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G넥스원 주가 분석 및 예측(전체, 유효기간: ~25.11.15)

[링크] 오디오로 듣기

LIG넥스원(079550) 심층 분석: 503,000원, 23.5조 수주잔고와 2026년 주가 전망

2025년 10월 28일 기준 LIG넥스원(079550)의 현재가는 503,000원입니다. K-방산 랠리를 이끌어 온 핵심 종목으로서, 현재 주가 수준에서 추가 상승 여력이 있는지, 아니면 단기적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지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본 보고서는 LIG넥스원의 핵심 제품부터 2025년 11월 15일의 단기 주가 예측, 수급 주체별 평균 단가 추정, 그리고 23.5조 원에 달하는 수주잔고가 의미하는 미래 실적까지, 요청된 18개 항목을 순서대로 분석하여 객관적인 투자 전략을 제시합니다.


1. 기업이 주력하고 있는 제품 및 산업에 대하여 설명한다.

LIG넥스원은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종합 방산업체로, 특히 정밀 유도무기(PGM: Precision Guided Munition) 분야에서 독보적인 기술력과 시장 지위를 확보하고 있습니다.1

  • 주력 산업 (K-방산):
  • LIG넥스원이 속한 방위산업은 단순한 내수 산업을 넘어, 글로벌 지정학적 위기 속에서 구조적인 성장 산업으로 재편되었습니다.2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스라엘-가자지구 분쟁 3 등 전 세계적인 안보 불안이 각국의 국방 예산 증액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K-방산'은 높은 가성비, 빠른 납기, 우수한 성능, 그리고 구매국 맞춤형 유지보수(MRO) 역량을 기반으로 신흥 강자로 부상했습니다.1
  • 주력 제품 포트폴리오 (정밀 유도무기 중심):
    1. '천궁-II' (M-SAM): K-방산 수출의 상징이 된 중거리 지대공 유도무기입니다. 이는 단순한 미사일이 아닌, 레이더 및 발사대를 포함하는 '방공 시스템' 전체의 수출을 의미합니다. 아랍에미리트(UAE), 사우디아라비아에 이어 최근 이라크와 28억 달러(약 3.7조 원) 규모의 본계약을 체결하며 4 중동 시장을 석권하고 있습니다.
    2. '현궁' (ATGM): 보병용 중거리 대전차 유도무기입니다. 사우디아라비아에서 후티 반군과의 실전에서 성능이 입증되었습니다.5 LIG넥스원은 이에 그치지 않고 기존 2.5km 사거리를 4km 이상으로 늘린 '사거리 연장형'을 개발 중이며, 이는 재블린 미사일의 수요를 대체할 잠재력을 가집니다.5
    3. 기타: 함대함(해성), 함대공(해궁) 등 육해공을 아우르는 미사일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4. 신사업 (무인체계): 최근 인수한 '고스트 로보틱스'를 통해 4족 보행 로봇(무인체계) 분야로 확장하고 있으며, 이는 미래 전장 트렌드에 대응하는 핵심 전략입니다.6
  • LIG넥스원의 정체성이자 핵심 성장 동력은 '유도무기'입니다.1
  • 핵심 역량 (가치 사슬): LIG넥스원은 R&D → 생산 → 납품 → MRO(유지보수)까지 이어지는 '전 주기 통합 관리' 체계를 갖춘 완성형 방산 기업입니다.1

2. 현재 기업이 어떤 테마에 속해 있는지 설명한다.

LIG넥스원은 현재 시장에서 가장 강력한 두 가지 테마의 중심에 있습니다.

  • 테마 1: K-방산 수출 랠리 (장기 구조적 테마)
  • 이는 2022년 폴란드 수출을 기점으로 형성된 '구조적 성장 테마'입니다.2 LIG넥스원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현대로템 등과 함께 'K-방산 ETF'의 핵심 구성 종목으로, 기관 및 외국인 투자자들의 방산 포트폴리오에 필수적으로 편입되고 있습니다.2 최근 ADEX 2025(서울 국제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의 역대급 흥행 8은 K-방산에 대한 글로벌 관심이 일시적이 아님을 증명합니다.
  • 테마 2: 중동 지정학적 리스크 (단기 모멘텀)
  • 이스라엘과 가자지구의 분쟁 등 중동 지역의 긴장이 고조될 때마다 LIG넥스원은 '수혜주'로 부각됩니다.3 이는 LIG넥스원의 주력 수출 시장이 UAE, 사우디, 이라크 등 중동 지역이며 4, 이들 국가가 방공망(천궁-II) 및 대전차 무기(현궁)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있기 때문입니다.9

3. 25년 11월 15일 주가를 예측한다.

