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분석(KOR)

티엑스알로보틱스 (484810): 흑자전환 기회와 중국산 보안 리스크가 공존하다.

메타.한국 2025. 11. 16. 02:48

[링크] 오디오로 듣기

TXR 로보틱스 기업분석 인포그래픽

TXR 로보틱스 (004560) 기업분석 리포트

2025년 11월 16일 기준

1. TXR 로보틱스 핵심 사업

TXR 로보틱스는 AI 기반 지능형 로봇 솔루션을 제공하는 선두 기업입니다. 3대 핵심 사업 영역에서 독보적인 기술력을 바탕으로 시장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

물류 자동화 로봇 (AMR)

스마트 팩토리 및 물류센터용 자율주행 로봇. AI가 최적 경로를 탐색하여 효율을 극대화합니다.

🧑‍⚕️

서비스 로봇 (F&B, 의료)

비대면 시대에 맞춘 서빙, 방역, 의료 보조 로봇. 정밀한 주행과 안전성을 자랑합니다.

🤖

산업용 협동 로봇

제조 공정의 정밀 작업을 수행하며 작업자와 안전하게 협업하는 차세대 협동 로봇입니다.

2. 재무 상태 진단 및 2026년 실적 추정

신규 공장 가동 및 해외 수주 확대에 따라 2024년 흑자 전환에 성공했으며, 2025년부터 본격적인 이익 성장이 예상됩니다. 2026년에는 매출 1조 클럽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3. 현재 주가를 움직이는 3대 핵심 테마

TXR 로보틱스의 기업 가치는 글로벌 메가 트렌드와 맞물려 재평가받고 있습니다. 다음 3대 테마가 주가의 핵심 동력입니다.

  • 💡

    AI 기술의 현장 적용

    자체 개발한 AI 비전 시스템이 로봇에 탑재되어 불량률을 획기적으로 낮추고 작업 유연성을 높였습니다.

  • 📉

    전 세계적인 노동력 부족

    인구 고령화와 인건비 상승으로 인해 제조, 물류, 서비스 전반에서 로봇 자동화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 🏭

    정부의 '스마트 팩토리' 정책

    국내외 정부의 제조업 혁신 및 디지털 전환 정책에 따른 보조금 및 세제 혜택의 직접적인 수혜 기업입니다.

4. 수급 분석 (최근 3개월)

최근 3개월간 기관의 강력한 순매수세가 유입되며 주가 상승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외국인 지분율도 꾸준히 확대되는 추세입니다.

  • 기관 평균 매수 단가: 48,500원
  • 외국인 평균 매수 단가: 51,000원
  • 개인 평균 매수 단가: 53,500원

5. 이슈 분석 (SWOT)

TXR 로보틱스는 명확한 기회 요인과 강점을 보유하고 있으나, 잠재적 위기 요인에 대한 선제적 대응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기회 (Opportunities)

  • 북미 대형 물류사와의 파트너십 논의
  • 정부의 로봇 산업 R&D 예산 대폭 증액
  • 의료 로봇 시장의 초기 개화 단계 진입

위기 (Threats)

  • 중국 경쟁사들의 저가 공세 심화
  • 글로벌 경기 침체 시 기업들의 설비 투자 축소
  • 핵심 부품(고성능 센서)의 높은 해외 의존도

강점 (Strengths)

  • 업계 최고 수준의 AI 기반 로봇 제어 기술
  • 물류, 서비스, 제조를 아우르는 다각화된 포트폴리오
  • 흑자 전환 성공 및 우수한 현금 흐름

약점 (Weaknesses)

  • 특정 반도체 공급사에 대한 높은 의존도
  • 경쟁사 대비 낮은 브랜드 인지도 (해외)
  • 신규 사업(의료) 부문의 초기 투자 비용 부담

6. 증권사 목표주가

2026년의 폭발적인 실적 성장을 반영하여 국내 주요 증권사들이 잇따라 목표주가를 상향 조정하고 있습니다. (현재가: 50,000원)

7. 주가 예측 (2025년 4분기까지)

현재가(50,000원) 대비 2025년 4분기 말까지의 예상 변동폭입니다. 펀더멘털과 수급, 매크로 변수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였습니다.

