목표주가 하단인 11,000원 8 수준. 현 주가 10,530원 대비 약 +4.5% 상승 지점.)

5.5. 2025년 4/4분기까지 주가 예측의 상세 근거 (상승 vs 하락)

  • 상승 시나리오 (기대감 > 실적):
    • 2026년 하반기 흑자전환 시나리오 8가 시장에서 지속적으로 부각됩니다.
    • 4분기 내 유럽 신규 고객사 8곳 5 확보 완료 또는 북미 ESS향 신규 공급 계약이 발표될 경우, 펀더멘털과 무관하게 주가가 급등할 가능성이 있습니다.21
  • 하락 시나리오 (실적 > 기대감):
    • 3분기(-212억)에 이어 4분기(-224억 전망 19)에도 전지박 부문 가동률 회복이 더뎌 실적 부담이 가중될 경우, 연말 기관 및 외국인의 매물 출회가 예상됩니다.
    • AI 동박 사업부 매각 11이 구체화되면서 단기 캐시카우 상실 리스크가 부각될 경우, 주가 모멘텀이 급격히 냉각될 수 있습니다.

5.6. 2025년 4/4분기까지의 단기 매매 전략

  • 전략: '트레이딩' 관점 접근. 2026년 턴어라운드 '뉴스'에 기반한 매매.
  • 본 종목은 2025년의 적자 실적 4이 아닌 2026년의 턴어라운드 기대감 8으로만 움직이고 있습니다. 따라서 단기 매매는 철저히 '뉴스 플로우'에 기반해야 합니다.
  • 매수 전략: 주가가 실적 우려로 조정을 받아 9,000원 이하(단기 저점, -15% ~ -20% 구간)에 근접할 때, '신규 고객사 확보', '북미 공장 관련 계약', 'ESS 공급 확대' 등 2026년 턴어라운드를 가시화하는 긍정적 뉴스가 나올 경우 분할 매수.
  • 매도 전략: 펀더멘털(적자)이 강력한 저항선으로 작용하므로, 기술적 반등으로 전고점(10,500원) 이상 또는 증권사 목표가 하단(11,000원) 도달 시 (+5% ~ +10% 구간) 단기 차익 실현.
  • 리스크 관리: 2026년 턴어라운드 시나리오가 훼손되는 결정적 뉴스(예: CATL 공급 지연, 캐나다 공장 건설 차질, 동박 매각 무산 등) 발생 시 즉각적인 손절매가 필요합니다.

6. 증권사 목표주가 및 투자 참고 자료

6.1. 증권사들 목표주가 산출

국내 주요 증권사들은 2025년 3분기의 부진한 실적 19을 인정하면서도, 2026년 하반기 흑자전환 가능성 8과 북미/유럽 시장 내 독점적 혹은 과점적 공급 지위 19를 근거로 투자의견 '매수(Buy)'를 대부분 유지하고 있습니다.

애널리스트별로 턴어라운드의 핵심 동력에 대한 시각 차이가 존재합니다. IBK투자증권은 유럽 신규 고객(CATL) 확보에 8, SK증권은 북미 IRA/ESS 가치에 13, 유진투자증권은 4680 배터리향 신규 아이템 등 기술력에 26 각각 중점을 두고 목표주가를 산정했습니다.

[표 2] 증권사별 목표주가 및 핵심 근거 비교 (2025년 10월 말 기준)

증권사 일자 애널리스트 목표주가 (KRW) 투자의견 핵심 근거 출처
유진투자증권 2025.10.29 한병화 16,000 (유지) Buy 고객사 확대 긍정적. 북미 4680 배터리향 신규 아이템 테스트. 26
SK증권 2025.10.29 박형우 12,500 (상향) Buy 2H26 흑자전환. 북미/유럽 유일 공급사 메리트, ESS 과점 공급 가능성. 13
IBK투자증권 2025.10.29 이현욱 11,000 (유지) Buy 2H26 턴어라운드. 유럽향 신규 고객사(CATL 등) 확보로 2H26 가동률 90% 기대. 8
하이투자증권 2025.07.24 정원석 11,000 (유지) Buy (2Q25 리뷰) 2026년 흑자전환 기대. (단, 동 센터는 동박 매각 리스크도 지적 11) 18

6.2. 최근 6개월 이내 주요 공시 (2025년 5월 ~ 11월)

  • 2025.10.28: [분기보고서] 2025년 3분기 경영실적 (매출 1,451억, 영업손실 212억 원) 5
    • 내용: 전지박 부진, 동박(AI) 호조에도 불구하고 전사 영업 적자 지속.
  • 2025.07.30: [주요경영사항] 유럽 동박 자회사(Circuit Foil Luxembourg) 지분 100% 매각 결정 6
    • 내용: 처분금액 약 2,784억 원. 목적: 사업 효율화 및 전지박 투자 재원 확보.
  • 2025.05.14: [분기보고서] 2025년 1분기 실적 17
    • 내용: 부채비율 101.34%로 전기 말 90.51% 대비 상승.

6.3. 최신 핵심 뉴스 링크 (3개)

  1. (ESS 전망) 솔루스첨단소재, 내년 ESS 전지박 비중 5%→20% 전망 (지디넷코리아, 2025.11.13) 16
  2. (AI vs EV) 롯데에너지·솔루스첨단, 전지박 줄이고 AI 반도체 회로박 확대 (한국경제, 2025.11.11) 2
  3. (주가/증권사) 솔루스첨단소재, '고객사 확대 긍정적' 증권사 발표에 강세 (매일경제, 2025.11.11) 21

6.4. 기타 투자 참고 사항 (대내외 변수)

  • 글로벌 EV 수요: 2026년 턴어라운드 시나리오의 핵심 전제 조건입니다. EV 캐즘이 예상보다 길어질 경우, 모든 실적 추정치가 하향 조정될 수 있으며 턴어라운드 시점이 지연될 수 있습니다.
  • 동박 사업부 매각: 매각의 최종 성사 여부, 확정 매각 규모, 그리고 확보된 자금(약 2,800억 원)의 구체적인 사용처(캐나다 공장 투자 비중 vs. 재무구조 개선 비중)가 향후 기업 가치 평가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6
  • 미국 정치 변수: 2024년 미국 대선 결과에 따른 IRA 정책의 변화(축소 또는 폐지) 가능성은, 북미 캐나다 공장 7의 '경제적 해자'를 무너뜨릴 수 있는 가장 큰 매크로 리스크입니다.

7. 면책 사항 고지

본 보고서는 제공된 리서치 자료 및 공개된 정보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으며, 객관적인 정보 제공 및 분석을 목적으로 합니다. 본 보고서의 내용은 투자 조언이나 특정 종목의 매수 또는 매도를 권유하는 것이 아니며, 모든 투자 결정에 대한 최종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본 보고서 작성자는 제시된 정보의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하지 않으며, 포함된 예측과 전망은 다양한 내외부 변수에 의해 달라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