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사람들 분석 및 예측(유효기간: ~25.11.30)

[링크] 오디오로 듣기

좋은사람들 (033340) 투자 위험 분석

좋은사람들 (033340)

투자 위험 분석 리포트

주권매매거래 정지

최종가 (2024.03): 1,587원

본 분석은 2025년 11월 4일 기준의 가상 정보이며, 현재 회사가 처한 심각한 상장폐지 리스크를 기반으로 합니다.

거래정지의 핵심 원인

'좋은사람들'은 경영진의 횡령·배임 혐의가 발생하였고, 이로 인해 내부 회계통제 시스템이 붕괴되었습니다. 그 결과, 회계법인으로부터 '의견거절'을 받아 상장폐지 사유가 발생하였고, 현재 거래가 정지된 상태입니다.

💰

경영진 횡령·배임

내부통제 붕괴

📄

감사 '의견거절'

회계 신뢰도 상실

🚫

거래정지

상장폐지 사유 발생

연속된 재무 상태 악화

수년간 지속된 영업손실은 현금 유동성을 고갈시키고 자본을 잠식시켰습니다. 이는 '의견거절'의 재무적 배경이 되었습니다.

2025년 11월 30일, 운명의 시나리오

개선기간 만료 후, '좋은사람들'이 마주할 시나리오는 극명하게 갈립니다. 횡령·배임 및 의견거절 사유를 해소하는 것은 매우 어렵기에, 객관적인 상장폐지 확률이 압도적으로 높습니다.

시나리오별 예상 주가

거래재개 시 폭등을 기대할 수 있으나, 상장폐지 시 모든 가치는 0원에 수렴합니다.

현재 투자자 구성 (추정)

기관과 외국인은 리스크 관리로 이탈했으며, 대부분의 물량은 개인 투자자가 보유 중입니다.

핵심 투자 전략 요약

신규 투자자 전략

매수 절대 금지

현재 거래정지 상태로 매수가 불가능하며, 거래가 재개된다 해도 이는 '투자'가 아닌 '도박'입니다. 상장폐지 시 전액 손실 위험이 있습니다.

⚠️ 기존 보유자 전략

거래재개 시 '즉시' 매도

기적적으로 거래가 재개된다면, 이는 마지막 '탈출 기회'일 확률이 높습니다. 본전 욕심보다 원금 회수를 최우선 목표로 삼아야 합니다.

면책 조항: 본 자료는 2025년 11월 4일 가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작성된 정보 제공용 인포그래픽이며, 투자 권유를 목적으로 하지 않습니다. '좋은사람들'은 상장폐지 위험이 극도로 높은 초고위험군 종목입니다. 모든 투자의 최종 결정과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좋은사람들(033340): 펀더멘털과 테마의 괴리, 객관적 주가 분석

1. 기업 분석: 좋은사람들, 주력 제품 및 산업 현황

핵심 비즈니스 모델: 패션 이너웨어 전문 기업

(주)좋은사람들(033340)은 1993년 설립되어, 과거 '백물내의'로 불리던 단순한 흰색 속옷 위주의 시장에서 '패션내의'라는 새로운 카테고리를 창출하며 성장한 대한민국 1세대 이너웨어 전문 기업입니다.1 1997년 코스닥 시장에 상장하였으며, 소비자 니즈의 세분화, 트렌드 변화에 맞춰 다양한 브랜드를 운영하며 이너웨어 산업의 고부가가치화를 선도해왔습니다.1

(1) 핵심/레거시 브랜드 포트폴리오

좋은사람들의 시장 인지도와 과거 캐시카우는 다음과 같은 핵심 브랜드들로부터 나옵니다.2

  • 보디가드 (Bodyguard): 회사의 대표 브랜드이자 대중적 인지도가 가장 높은 브랜드입니다.
  • 예스 (Yes): 젊은 층을 타깃으로 한 캐주얼 이너웨어입니다.
  • 섹시쿠키 (Sexy Cookie): 란제리 중심의 섹시한 이미지를 강조하는 브랜드입니다.1
  • 제임스딘 (James Dean): 주로 남성 이너웨어 및 라이프스타일 웨어를 다룹니다.

