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로핏 분석 및 예측(유효기간: ~25.11.30)

[링크] 오디오로 듣기

뉴로핏 (380550) 투자 분석 인포그래픽

The "Pickaxe" Thesis: 알츠하이머 골드러시의 곡괭이

뉴로핏은 신약 개발사가 아닌, '진단'과 '모니터링'의 핵심 파트너입니다.

알츠하이머 치료의 '전(全) 주기' 장악

💊

1. 신약 개발 (제약사)

레카네맙 등 신약 등장. "골드러시" 시작.

🧠

2. 필수 진단 (뉴로핏)

SCALE PET로 아밀로이드 침착(신약 대상자) 선별.

📈

3. 부작용 모니터링 (뉴로핏)

AQUA (MRI)로 신약 부작용(ARIA) 추적.

모든 제약사(광부)는 신약 처방을 위해 뉴로핏의 '진단'과 '모니터링'이라는 '곡괭이'와 '작업복'을 필요로 합니다.

Financials: 계획된 적자와 2027년의 꿈

현재의 적자는 'J-커브'를 위한 R&D 및 글로벌 인프라 투자입니다.

2025년 2분기 기준, 영업손실은 33.7억 원입니다. 이는 IPO 조달 자금(280억)을 R&D 고도화와 미국/일본 진출을 위해 선제적으로 투입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2025년 2분기 영업손실

-33.7 억원

글로벌 확장을 위한 '계획된 적자'

흑자전환 로드맵 (회사 목표)

Recent Milestones: 모멘텀은 살아있다

2025년 하반기, 글로벌 진출 성과가 가시화되고 있습니다.

2024. 07

일본 보험 수가 적용

AQUA 및 SCALE PET이 일본 급여 적용을 받으며 '연구용'이 아닌 '진료용' 매출이 시작되었습니다.

2025. 09

싱가포르 임상 검증

AQUA가 전문가 수준의 정확도와 '20분 내' 분석이라는 압도적 속도를 국제 학술지에서 입증했습니다.

2025. 10

미국 법인 설립

세계 최대 알츠하이머 시장인 미국에 100% 출자 법인을 설립, IPO 자금 투입이 시작되었습니다.

2025. 10

FDA 추가 승인

AQUA가 '다발성 경화증(MS)' 분석 기능으로 FDA 확대 승인을 받아 미국 내 적용 범위(TAM)가 넓어졌습니다.

Key Catalysts & Risks

단기 리스크와 중장기 핵심 모멘텀

🚨 단기 리스크 (11월 중순)

**2025년 3분기 실적 발표.** 시장은 일본 매출액보다 '현금 소진(Cash Burn)' 속도를 주목할 것입니다. 미국 법인 설립 등으로 적자 폭이 2분기(-33.7억)보다 확대될 경우, 단기 조정의 빌미가 될 수 있습니다.

🚀 중기 모멘텀 (2026 1Q)

**'AQUA AD Plus' FDA 승인.** 신약 부작용(ARIA) 모니터링 전용 솔루션입니다. 이 승인은 '곡괭이' 전략을 완성하는 마지막 퍼즐이며, 글로벌 제약사와의 대규모 파트너십으로 이어질 수 있는 가장 강력한 촉매제입니다.

Short-Term Forecast (to Nov 30, 2025)

호재 반영 속 '3분기 실적'이라는 단기 불확실성 직면

현재가(22,700원)는 9~10월의 호재가 상당 부분 반영된 가격입니다. 11월 중순 실적 발표를 앞두고 차익 실현 매물 소화 과정과 건강한 조정을 거칠 가능성이 높습니다.

11/30 예측 주가 (Base)

20,500 KRW

예상 저점
18,500원
현재가
22,700원
예상 고점
26,000원

단기 시나리오 확률

Investor Sentiment & Strategy

기관의 'Overhang' 리스크와 매수 전략

최근 1주 수급 동향

**IPO 기관 물량 (공모가 14,000원)**이 현재 60% 이상 수익 구간입니다. 이들의 차익 실현 매물(오버행)이 주가 상단을 누르는 주된 요인입니다.

  • 기관 (매도 주체)

    수익 실현(Profit-Taking) 물량 출회. 단기 주가에 부담.