단기 주가 예측은 변동성이 크지만, 현재의 강력한 모멘텀과 단기 리스크를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2025년 11월 15일의 주가는 515,000원 (기본 시나리오) 수준으로 전망합니다. 이는 현 주가 대비 완만한 상승을 시도할 것이라는 객관적인 전망입니다.

4. 주가를 예측할 때 주가의 상승 또는 하락의 원인을 요약하여 설명한다.

상기된 515,000원의 예측은 다음과 같은 상승 및 하락 요인 간의 균형을 기반으로 합니다.

  • [상승 요인 (Upside)]
    1. 이라크 수출 본궤도 진입 (강력): 10월 27일, LIG넥스원이 한화 측에 1.5조 원 규모의 부품(레이더/발사대)을 발주했습니다.10 이는 2024년 9월 체결한 3.7조 원 규모의 이라크 본계약 4을 막고 있던 내부 단가 조율 문제가 마침내 해결됐음 11을 의미합니다. 이 '불확실성 해소'는 단기적으로 가장 강력한 주가 모멘텀입니다.
    2. 외국인 순매수 (강력): 최근 7일 연속 순매수 6 등 외국인이 50만 원 돌파를 주도하고 있습니다. 이들의 매수세가 단기 수급을 압도하고 있습니다.
    3. 추가 수주 기대감 (중립): 연내 말레이시아(해궁), 내년 미국(비궁), 루마니아(신궁) 등 추가 수출 모멘텀이 대기 중입니다.5

1.  **3분기 실적 리스크 (단기):** 2025년 3분기 실적에 **고스트로보틱스 투자 관련 일회성 비용(약 150억 원)** 및 영업손실이 반영될 예정입니다.
2.  **차익 실현 매물 (단기):** 주가가 단기 급등함에 따라 , 차익을 실현하려는 매도 물량이 출회될 수 있습니다.[6, 14]

5. 네이버 차트를 링크한다.

LIG넥스원(079550)의 실시간 주가 및 차트는 아래 네이버 금융 링크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링크: LIG넥스원(079550) 네이버 금융 실시간 차트]

(https://m.finance.naver.com/item/main.naver?code=079550)

15

6. 오늘 주가에 영향을 주었던 뉴스들.

금일(10월 28일) 주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뉴스는 10월 27일 장 마감 후 발표된 **'이라크 천궁-II 수출 계약의 본궤도 진입'**을 알리는 소식입니다.

  • 뉴스 내용: 한화시스템(8,600억)과 한화에어로스페이스(6,170억)는 10월 27일, LIG넥스원과 총 1조 4,770억 원 규모의 천궁-II 부품(레이더, 발사대 등)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시했습니다.10
  • 뉴스 해설 (심층 분석):
    1. 표면적으로 이 뉴스는 LIG넥스원이 이라크 수출을 위해 1.5조 원의 '비용'을 지출(발주)하는 계약입니다.
    2. 하지만 이 뉴스의 진짜 의미는 '비용 지출'이 아닌 **'병목 현상 해소'**입니다.11
    3. LIG넥스원은 2024년 9월 이라크와 28억 달러(약 3.7조 원) 규모의 본계약을 체결했습니다.4
    4. 그러나 LIG넥스원(체계 종합)과 한화(부품 공급) 간의 세부 납품 단가 조율이 1년 가까이 늦어졌고, 방위사업청이 중재에 나설 정도 4로 사업 진행에 차질이 우려되었습니다.
    5. 결론: 10월 27일 발표된 1.5조 원 규모의 계약은, 이 내부 갈등이 드디어 봉합되고 'K-방산 원팀'이 정상 가동됨을 의미합니다. 3.7조 원 규모의 이라크 수출 프로젝트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며, 이는 LIG넥스원의 막대한 수주잔고가 '실제 매출과 이익'으로 인식되기 시작한다는 강력한 신호입니다. 주가는 이 '불확실성 해소'에 가장 크게 반응했습니다.

7. 정확한 예측이 불가능 하다고 해도 대략적인 가격대를 산출한다.

2025년 11월 15일의 주가 예측 가격대는 '기본 시나리오(Base Case)'를 기준으로 490,000원 ~ 530,000원 사이에서 형성될 것으로 추정합니다.

8. 주가의 최저점과 최고점을 추정할 때 예측 확률(%)도 표시한다.