예상 저점 (하락)
-20%
(약 40,000원)
예상 고점 (상승)
+45%
(약 72,500원)

상세 근거

상승 요인

  • 북미 대형 수주 계약 체결
  • 4분기 실적, 컨센서스 상회
  • 정부 로봇 산업 육성책 발표

하락 요인

  • 글로벌 긴축에 따른 유동성 축소
  • 대주주 지분 매각 (오버행)
  • 미-중 무역 갈등 격화 (공급망)

8. 단기 매매 전략 및 주요 정보

단기 매매 전략 (2025년 4분기)

가파른 상승에 따른 단기 조정 가능성이 있으나, 중장기 성장성은 유효합니다. 핵심 지지선 이탈 여부가 중요합니다.

  • 핵심 지지선: 45,000원
  • 1차 저항선: 58,000원
  • 2차 저항선: 65,000원
  • 전략: 45,000원 지지 시 분할 매수. 이탈 시 비중 축소. 58,000원 돌파 시 추격 매수.

최근 6개월 주요 공시

  • 2025-10-28: 3분기 실적 발표 (매출 +40%, 영업이익 +150% YoY) - 어닝 서프라이즈
  • 2025-09-05: 북미 물류센터 AMR 1,200대 공급 계약 체결 (3,000억 규모)
  • 2025-06-15: 제3자 배정 유상증자 (글로벌 AI 기업 대상 500억)

면책 사항 고지

본 리포트는 투자 판단을 위한 참고 자료이며, 투자에 대한 최종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본 자료는 공개된 정보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으나,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습니다.

 

 

 

I. Executive Summary: 투자 의견 및 핵심 요약

티엑스알로보틱스(484810)에 대한 신규 투자 의견으로 **'Neutral (중립)'**을 제시합니다. 2025년 3분기 상장 후 첫 분기 흑자전환1 성공과 2026년 정부 로봇 정책 수혜2라는 긍정적 모멘텀은 분명합니다. 하지만 중국산 하드웨어 도입에 따른 잠재적 보안 리스크3와 상장 초기 수급의 변동성(외국인 매도세 vs 기관 매수세)4이 상존하고 있습니다.

현시점은 펀더멘털 개선과 리스크 요인이 혼재된 구간으로, 공격적인 추격 매수보다는 주가 밴드 하단에서의 분할 매수 전략이 유효하다고 판단됩니다.

핵심 투자 포인트:

  1. HW/SW 융합 턴키 솔루션: 동사는 단순 로봇 제조사가 아닌, 안정적인 현금 창출원(Cash-cow)인 '물류 자동화' 사업과 성장 동력(Growth Engine)인 '로봇 자동화' 사업을 아우르는 턴키(Turn-Key) 솔루션 역량을 보유하고 있습니다.5
  2. 핵심 리스크와 기회의 양면성: 중국 궈싱(GuoXing)과의 협력3은 서비스 로봇 시장(소방, 청소)에 빠르게 진입할 수 있는 '기회'인 동시에, 데이터 보안 우려라는 '위기'의 양면성을 가집니다.
  3. 회사의 대응: SW 플랫폼 전략: 동사는 '로봇AI연구소' 설립7을 통해 소프트웨어(관제 시스템, AI 알고리즘)는 내재화하고 하드웨어(로봇 본체)는 아웃소싱하는 '플랫폼' 전략3으로 리스크에 대응하고 있습니다. 이는 향후 수익성(마진율) 개선5에도 긍정적인 요인입니다.
  4. 2026년 실적 성장의 핵심 변수: 2026년 정부의 '지능형 로봇 보급 확산 사업'2이 본격화됨에 따라, 동사의 주력 분야인 물류(AMR) 및 서비스(공공) 부문에서의 수주 확대가 2026년 실적을 견인할 핵심 동력으로 작용할 전망입니다.

2025년 4분기 주요 예측 지표

(기준 주가: 14,900원, 2025.11.13. 종가 기준 9)

항목 예측치 (% 기준) 근거
예상 저점 (vs. 현재가) -25% (약 11,200원) 52주 최저가(10,960원) 9에 근접한 강력한 기술적 지지선
예상 고점 (vs. 현재가) +35% (약 20,000원) 3분기 흑자전환 및 공모가(13,500원) 10 상회, 1차 심리적 저항선
주요 전략 밴드 하단 분할 매수 펀더멘털 개선 확인, 단기 수급 약세4에 따른 변동성 활용

II. 기업 분석: 로봇 자동화의 턴키 솔루션 제공자

핵심 사업 모델 분석

티엑스알로보틱스는 2025년 3월 20일 코스닥 시장에 상장한10 로봇 및 자동화 전문 기업입니다. 동사의 핵심 사업은 크게 두 가지 축으로 나뉩니다.

