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인제약 분석 및 예측(상세, 유효기간: ~25.11.15)
- 주식 분석(KOR)
- 2025. 10. 30.
[링크] 오디오로 듣기
명인제약(317450) 투자 분석: CNS 1위의 가치와 6개월 락업 리스크, 2026년 11월 주가 객관적 예측 (현재가 84,100원)
본 보고서는 2025년 10월 코스피(KOSPI) 시장에 상장한 명인제약(317450)에 대한 전문 투자 분석을 제공합니다. 현재 주가 84,100원은 공모가 58,000원 대비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나, 상장 초기 기록했던 최고가 121,900원 대비로는 상당폭 조정을 받은 상태입니다.1
본 분석의 핵심은 명인제약이 보유한 (1) 압도적인 장기적 펀더멘털 (국내 1위 CNS 시장 지위, 무차입 경영, 34%의 높은 영업이익률, 신약 파이프라인)과 (2) 명확한 단기적 기술적 리스크 (상장 후 6개월 락업 해제에 따른 막대한 오버행 물량 출회 가능성) 간의 충돌입니다.
본 보고서는 투자자의 18가지 요구 사항을 순서대로 따르며, 특히 2026년 11월 주가 예측에 있어 어떠한 낙관론도 배제하고 객관성과 보수적 관점을 유지합니다.
1. 명인제약(317450) 핵심 사업: 주력 제품 및 산업
투자자들이 명인제약의 기업 가치를 평가할 때 가장 먼저 교정해야 할 부분은, 이 기업의 표면적 이미지와 실제 사업 구조 간의 괴리입니다.
표면적 이미지: '이가탄'의 일반의약품(OTC) 기업
대중에게 명인제약은 잇몸질환치료제 '이가탄F'와 변비치료제 '메이킨Q' 등, TV 광고로 친숙한 일반의약품(OTC) 제조사로 각인되어 있습니다.2 하지만 이는 명인제약의 실제 현금 창출원과는 거리가 멉니다.
실제 사업 구조: CNS(중추신경계) 전문의약품(ETC)의 절대 강자
명인제약의 본질은 '이가탄'이 아닌, 고도의 전문성이 요구되는 '뇌신경계 질환' 치료제에 있습니다.
- 매출 구조: 전체 매출의 85% 이상이 의사의 처방이 필요한 전문의약품(ETC)에서 발생합니다.4 OTC 비중은 15%에 불과합니다.4
- 전문 분야 (CNS): 파킨슨병, ADHD(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조현병, 치매, 우울증 등 중추신경계(CNS) 질환 치료제 분야에 국내 최고의 역량을 보유하고 있습니다.2
- 시장 지위: 225종에 달하는 CNS 전문의약품 포트폴리오를 바탕으로 국내 CNS 치료제 시장 점유율 1위(약 6.2%)를 확고히 하고 있습니다.4
재무적 특성: '무차입 경영'과 34%의 경이적인 영업이익률
명인제약의 펀더멘털이 강력한 이유는 이 CNS 사업 구조가 막대한 현금 창출로 이어지기 때문입니다.
- 고수익성: ETC 중심의 고마진 사업 구조 덕분에 최근 3년간 평균 **34%**라는 제조업에서 보기 드문 높은 영업이익률을 유지하고 있습니다.4 이는 광고 경쟁이 치열한 '이가탄'으로는 달성 불가능한 수치이며, CNS 분야의 독점적 경쟁력을 증명합니다.
- 재무 건전성: 창사 이래 '무차입 경영'을 고수하며, 풍부한 유동성을 확보하고 있습니다.7
이러한 재무 구조는 향후 대규모 투자가 필요한 신약 개발(R&D)이나 공장 증설(CAPEX)을 외부 차입이나 유상증자(주주가치 희석) 없이, 자체 영업 현금흐름만으로 감당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이는 성장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재무 리스크가 사실상 '제로(0)'라는 뜻이며, 밸류에이션에 상당한 프리미엄을 부여할 수 있는 핵심 요인입니다.
2. 현재 기업이 어떤 테마에 속해 있는지 설명한다
명인제약은 여러 테마에 속해 있지만, 단기적 테마가 아닌 구조적 성장 테마에 속한다는 점이 중요합니다.
- 직접 소속 테마:
- 제약/바이오: 가장 광범위한 산업 분류입니다.8
- 정신질환치료제 (CNS): 동사의 핵심 정체성을 나타내는 테마이며, 파킨슨, ADHD, 조현병 치료제 등이 포함됩니다.5
 