  • 신규 매수자 전략

    **11월 중순 3분기 실적 확인** 후, [예상 저점]인 **18,500원 ~ 19,500원** 구간에서 분할 매수하는 것이 가장 보수적이고 안전한 전략입니다.

Key Resources

참고 자료 및 최신 뉴스

본 자료는 2025년 11월 3일 기준, 이전 연구 보고서를 기반으로 작성된 투자 참고용 인포그래픽입니다.
모든 투자의 최종 결정과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뉴로핏(380550) 투자 분석: 치매 정복의 '키', 2025년 11월 주가 완벽 해부

현재가: 22,700원 (2025년 11월 초 기준)

안녕하십니까. 바이오/헬스케어 섹터 전문 분석가입니다. 2025년 7월 25일 코스닥 시장에 상장한 이후 , '치매 정복'이라는 거대한 내러티브의 핵심 기업으로 부상한 뉴로핏(380550)에 대한 심층 분석 보고서를 공유합니다.   

현재 주가 22,700원은 9월 말의 임상 데이터 호재 와 10월 미국 법인 설립 이라는 긍정적 모멘텀이 상당 부분 반영된 위치입니다.   

본 보고서는 티스토리 블로그 독자들을 위해, 사용자께서 요청하신 20가지 핵심 항목을 순서대로 상세히 분석하여 단기(2025년 11월 30일) 및 중장기(2027년 흑자전환) 투자 전략을 수립하는 데 필요한 모든 데이터를 제공합니다.


1. 기업이 주력하고 있는 제품 및 산업에 대하여 설명한다

뉴로핏은 'AI(인공지능) 기반 뇌질환 영상 분석 솔루션'을 개발하는 전문 기업입니다. 인간의 눈으로는 정밀하게 파악하기 어려운 뇌 MRI 및 PET 영상의 미세한 변화를 AI가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알츠하이머병, 뇌졸중 등 뇌 질환의 '조기 진단'과 '치료 과정 모니터링'을 돕는 것이 비즈니스의 핵심입니다.   

뉴로핏의 경쟁력은 크게 두 가지 핵심 제품 라인업에서 나옵니다.

주력 제품 1: Neurophet AQUA (뉴로핏 아쿠아) - 뇌 MRI 정량 분석

'아쿠아'는 뇌 MRI를 AI로 분석하여 뇌의 '구조적' 변화를 측정하는 소프트웨어입니다.   

  • 핵심 기능: 뇌의 영역별 위축(atrophy) 정도와 뇌 백질의 변성(White Matter Hyperintensities, WMH) 상태를 정량화된 수치로 제공합니다. 이는 알츠하이머병, 혈관성 치매 등 퇴행성 뇌 질환에서 공통적으로 관찰되는 뇌 손상 정도를 객관적 데이터로 변환시켜 줍니다.   
  • 차별점 (속도): '아쿠아'의 가장 큰 임상적 강점은 속도입니다. 기존에 뇌 영상 분할 및 분석에 8시간에서 24시간까지 소요되던 작업을 단 5분 만에 완료합니다. 이는 건국대병원과 같은  실제 상급 병원의 워크플로우에 즉각적으로 통합되어 , 의사의 신속한 진단을 돕고 환자의 대기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여줍니다.   
  • 확장성: 최근(2025년 10월 말)에는 미국 FDA로부터 기존 뇌 위축 분석 기능에 더해 '다발성 경화증(MS)' 병변 분석 기능까지 확대 승인을 받았습니다.   

주력 제품 2: Neurophet SCALE PET (뉴로핏 스케일 펫) - 뇌 PET 정량 분석

'스케일 펫'은 뇌 PET(양전자 방출 단층 촬영) 영상을 분석하여 뇌의 '생화학적' 변화를 측정합니다.