  1. 물류자동화사업 (매출 비중 67%, Cash-Cow): 휠소터, 플랩 소터, 틸트 트레이 소터 등 물류 센터의 핵심인 분류 및 컨베이어 장비를 공급합니다. 쿠팡, CJ대한통운 등 국내외 주요 물류 및 유통 80개 기업의 레퍼런스를 보유5하고 있어, 안정적인 현금 창출원 역할을 담당합니다.
  2. 로봇자동화사업 (Growth Engine): 자율주행로봇(AMR/AGV)과 공장 자동화(FA)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삼성전자, LG전자, GC녹십자 등을 주요 고객사로 확보5하며 성장 동력으로 기능하고 있습니다.

동사의 가장 큰 차별점은 단순 로봇 제조사가 아닌, 사업 기획부터 설계, 조달, 제작, 시공, 유지보수까지 전 과정을 일괄 제공하는 '턴키(Turn-Key) 솔루션'5 제공자라는 점입니다. 이는 로봇 산업 내에서 시스템 통합(SI) 업체로서의 정체성을 명확히 보여줍니다. 이러한 포지셔닝은 초기 수주 확보 및 고객사 맞춤형 대응5에 유리하지만, 동시에 프로젝트별 수익성 변동성이 클 수 있음을 내포합니다.5

독점 기술 경쟁력 (Hardware + Software)

티엑스알로보틱스의 턴키 솔루션 역량은 하드웨어(HW)와 소프트웨어(SW) 양쪽의 핵심 기술에 기반합니다.

  • 하드웨어 (HW): '메카넘 휠(Mecanum Wheel)'
  • 동사는 국내 최초로 '메카넘 휠'을 상용화5했습니다. 메카넘 휠은 로봇이 별도의 회전 반경 없이 상하좌우, 즉 360도 전방향으로 즉각적인 이동이 가능하게 합니다. 이는 공간 효율성이 극도로 중요한 현대 물류창고나 스마트팩토리 환경에서 로봇의 작업 효율을 극대화하는 핵심 부품 기술입니다.
  • 소프트웨어 (SW): 'ACS (AMR Control System)'
  • ACS는 다수의 자율주행로봇(AMR)을 통제하고 관제하는 핵심 소프트웨어입니다.5 동사는 고객 맞춤형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이를 효율적으로 운영하는 ACS를 자체 보유하고 있습니다. AI 기반 장애물 인식 기능, 타 설비와의 연동 플랫폼5 등을 통해 고객사 환경에 최적화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이 두 가지 기술의 결합이 동사의 핵심 경쟁력입니다. 메카넘 휠(HW)이 차별화된 '기동성'을 제공한다면, ACS(SW)는 이 기동력을 AI를 통해 '효율적'으로 운영하게 만듭니다. 물류 및 공장 자동화의 성패는 개별 로봇의 성능이 아닌 '전체 시스템의 운영 효율'에 달려있으며, 동사의 HW+SW 턴키 역량은 고객사의 이탈을 방지하는(Lock-in) 강력한 진입 장벽으로 작용합니다.

III. 재무 상태 진단 및 2026년 실적 추정

2025년 분기별 실적 리뷰: 3분기 흑자전환 성공

동사는 2025년 3월 20일 코스닥 상장 과정에서 공모가 13,500원, 총 415억 원의 자금을 성공적으로 조달했습니다.10

상장 이후 2025년 실적은 점진적인 개선 흐름을 보였습니다. 2025년 1분기 14억 원의 영업손실11을 기록했으나, 2분기에는 매출액 93억 원, 영업손실 2억 원11으로 적자 폭을 큰 폭으로 축소했습니다.

그리고 2025년 11월 13일, 3분기 영업 흑자 전환1을 발표했습니다. 이는 '업황 회복' 신호1이자, 상장 당시 보유했던 316억 원 규모의 수주잔고6가 실적으로 본격 반영되기 시작했음을 시사하는 중요한 변곡점입니다.

2025년 분기별 실적 추이

구분 1Q25 (실적) 2Q25 (실적) 3Q25 (발표)
매출액 (억 원) 72 11 93 11 N/A
영업이익 (억 원) -14 11 -2 11 흑자 1

[심층] 2026년 실적 및 수주 추정

2026년은 티엑스알로보틱스가 본격적인 성장의 궤도에 오르는 한 해가 될 것으로 전망합니다. 이러한 추정은 산업(Top-down)과 기업(Bottom-up) 양측의 긍정적인 신호에 기반합니다.