정확한 가격 예측은 불가능하지만, 상기한 상승/하락 요인을 바탕으로 2025년 11월 15일의 주가 시나리오별 확률과 가격대는 다음과 같이 추정합니다.

[표 1: LIG넥스원 주가 예측 시나리오 (2025.11.15.)]

시나리오 예측 주가 (최저/최고) 예측 확률 핵심 근거
기본 (Base Case) 515,000원 (490,000 ~ 530,000) 50% 이라크 모멘텀 지속. 3분기 실적(일회성 비용 150억)을 시장이 선방으로 해석.
낙관 (Bull Case) 550,000원 (520,000 ~ 560,000) 30% 3분기 실적 리스크를 무시하고 이라크 건을 증권사 목표가(56~58만) 7 선반영으로 해석.
비관 (Bear Case) 470,000원 (460,000 ~ 485,000) 20% 3분기 실적(150억 비용) 7을 '어닝 쇼크'로 오해하며 단기 차익 실현 매물 급증.

9. 향후 일주일 동안 예상되는 저점.

  • 향후 1주일 예상 저점: 485,000원
  • 근거: 최근(10월 24일) 종가이자 지지선으로 작용했던 가격대 13입니다. 곧 발표될 3분기 실적에 일회성 비용 150억 원 7이 반영되며 단기 충격이 올 경우, 기술적으로 지지받을 수 있는 1차 가격대입니다.

10. 향후 일주일 동안 예상되는 고점.

  • 향후 1주일 예상 고점: 530,000원
  • 근거: 이라크 수출 갈등 봉합 11이라는 강력한 모멘텀이 시장에 완전히 반영되며 단기 오버슈팅(Overshooting)이 나올 경우 도달 가능한 가격대입니다.

11. 현재 외국인의 평균 매수 가격대.

  • 추정 평균 단가: 약 480,000원
  • 분석: 최근 LIG넥스원의 주가 상승은 외국인이 주도했습니다. 외국인은 최근 7일 연속(14.4만 주) 및 3일간 대량 순매수를 기록하며 6 50만 원 돌파를 이끌었습니다. 이들의 매수세는 460,000원대부터 500,000원대 13까지 공격적으로 유입되었습니다.
  • 따라서 이들의 평균 매수 단가는 상대적으로 높은 480,000원 전후로 추정됩니다. 외국인은 단기적인 3분기 실적 잡음(150억 비용)보다는, 이라크 딜의 불확실성 해소와 2026년 이후의 구조적 성장에 베팅하고 있습니다.

12. 현재 기관의 평균 매수 가격대.

  • 추정 평균 단가: 약 450,000원 (매도 단가 기준)
  • 분석: 기관은 최근 한 달간 4.8만 주를 순매도했습니다.6 이는 주가 급등을 이용한 차익 실현으로 해석됩니다. 특히 연기금(국민연금) 등은 주가 급등 시 비중을 축소하는 경향 14을 보였습니다. 따라서 기관의 평균 매수 단가보다는, 450,000원 이상에서 형성된 '평균 매도 단가'를 추정하는 것이 더 의미 있습니다.

13. 현재 세력들의 평균 매수 가격대.

  • 추정 평균 단가: 약 400,000원 ~ 420,000원
  • 분석: '세력'을 K-방산 테마를 주도하며 시장의 관심을 이끈 '스마트 머니(Smart Money)'로 정의할 때, 이들의 초기 매집은 10월 초·중순 주가가 40만 원대 초반에서 횡보할 때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현재 50만 원 이상의 가격대는 이들 '세력'의 입장에서는 수익 실현 구간일 수 있습니다.

14. 향후 일주일 동안 매수, 매도 방법을 설명한다.

현재 주가(503,000원)는 이라크 관련 호재가 상당히 반영된 가격대이며, 3분기 실적 발표라는 단기 변동성 이벤트를 앞두고 있습니다.

  • 신규 매수 전략 (분할 매수):
    1. 공격적 추격 매수 금지: 현시점에서 추격 매수는 3분기 실적 발표(150억 비용)라는 리스크에 그대로 노출됩니다.
    2. 1차 매수 (분할): 3분기 실적 발표 후, 만약 시장이 일회성 비용을 빌미로 주가를 하락시킨다면(비관 시나리오), 예상 저점인 485,000원 근처가 1차 매수 기회입니다.
    3. 2차 매수: 만약 470,000원대(비관 시나리오 최하단)까지 밀린다면, 이는 2026년 이후 실적 18을 고려할 때 적극적인 비중 확대 구간입니다.
  • 보유자 매도 전략 (중장기 보유):
    1. 매도 불필요: LIG넥스원의 핵심 투자 아이디어는 23.5조 원의 수주잔고 7와 2026년 이후의 폭발적 이익 성장입니다.18 단기적인 실적 잡음(150억)이나 주가 변동성에 매도할 이유가 없습니다.
    2. 전략: 단기 트레이딩 관점이 아니라면 '보유(Hold)' 전략을 강력히 권고합니다.