  • 핵심 기능: 알츠하이머병의 핵심 원인 물질로 알려진 '아밀로이드 베타' 단백질이 뇌에 얼마나 침착되었는지를 SUVR(표준섭취계수율)이라는 정량적 수치로 계산하고 시각화합니다.   
  • 차별점 (시장 적시성): 이 기능은 최근 '레카네맙' 등 알츠하이머 신약이 등장하면서 그 중요성이 폭발적으로 증가했습니다. 이 신약들은 아밀로이드 베타 침착이 확인된 환자에게만 처방이 가능하므로, '스케일 펫'은 신약 처방 대상자를 선별하는 필수적인 진단 도구로 포지셔닝됩니다.   

산업 내 독점적 포지셔닝: '진단'과 '모니터링'의 듀얼 모달리티(Dual-Modality)

뉴로핏의 진정한 강점은 이 두 제품을 모두 보유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알츠하이머 신약 치료 사이클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진단) 환자가 신약 처방 대상인지 확인 (아밀로이드 여부) -> 'SCALE PET' 필요.   
  2. (치료) 신약 투여.
  3. (모니터링) 신약의 심각한 부작용인 'ARIA'(뇌 부종 및 미세출혈) 발생 여부 추적 -> 'AQUA' (MRI) 필요.   

즉, 뉴로핏은 글로벌 제약사나 대형 병원 입장에서 (1)신약 처방 대상자 '선별'과 (2)처방 후 부작용 '모니터링'이라는 치료의 전 주기 를 원스톱으로 해결해 줄 수 있는 유일무이한 파트너입니다. 이는 단순한 진단 기업을 넘어 '치료 플랫폼' 기업으로서의 가치를 가집니다.   


2. 기업의 현재 재무상태를 설명하고, 이익을 기준으로 미래의 재무상태를 추정한다

현재 재무상태 (2025년 2분기 기준): 'J-커브'의 골짜기

뉴로핏의 2025년 2분기(4~6월) 실적은 전형적인 '기술특례상장' 기업의 초기 재무 상태를 보여줍니다.

  • 매출액: 7억 5,521만 원    
  • 영업손실: -33억 6,920만 원    

매출은 아직 미미한 반면, 영업손실 규모가 분기당 33억 원을 넘어서고 있습니다. 이는 '계획된 적자'입니다.

적자의 원인: 글로벌 확장을 위한 선제적 투자

뉴로핏은 2025년 7월 상장(IPO)을 통해 약 280억 원의 자금을 조달했습니다. 이 자금은 IPO 계획서에 명시된 대로 다음과 같은 목적에 공격적으로 투입되고 있습니다.   

  1. 연구개발(R&D) 비용: 'AQUA AD'(부작용 모니터링 특화) 등 제품 고도화 , 2025년 경상연구개발비만 70억 원 투입 계획.   
  2. 해외 사업 확장: 미국 및 일본 시장 진출을 위한 협력사 네트워크 강화, 마케팅, 현지 법인 설립 및 인력 채용.   

2분기의 33.7억 적자는 이러한 미래 성장을 위한 R&D 및 글로벌 인프라 구축 비용이 선반영된 결과입니다.

미래 재무상태 추정: 2027년 흑자전환 시나리오와 '현금 활주로'

뉴로핏은 공식적으로 2026년 매출 165억 원, 2027년 흑자전환을 목표로 제시했습니다. 이 목표 달성의 핵심 변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일본 시장 (매출의 현실화): 2024년 7월, '아쿠아'와 '스케일 펫'이 일본에서 보험 급여(수가) 적용을 받기 시작했습니다. 이는 '연구용'이 아닌 '진료용'으로 병원에서 사용될 때마다 지속적인 매출이 발생함을 의미합니다.   
  2. 미국 시장 (성장의 가속화): 2025년 10월, 세계 최대 시장인 미국에 현지 법인을 설립했습니다. 미국 시장 안착 여부가 2026년 165억 매출 달성의 관건입니다.   