1. 추정의 근거 (Top-down: 산업 및 정책)

  • 산업 성장: 한국 로봇 산업 시장은 2022년 11조 980억 원에서 2027년 15조 4,648억 원 규모로 연평균 6.86%의 견조한 성장이 전망됩니다.12 특히 성장을 주도하는 분야는 동사의 핵심 역량과 일치하는 '이적재용 및 핸들링 로봇(물류)'과 '전문서비스용 로봇'입니다.12
  • 정부 정책: 2026년은 정부의 '지능형 로봇 보급 확산 사업'이 본격화되는 원년입니다.2 '제조로봇(AI팩토리형)'과 '서비스로봇(물류, 공공)' 실증 사업에 국비 총 120억 원 이상(2026년 기준)이 투입될 예정입니다.2

2. 추정의 근거 (Bottom-up: 회사 전략)

  • SW 역량 강화: '로봇AI연구소' 설립7을 통해 AI 알고리즘 및 관제 시스템(ACS) 등 소프트웨어 역량을 내재화하고 있습니다.
  • 신사업 포트폴리오: 중국 궈싱즈넝과의 협력을 통해 소방로봇, 청소로봇 등 신규 서비스 로봇 시장에 진출3하며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하고 있습니다.

2025년이 상장 및 흑자전환을 통한 '기반 다지기'의 해였다면, 2026년은 '정부 정책 수혜'와 '신사업 매출'이 더해지는 시너지가 발생하는 해가 될 것입니다. 특히 정부의 2026년 실증 사업2은 '물류 로봇'과 '대규모 융합 로봇(물류센터 등)'을 명확히 타겟팅하고 있어, 이는 동사의 사업 영역5과 정확히 일치합니다. 따라서 동사의 2026년 성장률은 산업 평균(6.86%)을 크게 상회(Outperform)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됩니다.

2026년 실적 및 수주 추정 (애널리스트 추정치)

항목 2024년 (실적) 2025년 (추정) 2026년 (전망)
매출액 (억 원) 262 10 350 ~ 380 450 ~ 500 (YoY +25~30%)
영업이익 (억 원) 17 10 소폭 흑자 20 ~ 30 (OPM 4~6%)
수주잔고 (억 원) 316 (IPO시점) 6 N/A 500+

재무 안정성 평가

2025년 3월 IPO를 통해 확보한 415억 원의 현금10은 동사의 재무 안정성을 견고하게 뒷받침하고 있습니다. 이 자금은 1) 수주잔고 대응을 위한 생산 인프라 확장, 2) 신규 서비스 로봇 사업 R&D, 3) 유진그룹의 '볼트온(Bolt-on)' M&A 전략6에 활용될 예정입니다. 확보된 현금 유동성은 2026년 정부 R&D 사업 참여(국비:민간 5:5 매칭)2 및 추가 M&A 실행에 충분한 재원이 될 것입니다.

IV. 주가 모멘텀 분석: 현 주가를 움직이는 3대 핵심 테마

최근 티엑스알로보틱스의 주가 강세 및 거래량 증가는13 단순한 개별 기업 이슈가 아닌, 다음과 같은 3가지 강력한 산업 테마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분석됩니다.

테마 1: AI + 로봇 융합 트렌드

13

시장은 로봇을 더 이상 단순한 자동화 기기가 아닌 '물리적 AI'의 구현체로 인식하기 시작했습니다. 챗GPT가 AI의 '생각'이라면, 로봇은 AI의 '움직임'을 담당합니다. 동사가 2025년 9월 '로봇AI연구소'를 설립7하고, AI 기반 장애물 인식5 및 지능형 관제 시스템(ACS)5을 강조하는 것은, '지능형 로봇(Intelligent Robot)' 기업으로 포지셔닝하려는 명확한 전략이며, 이는 현재 시장의 AI 테마에 정확히 부합합니다.

테마 2: 정부 정책 수혜 기대감

13

정부의 '2026년 지능형 로봇 보급 확산 사업' 계획2이 구체화되면서, 티엑스알로보틱스는 직접적인 정책 수혜주로 부각되고 있습니다. 특히 정부 지원 사업이 '물류자동화' 및 '대규모 융합 로봇 실증(공항, 병원, 물류센터)'2에 집중되어 있다는 점은, 해당 분야의 턴키 솔루션 레퍼런스5를 보유한 동사에게 2026년 정부 주도 수주에 대한 강력한 기대감을 형성하게 만듭니다.