[표 2: 향후 1주일 단기 매매 전략 요약]

투자자 유형 포지션 전략 핵심 가격대 근거
신규 매수자 매수 대기 분할 매수 (Buy the Dip) 470,000원 ~ 485,000원 3분기 실적(150억 비용) 발표 시 단기 충격 활용
기존 보유자 보유 중장기 보유 (Hold) N/A 2026~2027년 폭발적 이익 성장성 18
단기 트레이더 보유 분할 익절 530,000원 예상 고점 도달 시 (단기 오버슈팅)

15. 해당기업의 6개월 이내 공시를 알려주고 내용을 설명한다.

LIG넥스원은 최근 6개월간 결정적인 직접 공시가 없었으나, 금일(10월 27일 자) 타사(한화) 공시를 통해 LIG넥스원의 핵심 사업이 본궤도에 올랐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핵심 공시 (2025년 10월 27일): 한화시스템 및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타법인에 대한 공급계약체결' 공시
    • 내용: 한화시스템(8,600억) 및 한화에어로스페이스(6,170억)가 'LIG넥스원'과 총 1.5조 원 규모의 천궁-II(이라크 수출형) 부품 공급 계약을 체결했습니다.10
    • 해설: 이는 LIG넥스원의 매출 공시가 아닌, 원가(비용) 공시입니다. 하지만 그 의미는 LIG넥스원이 2024년 9월에 수주한 **28억 달러(3.7조 원) 규모의 이라크 본계약 4이 내부 단가 조율 4**을 마치고 본격적인 생산 단계에 진입했음을 확정하는 공시입니다. 즉, LIG넥스원의 거대한 수주잔고가 매출로 실현되기 시작하는 '트리거(방아쇠)'입니다.
  • 기타 공시 (2025년 9월): 2025년 하반기 대규모 공개채용 (보도자료)
    • 내용: 미사일시스템, AI, 무인·로봇, 위성 등 전 사업 분야에서 세 자릿수 이상 규모의 대규모 R&D 및 사업관리 인력을 채용합니다.19
    • 해설: LIG넥스원의 임직원 수는 이미 2년간 1,030명이 증가 19했습니다. 이는 폭증하는 수주 물량(23.5조 원) 7을 감당하고 미래 성장을 준비하기 위한 필연적인 확장입니다.

16. 해당 기업의 최신 뉴스 링크(3개)한다.

  1. [한화·LIG, 이라크 수출용 천궁-II 갈등 봉합… 1.5조 규모 부품 공급키로]
    • 해설: 금일 주가 상승의 핵심 원인인 이라크 수출 병목 현상 해소 관련 뉴스입니다.11
  2.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5102715590005013)
  3. [[리포트 브리핑]LIG넥스원, '3Q25 프리뷰: 주가 약세에도 실적은 컨센서스 부합']
    • 해설: 하나증권(목표가 562,000원) 등 3분기 실적 전망 리포트 관련 뉴스입니다.17
  4.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51027000047)

  5. (https://seo.goover.ai/report/202510/go-public-report-ko-c91e70cc-3912-4637-aaa6-f1cec7a05106-0-0.html)
    • 해설: 최근(10월 20~24일) 개최된 ADEX 2025를 통해 K-방산 및 LIG넥스원의 추가 수출 기대감을 분석한 뉴스입니다.8

17. 해당 기업이 주력하는 향후 산업 전망 및 기업의 실적, 향후 수주를 추정한다.

LIG넥스원 투자의 핵심은 2025년의 PER이 아닌, 2026년과 2027년의 폭발적인 이익 성장에 있습니다.