다만, 투자자는 '현금 활주로(Cash Runway)'를 냉정하게 계산해야 합니다. IPO 조달 자금 280억 원  대비 분기 손실이 33.7억 원 임을 감안하면, 산술적으로 약 8분기(2년) 남짓의 운영 자금입니다. 미국 법인 설립 과 R&D 인력 충원 으로 2025년 하반기 및 2026년의 '현금 소진(Cash Burn)' 속도가 더 빨라질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2026년(매출 165억 목표)은 뉴로핏에게 '선택'이 아닌 '생존'의 해입니다. 2026년까지 일본과 미국에서 유의미한 매출 성장을 증명하지 못한다면, 2027년 흑자전환 이전에 *추가 자금 조달(유상증자)*의 리스크에 직면할 수 있습니다.


3. 현재 기업이 어떤 테마주인지 조사한다

뉴로핏은 현재 시장에서 3가지 강력한 테마의 교집합에 위치해 있습니다.

  1. AI 의료 테마 (핵심): AI를 의료 영상(MRI, PET) 분석에 적용하는 '의료AI' 테마의 핵심 종목입니다. 9월 말 '아쿠아'의 임상 유효성 입증 뉴스 가 주가를 급등시킨 바 있습니다.   
  2. 치매 테마 (핵심): 알츠하이머병 조기 진단  및 치료제 부작용 모니터링  솔루션을 보유하여, '치매 관련주'로 상장 당시부터 큰 주목을 받았습니다.   
  3. 제약/바이오 테마: 기술특례상장 기업으로, 전반적인 제약/바이오 섹터의 투자 심리에도 동조화됩니다.   

테마 분석: '골드러시'의 '곡괭이' 판매상

시장은 알츠하이머 '신약 개발'에 열광하지만, 이는 성공 확률이 낮은 고위험(High-Risk) 투자입니다. 반면 뉴로핏은 '진단'에 속합니다.   

1850년대 골드러시에서 가장 큰돈을 번 사람은 금을 캐던 광부가 아니라, 그들에게 '청바지'와 '곡괭이'를 팔던 리바이 스트라우스였습니다. 현재 알츠하이머 시장이 '골드러시'라면, 수많은 제약사들은 '광부'입니다.

뉴로핏은 이 모든 광부(제약사)에게 (1)진단용 '곡괭이'(스케일 펫) 와 (2)모니터링용 '작업복'(아쿠아) 을 판매합니다. 특정 신약의 성공 여부와 관계없이, 알츠하이머 신약 시장 자체가 열리는 것만으로도 수혜를 입는 '시장 개화의 필수재(Pickaxe)' 테마입니다. 이는 신약 개발사보다 훨씬 안정적인 투자 포인트입니다.   

'테마주'에서 '섹터'로의 진화

더 중요한 것은, 뉴로핏이 단순 '테마주'에서 '성장주'로 진화하고 있다는 사실입니다. 2024년 7월 일본 보험 '수가'(급여) 적용 은 그 변곡점입니다. '수가' 적용은 뉴로핏의 솔루션이 '있으면 좋은 것'(Nice-to-have)이 아닌, '돈이 되는 필수 진료 행위'(Must-have)로 인정받았음을 의미합니다. 이는 지속가능한 매출 구조가 확립되기 시작했음을 시사합니다.   


4. 현재 기업에 어떤 이슈가 있는지, 그리고 향후 어떤 이슈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지 조사한다

뉴로핏은 2025년 하반기, 상장 이후 가장 역동적인 이슈의 중심에 있습니다.