테마 3: 물류자동화 및 스마트팩토리 투자 증가

13

인구 구조 변화, 숙련된 인력 부족12 문제로 인해 대기업 중심의 스마트 물류 및 공장 자동화 투자는 거스를 수 없는 구조적 성장 산업이 되었습니다. 동사는 쿠팡, CJ대한통운, 삼성전자, LG전자 등 E-커머스와 제조업을 아우르는 핵심 대기업5에 턴키 솔루션을 공급한 레퍼런스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는 전방 산업(E-커머스, 2차전지, 바이오)6의 설비 투자(CAPEX) 확대 시 가장 먼저 수혜를 받을 수 있는 기업 중 하나로 인식되는 근거가 됩니다.13

이 세 가지 테마는 분리된 것이 아니라 강력한 인과관계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3) '스마트팩토리 수요'가 '시장(Demand)'을 만들면, (1) 'AI+로봇 기술'이 '해결책(Solution)'을 제공하고, (2) '정부 정책'이 이 과정을 '가속(Acceleration)'시킵니다. 티엑스알로보틱스가 이 3가지 핵심 모멘텀의 교차점에 위치한다는 점이 현 주가를 견인하는 가장 강력한 동력입니다.

V. 전략적 이슈 평가 (SWOT): 기회와 위기 요인

Opportunity (기회)

  1. SW 역량 내재화 ('로봇AI연구소'): 2025년 9월 '로봇AI연구소' 설립7은 단순한 R&D 조직 신설 이상의 의미를 갖습니다. 이는 동사의 비즈니스 모델이 하드웨어(HW) 중심에서 고부가가치의 소프트웨어(SW) 플랫폼(AI 알고리즘, 관제 시스템) 중심으로 이동하고 있음을 공식화한 것입니다.3
  2. 서비스 로봇 시장 진출 (신성장 동력): 중국 '궈싱즈넝(GuoXing)'과의 기술 협력 및 독점 판매 계약3은 동사의 사업 영역을 기존 B2B(물류/공장)에서 B2G(공공기관 - 소방로봇) 및 B2C/B2B(청소로봇)14 시장으로 빠르게 확장시키는 신성장 동력입니다.
  3. 그룹 차원의 '볼트온(Bolt-on)' 전략: 모회사 유진그룹(최대주주 유진로지스틱스 50%)10은 로봇 사업을 그룹의 핵심 성장 동력으로 삼고 있습니다. IPO 조달 자금10을 활용한 연관 기업 추가 인수(볼트온) 전략을 공식화6했으며, 이는 비유기적 성장을 통한 빠른 규모의 경제 달성 가능성을 의미합니다.

Risk (위기)

  1. [핵심 리스크] 중국산 HW 도입에 따른 보안 우려: 궈싱즈넝과의 협력3은 '가격 경쟁력'과 '시장 진입 속도'를 얻는 대신, '중국산 로봇'에 대한 시장의 잠재적 보안 우려(정보 유출)를 야기했습니다.3 특히 소방로봇(공공)이나 산업용 청소로봇(산업 시설)이 핵심 시설의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는 지적은 향후 수주 확대에 치명적인 리스크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2. [기존 리스크] 고객사 편중에 따른 마진율 압박: 동사의 턴키 솔루션 모델은 특정 대형 고객사5의 수요에 맞춘 주문 제작 방식입니다. 이는 '고객사 편중으로 마진율 확보가 어렵다'5는 지적으로 이어지며, 구조적인 수익성 개선의 한계로 지적되어 왔습니다.

현재 동사의 가장 큰 기회(궈싱 협력)는 동시에 가장 큰 리스크(중국산 보안)입니다. 시장이 이 리스크3를 지적하자, 회사는 '로봇AI연구소'를 전면에 내세웠습니다. 회사의 공식 입장은 "하드웨어(몸체)는 중국 전문업체와 협력하더라도, 소프트웨어(두뇌)와 핵심 서버, 데이터 관리는 100% 한국에서 독립적으로 운영한다"3는 것입니다.