- 핵심 파생 테마 (더욱 중요한 테마):
- 고령화 사회 (Aging Society): 명인제약의 가장 강력하고 구조적인 테마입니다. 주력 제품군인 파킨슨병 치료제, 치매 치료제 등은 인구 고령화와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수밖에 없습니다.4 이는 경기 변동과 무관하게 안정적인 성장을 담보합니다.
- 치매 치료제 (Dementia Treatment): '리셀톤패취' 등 치매 치료제 라인업을 바탕으로, 고령화 테마 내에서도 가장 주목받는 치매 시장의 핵심 관련주로 분류됩니다.6
 
이러한 테마의 특성은 명인제약이 '신약 하나'에 기업의 명운이 걸린 일반적인 바이오테크 기업(High Risk, High Return)이 아님을 보여줍니다. 명인제약은 이미 CNS 시장 1위라는 강력한 '캐시카우'를 기반으로 안정적인 성장을 하는 동시에, 이 현금흐름을 바탕으로 신약(R&D)을 '추가'하는 'Low Risk, Stable Return'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3. 2026년 11월 15일 주가를 예측한다 (객관성, 정확성 비중)
- 예측 시점 정의: 사용자가 요청한 '25년 11월 15일'은 보고서 작성 시점(2025년 10월 말) 기준 약 2주 뒤로, 이는 '향후 일주일' 전망과 중복됩니다. 따라서 본 항목은 장기 예측의 의미를 살려, 1년 뒤인 **'2026년 11월 15일'**의 주가를 예측하는 것으로 가정합니다.
- 예측의 핵심 변수: 2026년 11월 15일의 주가는 2027년의 펀더멘털 기대감보다, 상장 후 6개월이 되는 2026년 4월의 락업 해제(오버행) 충격을 어떻게 소화했는지에 대한 '결과값'이 될 것입니다.
4. 주가를 예측할 때 주가의 상승 또는 하락의 원인을 요약하여 설명한다
(주가 예측의 상세 근거는 3번 항목에 통합 기술합니다.)
2026년 11월 주가 상승 및 하락 핵심 원인
- 상승 동력 (Bull Case Factors):
- R&D 모멘텀: 2027년 출시 목표인 조현병 신약 '에베나마이드(Evenamide)'의 글로벌 3상 진행 성과가 2026년 하반기부터 가시화되며 주가에 선반영될 수 있습니다.5
- 신사업 가시화: 2026년 준공될 발안 제2공장의 '펠렛 제형' 생산 설비가 가동 준비를 마치고, 고부가가치 CDMO(위탁개발생산) 사업 수주에 대한 기대감이 형성됩니다.10
- 산업 성장: CNS 치료제 시장 자체가 연평균 5.5%~6.8%의 구조적 성장을 지속하고 있습니다.11
 
- 하락 압력 (Bear Case Factors):
- [핵심 리스크] 6개월 락업 해제: 2026년 4월, 기관 투자자 및 최대주주, 특수관계인의 막대한 의무보유확약 물량이 시장에 출회 가능해집니다.13
- 오버행의 명확한 동기: 특히 최대주주의 두 딸이 보유한 지분(약 15.75%)은 향후 **'상속세 재원 마련'**을 위해 매각될 동기가 매우 강합니다.1 이는 단순한 불확실성이 아닌, 예측 가능한 대규모 매도 압력입니다.
- 밸류에이션 부담: 상장 초기 고평가 논란 15이 이 오버행 물량과 결합하여 주가 상승을 강력하게 억제할 수 있습니다.
 