현재 진행 중인 핵심 이슈 (2025년 9-10월)

  • [매우 긍정적] 미국 법인 설립 (2025.10): 세계 최대 의료 AI 시장이자 알츠하이머병 환자가 가장 많은  미국에 100% 출자 법인을 설립했습니다. 이는 IPO 자금 을 활용한 글로벌 진출의 본격적인 신호탄입니다.   
  • [긍정적] FDA 추가 승인 (2025.10): 주력 제품 '아쿠아'가 기존 치매 영역 외에 '다발성 경화증(MS)' 분석 기능으로 FDA 510(k) 확대 승인을 받았습니다. 이는 미국 시장 에서 판매할 수 있는 적용 범위(TAM)를 넓힌 중요 이벤트입니다.   
  • [긍정적] 임상 유효성 입증 (2025.09): 싱가포르 난양공대 병원 임상에서 '아쿠아'가 전문가 수준의 높은 정확도와 20분 미만의 압도적인 분석 속도를 입증했다는 연구 결과가 국제 학술지에 게재되었습니다. 이는 9월 말 주가를 22,800원 까지 끌어올린 직접적인 호재였습니다.   
  • [긍정적] 국내외 도입 확산: 일본에서 보험 수가 적용 으로 1,350개 의료기관  대상 영업이 본격화되었으며, 국내에서도 건국대병원  등 상급 병원 도입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향후 발생 가능성이 높은 핵심 이슈 (2025년 11월 ~ 2026년)

  • [단기 리스크] 2025년 3분기 실적 발표 (11월 중순):
    • IPO 이후 첫 분기 실적 발표입니다. 시장은 (1)일본 수가 적용 으로 인한 매출이 얼마나 잡히는지, (2)미국 법인 설립  등으로 인한 영업손실 폭이 2분기(-33.7억) 대비  얼마나 커졌는지 주목할 것입니다.   
    • 예상: 재무 파트에서 분석했듯, 현금 소진 속도에 대한 우려가 부각될 경우 단기 주가 조정의 빌미가 될 수 있습니다.
  • [중기 핵심 모멘텀] FDA 'AQUA AD Plus' 승인 (2026년 1분기 목표):
    • IPO 공시 에 따르면, 알츠하이머 치료제 '부작용'(ARIA) 모니터링에 특화된 'Neurophet AQUA AD Plus v3.0'의 FDA 510(k) 승인을 2026년 1분기에 획득할 목표입니다.   
    • 예상: 이는 '곡괭이' 테마를 완성하는 핵심 허가입니다. 승인 시, 글로벌 제약사와의 대규모 파트너십으로 이어질 수 있는 가장 강력한 모멘텀입니다.
  • [장기 리스크] 유럽 CE MDR 인증 (2028년 1분기 목표):
    • 유럽의 신규 의료기기 규정(CE MDR)은 기존(CE MDD)보다 훨씬 까다롭습니다. 뉴로핏 'SCALE PET'의 CE MDR 목표 시점은 2028년 1분기 로 매우 깁니다. 이는 유럽 시장 진출이 미국/일본 대비 후순위임을 의미합니다.   

5. 2025년 11월 30일 주가를 예측한다

네이버 차트 링크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aver?code=380550

오늘 주가에 영향을 주었던 뉴스들

2025년 11월 초 현재, 주가 22,700원 수준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주요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긍정] "뉴로핏, '아쿠아' 美 FDA 다발성 경화증 확대 승인" : 미국 시장 공략 에 맞춰 제품 포트폴리오가 강화되었다는 소식.   
  2. [긍정] "뉴로핏, 美 법인 설립 완료... 글로벌 최대 알츠하이머 시장 입지 강화" : IPO 자금 사용 계획 의 실질적인 이행.   
  3. [중립/부정] "뉴로핏, 기관 1주간 50만 주 순매도... 차익 실현 물량 부담" : 9월 말 급등 에 따른 기관 투자자(IPO 14,000원 배정)의 이익 실현 매물이 주가 상단을 누르고 있습니다.   