  • 향후 산업 전망 (수출 시장의 확장):
    • 중동: UAE, 사우디, 이라크 4에 이어 사우디아라비아의 '천궁-II 추가 도입'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5
    • 유럽 (신규): 루마니아(신궁)가 K-방산 도입을 적극 검토 중입니다.5
    • 미국 (신규): 유도 로켓 '비궁'이 내년(2026년) 미국 수출(최종 테스트 통과) 가능성이 높습니다.5
    • 아시아: 말레이시아 '해궁'의 연내 계약 가능성이 점쳐집니다.12
  • K-방산은 '장기 테마'이며 2, LIG넥스원의 수출 시장은 중동을 넘어 유럽과 미국으로 확장되고 있습니다.
  • 향후 실적 추정 (2026년부터 시작되는 이익의 'J-커브'):
    • 증권사 컨센서스(한국투자증권 등) 7에 따르면, LIG넥스원의 영업이익은 2026년 4,667억 원 (전년비 34.6%†), 2027년 5,959억 원 (전년비 27.7%†)으로 폭발적인 성장을 기록할 전망입니다. (†2025년 대비 추정치)
    • 이익 개선은 2028년을 넘어 지속될 것입니다.18
    • 현재 주가 기준 2025년 PER(주가수익비율)은 32.7배로 다소 높아 보일 수 있으나 17, 2026년 기준 PER은 27.4배로 낮아지게 됩니다.17 가파른 이익 개선 속도를 고려할 때 현재 밸류에이션은 비싸지 않다는 분석이 지배적입니다.18
  • 방산 업의 특성상 수주가 실제 이익으로 찍히는 시점은 2026년 이후입니다.
  • 향후 수주 추정 (23.5조 원의 압도적인 수주잔고):
    • 2025년 2분기 기준, LIG넥스원의 수주잔고는 23조 5,000억 원에 달합니다.7
    • 이는 현재 매출 기준 약 5.7년치 일감 17으로, 향후 수년간의 실적이 이미 확보되었음을 의미합니다.
    • 더 중요한 것은 이 잔고의 55% 이상이 고마진의 '수출' 물량 7이라는 점이며, 이것이 2026~2027년 영업이익률(OPM) 9%대 7를 달성하는 근거입니다.

18. 그 외 해당 기업 주식을 거래하는데 참고해야 할 대외, 내외적인 상황 및 기업 현황을 설명한다.

[대외 변수 (기회 및 리스크)]

  1. 지정학적 리스크 (기회): 중동 3, 동유럽 1, 미중 갈등 2은 LIG넥스원의 방산 수출에 우호적인 환경을 지속시킬 것입니다.
  2. 미국 대선 (리스크/기회): 트럼프 당선 등 미 대선 결과에 따라 미국의 방위비 분담 압박이 커질 수 있으나, 이는 역으로 동맹국들의 '자체 방어' 수요를 자극하여 K-방산에 기회가 될 수도 있습니다.

[대내 변수 (리스크 점검)]

  1. 3분기 실적 (단기 리스크): 신규 투자자가 반드시 인지해야 할 단기 리스크입니다. '고스트로보틱스' 관련 150억 원의 일회성 비용 7이 3분기 실적에 반영됩니다. 이는 펀더멘털과 무관한 '회계상 비용'이지만, 실적 발표 시 단기적으로 주가 하락의 빌미가 될 수 있습니다.
  2. K-방산 내부 경쟁 (해소된 리스크): 금일 한화와의 1.5조 계약 11에서 보듯, 'K-방산 원팀' 내부의 이익 배분 갈등은 존재합니다. 이는 향후 대규모 사업에서도 발생할 수 있는 리스크지만 11, 정부의 중재 4로 관리되고 있습니다.
  3. 내부자 매도 (과거 리스크): 주가 급등 시 LIG넥스원 전 대표 14나 국민연금 14이 비중을 축소한 이력이 있습니다. 이는 단기 고점에 대한 신호일 수 있으나, 현재는 외국인 수급이 이를 압도하고 있습니다.6

[최종 결론]

LIG넥스원의 현재 주가 503,000원은 단기적으로 3분기 실적 발표(일회성 비용 150억)라는 변동성 리스크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10월 27일 확인된 3.7조 원 이라크 수출의 '불확실성 해소'는 매우 강력한 모멘텀이며, 23.5조 원의 압도적 수주잔고와 2026년(4,667억), 2027년(5,959억)으로 이어지는 폭발적인 이익 성장은 LIG넥스원의 중장기 기업가치가 여전히 상승 구간에 있음을 증명합니다.

신규 투자자는 3분기 실적 발표를 전후한 단기 하락(47만~48.5만 원)을 '매수 기회'로 활용하고, 기존 보유자는 '중장기 보유(Hold)'를 유지하는 것이 가장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투자 전략일 것입니다.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