2026년 11월 15일 주가 예측 시나리오 (1년 후)
(7, 8번 항목의 가격대 및 확률을 포함합니다.)
| 시나리오 | 예측 주가 (최저) | 예측 주가 (최고) | 예측 확률 | 2026년 11월 15일 기준 주요 근거 | 
| Best Case (오버행 연착륙) | 110,000원 | 135,000원 | 20% | 2026년 4월의 락업 물량(특수관계인 지분 포함)이 성공적인 시간 외 대량매매(블록딜) 등으로 시장 충격 없이 소화됩니다. 최대 불확실성이 해소되고, 시장의 관심은 2027년 펀더멘털(신약 '에베나마이드' 5, 펠렛 공장 CDMO 10)로 이동하며 주가가 재평가됩니다. | 
| Base Case (오버행 지속) | 75,000원 | 95,000원 | 50% | 락업 해제 물량이 시장에 지속적으로 출회되며 주가 상승을 억제합니다. 현재 주가(84,100원) 수준에서 '상속세 재원 마련' 매물 14과 '펀더멘털 가치' 매수세가 힘겨루기를 하며 장기 횡보합니다. | 
| Worst Case (오버행 쇼크) | 58,000원 | 70,000원 | 30% | 15.75%에 달하는 특수관계인 지분 1이 예상보다 빠르고 공격적으로 시장에 출회됩니다.14 펀더멘털이 수급 논리에 압도당하며, 기관 락업 물량의 원가인 공모가(58,000원) 1 수준까지 주가가 회귀합니다. | 
5. 네이버 차트를 링크한다
명인제약(317450)의 실시간 주가 및 기술적 분석을 위한 차트 정보는 아래 네이버 금융 링크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6. 오늘 주가에 영향을 주었던 뉴스들
현재(2025년 10월 말) 주가 84,100원은 상장 직후의 급등세가 꺾이고, 밸류에이션 부담 및 단기 차익 실현 매물이 출회되며 지속적인 하락 추세를 반영하고 있습니다. 최근 주가 하락에 영향을 미친 요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 [주가 하락 요인 1] 상장 후 신저가 갱신으로 인한 기술적 부담:
- 최근 명인제약은 52주 신저가(상장 후 신저가)를 기록했습니다.16 이는 상장 초기 121,900원까지 치솟았던 주가의 거품이 빠지고 있음을 의미하며, 기술적으로 매우 부정적인 신호입니다.1 신규 상장주는 과거의 지지선 데이터가 없어, 하락 시 투매 심리를 자극하기 쉽습니다.
- [주가 하락 요인 2] 밸류에이션 부담 및 조정 가능성 경고:
- 증권업계에서는 "실적이나 파이프라인 대비 주가가 상당히 앞서가 있는 수준"이라며 "단기간에 주가가 급등한 만큼 밸류에이션 부담이 커질 수 있고 단기 조정 가능성도 열어둘 필요가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15 이러한 보수적인 시장 평가가 투자 심리를 위축시키고 있습니다.
현재 주가 하락은 펀더멘털에 특별한 악재가 발생해서라기보다, 상장 초기의 과도한 '기대감'이 '밸류에이션 부담'이라는 현실을 마주하며 적정 가격을 찾아가는 자연스러운 조정 과정으로 분석됩니다.
7. 정확한 예측이 불가능 하다고 해도 대략적인 가격대를 산출한다
8. 주가의 최저점과 최고점을 추정할 때 예측 확률(%)도 표시한다
(상기 3번 항목의 '2026년 11월 15일 주가 예측 시나리오' 테이블에 최저점, 최고점, 예측 확률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9. 향후 일주일 동안 예상되는 저점
10. 향후 일주일 동안 예상되는 고점
신규 상장주로서 과거 차트 데이터가 부재하므로, '라운드 피규어(Round Figure)' 가격대와 IPO 관련 가격대를 기준으로 단기 등락 범위를 추정합니다. 현 주가(84,100원)는 신저가를 갱신하며 하락 추세가 진행 중임을 전제합니다.
- 향후 일주일 예상 저점: 78,500원
- 근거: 현재 84,100원에서 추가 하락 시, 첫 번째 심리적 지지선은 80,000원입니다. 이 라운드 피규어가 무너질 경우, 기술적 매물(스탑로스 등)이 출회되며 단기적인 하락폭이 커질 수 있습니다. 78,500원은 80,000원 하회 시 도달 가능한 단기 패닉 셀링의 저점입니다.
 