주가 상승 또는 하락의 원인 요약 (2025년 11월 30일까지)

  • [상승 요인] (1) 11월 중순 3분기 실적 발표에서 일본 매출  예상보다 강하게(Surprise) 잡힐 경우. (2) 미국 법인 의 첫 공급 계약 등 예상치 못한 호재 발생 시.   
  • [하락 요인] (1) (가장 가능성 높은 시나리오) 3분기 실적이 '기대 이하(Shock)'일 경우. 매출은 미미한데, 미국 법인 설립 비용 등으로 손실 폭이 Q2(-33.7억)보다 커지면 , 현금 소진 우려로 인한 실망 매물 출회. (2) IPO 기관 투자자의 지속적인 차익 실현.   

2025년 11월 30일 주가 예측: 20,500원

  • 객관적 예측 근거: 현재가(22,700원)는 9월 말 임상 데이터 와 10월 미국 법인 설립  호재가 상당 부분 반영된 가격대입니다. 당장 11월 말까지 주가를 추가로 끌어올릴 강력한 모멘텀이 부재한 상황에서, 11월 중순의 '3분기 실적 발표'라는 불확실한 이벤트를 앞두고 있습니다.   
  • 일본 수가 와 미국 진출 이 3분기(7~9월) 실적에 즉각적으로 기여하기는 시기상조입니다. 따라서 시장은 실적 발표를 기점으로 단기적인 '사실 확인(Sell on Fact)' 과정과 차익 실현 매물  소화 과정을 거칠 가능성이 높습니다. 9월 급등  이전의 지지선(약 20,000원) 부근으로 회귀하는, 건강한 조정(Pullback)을 예상합니다.   

향후 25년 11월 30일까지 예상되는 저점

  • 가격: 18,500원
  • 예측 확률: 60%
  • (근거: 3분기 실적 발표에서 영업손실 폭이 예상(Q2 수준)보다 크게 확대될 경우, '현금 소진' 우려가 부각되며 단기 투매가 발생할 수 있는 가격대입니다. 9월 랠리의 시발점 부근이며 기술적으로 강한 지지선입니다.)

향후 25년 11월 30일까지 예상되는 고점

  • 가격: 26,000원
  • 예측 확률: 40%
  • (근거: 3분기 실적에서 일본 매출이 놀라운 수준으로 반영되거나, 예상치 못한 미국 병원 공급 계약이 발표될 경우. 9월 말 고점(22,800원)을 넘어설 수 있으나, 11월 내 발생 확률은 상대적으로 낮습니다.)

6. 현재 외국인의 평균 매수 가격대

  • 20,000원 ~ 20,500원 (추정)
  • 외국인은 최근 1주일 1만 주 순매수 로, 수급 영향력은 미미합니다. 10월 20일경 의 주가 수준에서 소극적으로 매수 중인 것으로 보입니다.   

7. 현재 기관의 평균 매수 가격대

  • 14,000원 (IPO 물량) + @
  • 기관은 현재 매도 주체입니다. (1주 49.7만 주 순매도).   
  • 이들의 핵심 평균 단가는 IPO 공모가인 14,000원입니다. 현재 주가(22,700)는 이들에게 60% 이상의 수익 구간이므로, 차익 실현 욕구가 매우 강합니다. 이들의 매도 물량이 주가 상방을 누르는 가장 큰 요인(Overhang)입니다.   

8. 현재 세력들의 평균 매수 가격대

  • 19,500원 (추정)
  • 여기서 '세력'을 IPO 이후 주가를 핸들링한 '스마트 머니'로 정의합니다.
  • 이들의 1차 매집은 상장 초기(7-8월) 횡보 구간, 2차 매집은 9월 말 급등  직전으로 추정됩니다. 9월 랠리의 지지선이자 거래량이 집중된 가격대인 19,000원 ~ 20,000원이 이들의 실질적인 평단가이자 기술적 지지선으로 보입니다.   

9. 향후 25년 11월 30일까지 매수, 매도 방법을 설명한다

단기(11월 30일까지) 투자 전략은 '3분기 실적 확인 후 대응' (Event-Driven Strategy)입니다.