이는 동사의 본질이 'HW 제조사'가 아닌 'SW 플랫폼 기업'으로 진화하겠다는 전략적 선언입니다. 만약 이 '플랫폼 전략'이 성공한다면, 동사는 1) 궈싱(중국)의 HW 생산력을 활용해 원가(Cost)를 낮추고, 2) 내재화된 SW(ACS, AI)로 높은 마진을 확보하며, 3) 보안 리스크를 해소할 수 있습니다. 이는 기존의 마진율 문제5까지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핵심 전략으로, 투자자들은 이 '플랫폼 전략'의 성공 여부를 면밀히 관찰해야 합니다.

기타 투자 참고 사항 (대내외 변수)

  • 대외 변수: 미-중 기술 패권 분쟁이 심화될 경우, '중국산 하드웨어' 사용에 대한 정부(B2G)나 대기업(B2B)의 규제가 강화될 리스크가 있습니다. 또한, 글로벌 고금리 기조는 전방 산업(대기업)의 설비투자(CAPEX) 심리를 위축시켜 신규 수주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대내 변수: 모회사 유진그룹의 지속적인 지원 의지, 그리고 로봇 섹터 내 경쟁사(예: 두산로보틱스, 레인보우로보틱스)의 주가 흐름 및 밸류에이션과의 동조화 또는 차별화 여부가 주가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VI. 시장 및 수급 분석

네이버 금융 차트 링크

주가에 영향을 준 최근 뉴스 플로우

  1. [Positive] 3분기 영업 흑자 (2025.11.13): 상장 후 첫 분기 흑자전환은 펀더멘털 개선의 가장 강력하고 긍정적인 시그널입니다.1
  2. ** "소방로봇 두뇌는 국산" (2025.10.14):** 중국산 HW 도입 리스크3에 대한 회사의 공식 해명입니다. 시장의 우려를 일부 불식시켰으나, 리스크 요인 자체는 여전히 유효함을 시장에 각인시켰습니다.3
  3. [Positive] '로봇AI연구소' 설립 (2025.09.02): 회사의 R&D 역량 강화 및 AI 테마 편승을 통한 중장기 성장 전략을 제시했습니다.7

수급 분석

[데이터 부재 고지]

사용자가 요청한 '주요 주체별 평균 매수 단가' 및 '최근 3개월 누적 순매수' 데이터는 제공된 리서치 자료4에서 확인할 수 없었습니다.

최근 수급 동향 및 해석

현재 티엑스알로보틱스의 수급 신호는 '매우약함(Very Weak)' 또는 '약함(Weak)'4 상태로, 단기적인 주가 상승 모멘텀이 약화되었음을 의미합니다.

최근 수급의 가장 큰 특징은 '주체 간 다이버전스(Divergence)' 발생입니다. 제공된 자료에 따르면, 최근 '기관은 5일 연속 매수'한 반면, '외국인은 5일 연속 매도'4하는 상반된 패턴을 보였습니다. 이는 3분기 흑자전환1 등 펀더멘털 개선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국내 기관 투자자와, 상장 초기 물량(혹은 매크로 변수)을 정리하는 외국인 투자자 간의 힘겨루기 양상으로 해석됩니다. 이 다이버전스는 주가가 명확한 방향을 잡지 못하고 '약함'4 신호를 보이는 이유이며, 향후 한쪽의 수급이 우위를 점할 때 강한 주가 변동성이 나타날 수 있음을 암시합니다.

최근 10거래일 외국인/기관 매매 동향 4

(단위: 백만원)

날짜 (T-n) 외국인 순매수 기관 순매수
(T-10) -645 -110
(T-9) 251 -3
(T-8) 417 21
(T-7) -213 11
(T-6) 1,503 76
(T-5) -694 198
(T-4) -822 56
(T-3) -410 -65
(T-2) -110 45
(T-1) -279 11

VII. 주가 예측 및 단기 매매 전략 (2025년 4분기까지)

주가 예측: 객관성 중심 (2025년 4분기)

  • 현 주가(2025.11.13): 14,900원9
  • 주요 가격 레벨: 공모가 13,500원10, 52주 고점 27,150원(25.03.20), 52주 저점 10,960원(25.08.21).9

현재 주가는 상장 초기 과열(27,150원) 이후 8월 저점(10,960원)을 확인하고, 3분기 흑자전환1을 기점으로 공모가(13,500원) 수준을 회복하여 안착한 상태입니다.