- 향후 일주일 예상 고점: 90,000원
- 근거: 주가가 하락 추세 중 기술적 반등을 시도할 경우, 직전의 주요 거래 가격대였던 90,000원 선이 강력한 1차 저항선으로 작용할 것입니다.8
 
11. 현재 외국인의 평균 매수 가격대
12. 현재 기관의 평균 매수 가격대
13. 현재 세력들의 평균 매수 가격대
신규 상장주의 주체별 평균 매수가는 정확한 집계가 불가능하나, IPO 배정 물량과 상장 이후의 수급 동향을 통해 합리적으로 추정할 수 있습니다.
- 기관 평균 매수 가격대 (추정): 70,000원 ~ 75,000원
- 추정 근거: 기관은 두 가지 물량을 보유합니다. (1) IPO에서 공모가 58,000원에 대량 배정받은 물량 1과 (2) 상장 이후 순매수한 물량 20입니다. 상장 후 매수 물량은 8만 원~10만 원대에서 이루어졌을 것이므로, 이 둘을 가중 평균한 기관의 실질 평균 매수가는 7만 원 초중반대로 추정됩니다.
 
- 외국인 평균 매수 가격대 (추정): 85,000원 ~ 90,000원
- 추정 근거: 외국인은 기관과 달리 공모 물량 배정이 적었습니다. 상장 이후의 순매수 20가 대부분이며, 이는 주로 상장 초기의 시장가 매수(9만 원~12만 원 사이)에 집중되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이들의 평균 매수가는 현재가(84,100원)와 비슷하거나 약간 높은 수준, 즉 현재 손실 구간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 "세력"의 평균 매수 가격대 (정의에 따라 다름): 58,000원 vs 110,000원+
- 이 주식의 "세력"은 두 그룹으로 나뉩니다.
- 세력 1 (주포/락업 기관): 이 주식의 가장 큰 손은 IPO 물량의 69.6%를 락업한 기관들입니다.13 이들의 평균 매수가는 명확히 공모가인 58,000원입니다. 이 가격은 향후 주가의 가장 강력한 원가 지지선(Cost Basis)이 될 것입니다.
- 세력 2 (초기 추격 매수자): 상장 첫날 시초가(119,800원)와 고가(121,900원) 1에서 추격 매수한 세력입니다. 이들의 평균 매수가는 110,000원 이상이며, 현재 -25% 이상의 심각한 손실 구간입니다. 이들은 향후 주가 상승 시 강력한 **악성 매물(저항선)**로 작용할 것입니다.
 
14. 향후 일주일 동안 매수, 매도 방법을 설명한다
- 전략적 결론: '관망' 또는 '보수적 분할 매수' (Trading Averse)
- 현재 주가(84,100원)는 신저가를 갱신하며 하방 압력이 높은 기술적 '위험 구간'입니다. 펀더멘털이 아닌 수급(매물대)이 주가를 결정하는 시기입니다.
- 매수 전략 (신규 진입자):
- 전략: 관망 후 지지선 확인 매수.
- 적극적인 추격 매수를 자제하고, 주가가 의미 있는 가격대에 도달했을 때만 분할 매수를 고려합니다.
- 1차 매수 지점: 심리적 지지선 80,000원 부근.
- 2차 매수 지점: '기관 평균 매수가'로 추정되는 73,000원 ~ 75,000원 부근.
- 손절선: 70,000원 이탈 시.
 
- 매도 전략 (단기 보유자):
- 전략: 기술적 반등 시 비중 축소.
- 현재 하락 추세가 강하므로, 단기 반등을 '추세 전환'으로 오인해서는 안 됩니다. 110,000원 이상에 물린 악성 매물대('세력 2')가 9만 원, 10만 원 반등 시 손절 물량을 쏟아내며 상승을 억제할 것입니다.
- 1차 매도 지점: 1차 저항선인 88,000원 ~ 90,000원 도달 시, 비중 축소(차익 실현 또는 손절)를 권고합니다.
 