  • 신규 매수자 (Buy):
    • 금지: 11월 중순 3분기 실적 발표  매수는 불확실성에 베팅하는 '도박'입니다.
    • 매수 시점: 실적 발표 후, [예상 저점]인 18,500원 ~ 19,500원 구간까지 주가가 하락할 경우.
    • 매수 근거: 이는 실적 불확실성이 해소되고, 세력의 평단가(지지선)에 근접하는 가장 안전한 매수 타점입니다.
  • 보유자 (Hold/Sell):
    • IPO(14,000원) 보유자: 현재 60% 이상 수익권입니다. 기관 처럼 비중의 30~50%를 분할 매도하여 수익을 확정하는 것이 현명합니다.   
    • 단기 보유자: 실적 발표가 '서프라이즈'로 작용하여 [예상 고점]인 26,000원 부근까지 급등한다면, 단기 차익 실현을 권고합니다.
    • 중장기 보유자: 단기 변동성을 감내하고, 핵심 모멘텀인 '2026년 1분기 FDA 승인' 과 '2027년 흑자전환' 을 보고 투자를 지속합니다.   

10. 해당기업의 6개월 이내 공시를 알려주고 내용을 설명한다

최근 6개월(2025년 5월 ~ 11월) 사이 뉴로핏의 핵심 공시는 IPO 과정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1. [반기보고서 (2025.08.14)]    
    • 내용: 2025년 2분기(4~6월) 실적 공시. 매출 7.6억, 영업손실 33.7억.
    • 설명: 상장 직후 발표된 첫 실적 보고서입니다. IPO 자금 을 활용한 R&D 및 해외 진출  준비로 '계획된 적자'가 발생하고 있음을 공식적으로 확인시켜 준 공시입니다.   
  2. [투자설명서 (최종, 2025.07.14)]    
    • 내용: 공모가 14,000원  확정, 총 280억 원 자금 조달.   
    • 설명: 뉴로핏 투자의 '교과서'입니다. 자금 사용 계획(R&D 70억 등) , 향후 인허가 로드맵(2026 1Q FDA  / 2028 1Q CE MDR ), 그리고 "진입장벽이 높지 않다" 는 리스크까지 상세히 명시되어 있습니다.   
  3. [코스닥시장 신규상장 (2025.07.25)]    
    • 내용: 뉴로핏 코스닥 시장 상장.
    • 설명: '치매 관련주' 로 시장의 주목을 받으며 성공적으로 증시에 입성했음을 알린 공시입니다.   

11. 해당 기업의 최신 뉴스 링크(3개)한다

2025년 9월~10월의 가장 최신 핵심 뉴스를 선별하였습니다.

  1. **** Neurophet Secures FDA 510(k) Clearance for Multiple Sclerosis Analysis with 'Neurophet AQUA' (2025.10.31 추정)    
  2. [미국 법인 설립] 뉴로핏, 미국 법인 설립… 글로벌 최대 알츠하이머병시장서 입지 공고화 (2025.10.14)    
  3. [임상 데이터 확보] 뉴로핏, '뉴로핏 아쿠아' 임상 유효성 입증 연구 국제학술지 게재 (2025.09.29)    

12. 해당 기업이 주력하는 향후 산업 전망 및 기업의 실적, 향후 수주를 추정한다

향후 산업 전망: 30% 고성장 + '알츠하이머' 특수

'의료 영상 AI 시장'은 2026년 23억 달러에서 2035년 259억 달러로, 연평균 **30.6%**의 폭발적인 성장이 예상됩니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뉴로핏이 속한 '뇌질환 AI' 및 '알츠하이머 진단' 시장은 전체 시장 성장률 보다  빠르게 성장할 것이라는 점입니다. 알츠하이머 신약의 등장은  이전에는 존재하지 않았던 '치료제 처방을 위한 진단 시장'이라는 신규 시장을 창출했기 때문입니다.   