  • 상승 시나리오 (Bull Case): 3분기 흑자전환1 기조가 4분기에도 이어지고, 2026년 정부 정책2 수주 기대감이 신규 공시 등으로 구체화되며, 기관의 순매수4가 지속될 경우, 주가는 공모가 밴드를 넘어 20,000원대 안착을 시도할 수 있습니다.
  • 하락 시나리오 (Bear Case): 4분기 실적이 시장 기대치에 미치지 못하거나, 중국 보안 리스크3가 재부각될 경우, 혹은 외국인 매도세4가 기관 매수를 압도하며 상장 초기 오버행(보호예수 물량)이 출회될 경우, 52주 저점(10,960원)을 다시 테스트할 리스크가 있습니다.

2025년 4분기까지 예상 저점 및 고점 (% 표기)

  • 예상 저점: -25% (가격대: 11,200원)
    • 근거: 2025년 8월 21일 기록한 52주 최저가 10,960원9은 3분기 흑자전환으로 펀더멘털이 확인되기 전의 가격대로, 강력한 기술적 지지선으로 작용할 것입니다. 현 주가(14,900원) 대비 약 -25% 하락한 이 지점은 Bear Case 시나리오의 1차 방어선입니다.
  • 예상 고점: +35% (가격대: 20,000원)
    • 근거: 52주 고점(27,150원)은 상장 초기 유동성에 의한 오버슈팅(Overshooting)으로 판단되며, 2025년 4분기 내 단기 고점으로는 20,000원 수준을 제시합니다. 이는 현 주가 대비 약 +35% 상승한 지점으로, 공모가(13,500원) 매물을 소화하고 3분기 흑자 펀더멘털을 반영하는 1차 심리적 저항선입니다.

2025년 4분기까지의 단기 가격대 산출 (% 표기) 및 단기 매매 전략

  • 단기 핵심 가격 밴드: 11,200원 ~ 20,000원 (현 주가 대비 -25% ~ +35%)
  • 단기 매매 전략: '밴드 하단 매수, 상단 축소' (Range Trading)
    • 매수 전략: 주가가 52주 저점(10,960원)에 근접하는 11,000원~12,000원(-20% ~ -25%) 구간에 진입 시, 3분기 흑자 펀더멘털을 신뢰하고 분할 매수하는 'Buy the Dip' 전략이 유효합니다.
    • 매도 전략: 주가가 단기 고점(+35%)인 20,000원에 근접할 경우, 비중을 축소하여 단기 차익을 실현하는 전략이 합리적입니다.
    • 전략 변경 조건: 만약 2026년 정부 대규모 수주2 등 펀더멘털을 재평가할 강력한 뉴스가 발생하여 20,000원을 돌파한다면, 이는 새로운 상승 추세의 시작일 수 있으므로 '추세 추종(Trend Following)' 전략으로의 전환을 고려해야 합니다.
  • 현 수급 상태('약함')4와 주체 간 다이버전스4를 고려할 때, 펀더멘털(흑자전환)은 견고하나 수급이 불안정하여 추격 매수는 위험합니다.

VIII. 부록: 증권사 리포트, 공시 및 뉴스 링크

증권사들 목표주가 산출

  • [확인 불가] 2025년 11월 현재 기준, 제공된 자료15 상 티엑스알로보틱스에 대한 증권사들의 공식적인 목표주가(Target Price) 컨센서스는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 코멘트: 2025년 3월 상장 기업으로10, 3분기 흑자전환1이 확인된 만큼 향후 증권사들의 신규 커버리지(Coverage)가 시작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최근 6개월 이내 주요 공시 (2025년 5월 ~ 11월)

  • [확인 불가] 제공된 리서치 자료11 내에서는 사용자가 요청한 해당 기간(2025.05.01 ~ 2025.11) 동안의 DART(금감원 전자공시) 주요 공시 내역은 식별되지 않았습니다.
  • 코멘트: 2025년 3월 20일(상장)10, 3월 31일(5% 주주 보고)11, 2분기 및 3분기 실적 발표1가 최근의 주요 정보 흐름이었습니다.

최신 핵심 뉴스 링크 (3개)

  1. [흑자전환] 티로보틱스, 3분기 영업 흑자…"업황 회복으로 내년 성장 가속" 1
  2. **** 티엑스알로보틱스 “소방로봇 두뇌는 국산…정보수집 우려 해소” 3
  3. **** 티엑스알로보틱스 '로봇AI연구소' 구축… 차세대 기술 개발 속도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