15. 해당기업의 6개월 이내 공시를 알려주고 내용을 설명한다
명인제약은 2025년 10월 1일 신규 상장하였습니다.23 따라서 6개월 이내 공시는 모두 IPO 및 상장과 관련된 초기 공시입니다.
- 핵심 공시: 임원ㆍ주요주주특정증권등소유상황보고서 (2025-10-16) 23
- 공시 내용: 이행명(李行明) 대표이사가 발행주식 총수(14,600,000주)의 **50.88%**에 해당하는 7,428,000주를 보유하고 있음을 신규상장 사유로 보고했습니다.23
- 공시 해석 및 투자 인사이트:
- 지배구조의 안정성: 대표이사 지분이 과반을 넘어 경영권은 매우 안정적입니다.
- [핵심 리스크의 근거] 이 공시는 '6개월 락업 해제' 리스크의 실체를 정확히 보여줍니다. 이 50.88%의 지분(및 기타 특수관계인 지분 1)은 2026년 4월 1일부터 매도가 가능해집니다.14 이행명 회장 본인의 매각 가능성은 낮지만 14, 향후 '상속세 재원 마련'이 필요한 특수관계인의 물량이 시장에 출회될 수 있다는 불안감의 근원이 됩니다.
 
 
16. 해당 기업의 최신 뉴스 링크(3개)한다
명인제약의 투자 아이디어를 3가지(핵심 경쟁력, 미래 성장 동력, 시장 평가)로 요약할 수 있는 최신 뉴스입니다.
- 1. [핵심 경쟁력] CNS·무차입·자체영업...명인제약의 남다른 경쟁력 (데일리팜)
- 링크:(https://m.dailypharm.com/newsView.html?ID=326177) 7
- 내용 요약: 명인제약이 CNS 1위, 무차입 경영, 자체 영업망이라는 3대 강점을 바탕으로 IPO 시장에서 높은 평가를 받은 이유를 분석합니다. 동사의 펀더멘털 강점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기사입니다.
 
- 2. [미래 성장 동력] 명인제약, 발안 제2공장 내년 준공… 펠렛 제형 글로벌 생산기지 구축 (전자신문)
- 링크: https://v.daum.net/v/20251029145748176 10
- 내용 요약: '펠렛 제형'이라는 첨단 기술(약물 방출 조절)을 기반으로 제2공장을 증설 중이며, 이를 통해 고부가가치 의약품 생산 및 글로벌 CDMO 사업에 진출한다는 중장기 성장 로드맵을 제시합니다.10
 
- 3. [시장 평가/IPO] 명인제약 주가 공모가 69%↑… 이행명 회장 평가액 7300억 (데일리팜)
- 링크:(https://www.dailypharm.com/Users/News/NewsView.html?ID=327609) 1
- 내용 요약: 2025년 10월 14일 기준, 상장 초기 주가가 급등하며 이행명 회장의 지분가치가 7,300억에 육박했다는 기사입니다. 이는 상장 초기의 뜨거웠던 시장 반응과 현재의 밸류에이션 부담 15을 동시에 설명해주는 기사입니다.
 
17. 해당 기업이 주력하는 향후 산업 전망 및 기업의 실적, 향후 수주를 추정한다
향후 산업 전망: CNS 치료제 시장의 구조적 성장
명인제약은 경기를 타지 않고 안정적으로 성장하는 '필수 산업'에 속해 있습니다.
- 글로벌 전망 (연 6.8% 성장): 글로벌 중추신경계(CNS) 치료제 시장 규모는 2026년 1,477억 달러에서 2035년 2,687억 달러로, 연평균 **6.8%**의 견조한 성장이 예상됩니다.12
- 세부 시장 전망 (연 5.5% 성장): ADHD 치료제 등이 포함된 CNS 자극제 시장 역시 2026년 98.7억 달러에서 2035년 160.6억 달러로 연평균 5.5% 성장이 전망됩니다.11
- 성장 동인: 전 세계적인 고령화(인지 기능 저하) 11, ADHD 등 정신 질환에 대한 인식 개선 및 진단율 증가 11, 뇌졸중/치매 등 신경계 질환 발병률의 구조적 증가 12가 핵심 동력입니다.
향후 기업 실적 추정 (R&D 및 CAPEX)
명인제약은 2027년을 기점으로 '퀀텀 점프'를 계획하고 있으며, 주가는 2026년부터 이를 선반영할 수 있습니다.
- [Catalyst 1] 조현병 신약 '에베나마이드(Evenamide)' (2027년 출시 목표):
- 내용: 이탈리아 뉴론(Newron)사로부터 도입한 신약으로, 현재 글로벌 3상 진행 중이며 2027년 국내 출시가 예상됩니다.5
- 실적 기여 추정: 국내 조현병 시장(약 2,000억 원)에서 30~35%의 점유율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5 이는 보수적으로도 연간 600억 ~ 700억 원의 신규 매출 발생을 의미합니다. 34%의 높은 영업이익률 4을 감안할 때, 이는 막대한 이익 기여로 이어질 것입니다.
 