향후 실적 추정: 2026년이 분기점

  • 2025년(하반기): 미국 법인 설립  및 R&D 투자 로 적자 폭은 2분기 와 비슷하거나 확대될 것입니다.   
  • 2026년: 회사의 목표(165억 원)  달성을 위해, (1)일본 시장 에서 가시적인 매출과 (2)미국 시장 에서의 계약 성과가 반드시 나와야 합니다. 2026년 1분기 'AQUA AD Plus' FDA 승인 이 실적 턴어라운드의 핵심 기폭제가 될 것입니다.   

향후 수주 추정: B2B(병원)와 B2P(제약사) 투트랙

  1. B2B (병원): 국내 와 일본  병원 도입 사례를 레퍼런스로 미국 시장 공략 에 집중할 것입니다. 2026년 내 미국 'Key Opinion Leader(KOL)'급 병원 1~2곳을 확보하는 것이 단기 목표입니다.   
  2. B2P (제약사): 뉴로핏의 최종 목표는 'AQUA AD Plus' 를 알츠하이머 신약 모니터링 표준으로 만드는 것입니다. 이는 글로벌 제약사와의 임상시험 또는 신약 상용화에 따른 대규모 B2B(B2P) 공급 계약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는 병원향(B2C) 매출보다 훨씬 큰 규모일 수 있습니다.   

13. 그 외 해당 기업 주식을 거래하는데 참고해야 할 대외, 내외적인 상황 및 기업 현황을 설명한다

대외 변수 (External Factors: 리스크/기회)

  1. [리스크] 경쟁 심화: IPO 투자설명서  스스로 "진입장벽이 높지 않다"고 인정했습니다. 국내의 뷰노(Vuno) 를 비롯해 수많은 국내외 AI 기업들이 뇌질환 시장에 진출하고 있습니다. 시장 선점  속도 경쟁에서 밀리면 리스크가 됩니다.   
  2. [리스크] 치매 신약의 상업적 성공 여부: 뉴로핏의 '곡괭이' 전략 은 '골드러시' 자체에 달려있습니다. 만약 알츠하이머 신약이 비싼 가격이나 부작용 문제로 시장에서 외면받는다면, '진단'과 '모니터링' 솔루션에 대한 수요 역시 기대에 미치지 못할 수 있습니다.   
  3. [기회] 규제의 이중성: FDA 나 CE MDR  같은 강력한 규제는 시장 진입을 늦추는 '허들'이지만, 동시에 자본과 기술력이 없는 신규 경쟁자들의 진입을 막는 '경제적 해자(Moat)'로도 작용합니다.   

대내 변수 (Internal Factors: 리스크/기회)

  1. [최대 리스크] 현금 소진 속도: 재무 파트에서 분석했듯, 280억의 IPO 자금  대비 분기 33.7억 의 손실은 2027년 흑자전환  목표까지의 '현금 활주로'가 매우 빠듯함을 시사합니다. 2026년 매출 성장이 담보되지 않으면 유상증자 리스크가 상존합니다.   
  2. [리스크] IPO 오버행(Overhang): 기관 투자자 는 공모가 14,000원  대비 이미 60% 이상 수익 중입니다. 이들의 지속적인 차익 실현 매물은 주가 상승에 큰 부담(공급)으로 작용합니다.   
  3. [기회] 인허가 역량: 뉴로핏은 한국(MFDS), 미국(FDA 510k), 유럽(CE MDD), 일본(MHLW) 등 주요 시장의 인허가를 이미 확보한  경험과 노하우가 있습니다. 이는 'AQUA AD Plus'  등 후속 제품의 인허가 성공 가능성을 높여주는 강력한 내부 역량입니다.   

※ 본 보고서는 2025년 11월 4일 기준 수집된 자료 를 바탕으로 작성된 투자 참고 자료입니다. 제공된 정보는 객관성을 지향하나 완전성을 보장하지 않으며, '티스토리 블로그 최적화'를 위해 일부 재가공되었습니다. 모든 투자의 최종 결정과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