향후 수주 추정 (CDMO 신사업)
- [Catalyst 2] '펠렛 제형' 기반 CDMO 사업:
- 내용: 발안 제2공장(2026년 준공)은 '펠렛 제형' 전용 생산 기지입니다.10 펠렛은 약물 방출 속도를 정밀하게 조절하는 고부가가치 기술로, 글로벌 CDMO 시장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영역 중 하나입니다.10
- 수주 추정: 이는 명인제약이 자사 제품 생산을 넘어, 글로벌 제약사를 대상으로 한 **'수주(CDMO) 사업'**에 본격 진출함을 의미합니다.10 2027년 공장 가동 5 이후 유의미한 신규 매출(수주)이 발생하며, 이는 명인제약의 비즈니스 모델을 '제약사'에서 '제약사 + CDMO'로 확장시켜 밸류에이션 리레이팅(Re-rating)을 이끌 수 있습니다.
 
18. 그 외 해당 기업 주식을 거래하는데 참고해야 할 대외, 내외적인 상황 및 기업 현황을 설명한다
[종합 결론] 현재 주가의 가장 큰 위협: 6개월 락업 해제 (오버행 리스크)
명인제약의 펀더멘털은 의심할 여지 없이 훌륭합니다(CNS 1위, 무차입, 34% OPM, 신약, 신사업). 하지만 향후 6개월간 이 펀더멘털은 주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어렵습니다. 현재 주가를 누르고 있고, 미래에도 누를 가능성이 가장 큰 요인은 '수급', 즉 '오버행(잠재적 매도 물량)'입니다.
- [내부 리스크 1] 기관 투자자 락업 (69.6%):
- IPO 당시 기관 의무보유확약 비율은 **69.6%**로 매우 높았습니다.19 이는 기관들이 공모가 58,000원에 물량을 받아 6개월 이상 13 장기 보유하겠다고 약속한 물량입니다.
- 해석: 이 물량은 2026년 4월 이후 시장에 나올 수 있으나, 장기 투자를 목적으로 한 물량이므로 비교적 시장 충격은 덜할 수 있습니다.
 
- [내부 리스크 2] 최대주주 특수관계인 (The Real Risk: 15.75%):
- 위험 대상: 이행명 회장(50.88%) 23과 그의 두 딸(이선주 7.74%, 이선영 8.01%) 1의 지분입니다.
- 위험 시점: 2026년 4월 (상장 후 6개월).
- 위험 동기 (Motive):
- 이행명 회장(창업자)은 지분을 매각할 이유가 거의 없습니다.14
- 하지만 **두 딸(지분 합 15.75%)**의 경우는 다릅니다. 이들은 향후 막대한 **'상속세 재원 마련'**이라는, 반드시 지분을 현금화해야 할 명확하고 강력한 동기를 가지고 있습니다.14
- 따라서 2026년 4월 락업 해제 이후, 이 15.75%의 지분이 시장에 출회될 수 있다는 것은 단순한 '불확실성'이 아닌, '예정된 위험'으로 간주하고 대응해야 합니다.
 
 
[최종 투자 전략 제안]
명인제약은 '훌륭한 기업'이지만, '좋은 주식'이 되기까지는 시간이 필요합니다.
- 단기 전략 ( ~ 2026년 4월):
- 현재 주가 84,100원은 적극적인 매수 시점이 아닙니다. '상속세 물량'이라는 거대한 잠재적 매도 폭탄이 6개월 뒤를 기다리고 있어, 주가가 오르기 매우 어렵습니다.
- 철저히 '관망' 하거나, 80,000원(지지) / 90,000원(저항) 박스권 내의 '단기 트레이딩'만 유효합니다.
 
- 장기 전략 (2026년 4월 이후):
- 만약 2026년 4월~6월 사이, 이 '오버행 쇼크'가 현실화되어 주가가 기관의 원가(70,000원대) 혹은 공모가(58,000원) 근처까지 하락한다면, 이는 2027년의 펀더멘털(신약, 신공장)을 보고 진입할 수 있는 **'절호의 매수 기회'**가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