(2) 신성장 동력: 2023-2024 신규 브랜드 포트폴리오

회사는 2022년 상장폐지 위기 및 회생절차를 겪은 후4, 경영 정상화 과정에서 브랜드 포트폴리오의 대대적인 개편을 단행했습니다. 특히 2023년부터 2024년 초까지 집중적으로 신규 브랜드를 론칭하며 외형 확대에 주력했습니다.5

  • 츄츄안나 (TUTUANNA) (2023년 도입): 일본의 유명 패션 브랜드로, 이너웨어를 넘어 양말, 이지웨어 등 여성 토탈 라이프스타일로 카테고리를 확장하는 신규 사업입니다.5
  • 뉴 보디가드 (New Bodyguard) (2023년 9월): 기존 대표 브랜드 '보디가드'를 리뉴얼하여 노후화된 이미지를 개선하고자 했습니다.5
  • 에스까다 (ESCADA) (2024년 3월 말 론칭): 독일 럭셔리 패션 브랜드 '에스까다'의 언더웨어 국내 독점 판권을 확보하여 프리미엄 시장을 공략합니다.4
  • 후포 (Hupo) (2024년 2월 론칭): 트렌드에 민감한 온라인 채널 전용 브랜드입니다.5
  • 아이릴리 (I-Lili) (2024년 4월 말 론칭): 신규 론칭 브랜드입니다.5

2023년부터 1년이 채 안 되는 기간에 5개의 신규 및 리뉴얼 브랜드를 집중적으로 출시한 것은, 단순한 포트폴리오 다각화를 넘어선 생존을 위한 절박함으로 해석됩니다. 이는 기존 레거시 브랜드의 경쟁력 약화와 노후화가 그만큼 심각했음을 방증합니다.

(3) 산업 분석: 경쟁 및 한계

국내 이너웨어 산업은 BYC, 비비안, 쌍방울 등 전통적인 강자들이 확고한 입지를 다지고 있는 성숙 시장입니다.6 좋은사람들은 오랜 업력에도 불구하고 "신선한 브랜드 이미지가 부족하다"는 명확한 한계를 인지하고 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 트렌드 기반의 신규 브랜드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5

2. 재무 상태 진단 및 2025년 실적 추정

(1) 현재 재무 상태: '외화내빈'의 실적 (2023-2025)

좋은사람들의 재무 상태는 '턴어라운드 성공'과 '위기 재발'이라는 상반된 신호가 혼재되어 있습니다.

  • 2023년 (연간): 매출 902억 원을 달성, 전년(826억) 대비 9.22% 성장했습니다.5 특히 2022년 하반기부터 5분기 연속 흑자를 기록하며7, 2022년 오너리스크와 상장폐지 위기에서 벗어나 턴어라운드에 성공하는 듯 보였습니다.
  • 2024년 1분기 (분기): 그러나 2024년 1분기, 매출은 160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9% 급감했습니다. 영업이익은 22억 원 적자, 당기순손실 23억 원 적자를 기록하며 흑자 기조가 꺾였습니다.5
  • 2025년 상반기 (반기): 2025년 2분기8 매출은 206.2억 원, 영업이익은 9.7억 원 적자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전년 동기(2024년 2분기, 9.6억 원 흑자) 대비 다시 적자로 전환된 것입니다.3 2025년 상반기 누적(연결기준)으로도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17.2% 감소했으며,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 모두 적자 전환했습니다.3

표 1: 좋은사람들 핵심 재무 현황 (2023-2025)

기간 매출액 (억 원) 영업이익 (억 원) 비고 (자료)
2023년 (연간) 902 N/A (흑자 기조) 9.22% 성장 [5, 7]
2024년 1분기 160 -22 (적자) 론칭 지연으로 19% 급감 5
2025년 2분기 206.2 -9.7 (적자) 전년비 적자전환 3

(2) 이익 분석: 흑자 전환 실패의 원인

2024년 1분기 흑자 기조가 무너진 표면적 원인은 신규 브랜드 '에스까다'(1월→3월)와 '아이릴리'(계획→4월)의 론칭 연기입니다.5

주목할 점은, 2024년 1분기 매출이 19% 급감하자 판매관리비(110억→104억)와 매출원가(83억→78억)를 줄이는 비용 절감 노력에도 불구하고 22억 원의 영업적자를 막지 못했다는 것입니다 [5". 이는 매출이 19% 급감하는 동안 비용은 10%도 채 줄이지 못했다는 것을 의미하며, 고정비 비중이 높아 매출 하락 시 이익이 급격히 붕괴되는 '역(逆)의 영업 레버리지' 리스크를 노출시킵니다.

(3) 미래 재무 추정 (2025년 연간)

회사는 2024년 연매출 목표를 1,000억 원으로 제시했으나5, 2024년 1분기(160억) 및 2025년 상반기3 실적 부진으로 인해 목표 달성은 사실상 불가능해 보입니다.

2024년 1월 '5분기 연속 흑자' 기사7가 나온 직후, 2024년 1분기 22억 적자5로 돌아섰습니다. 이는 2023년의 흑자가 M&A 이후의 구조조정이나 일시적인 재고 관리 등에 기인한 것일 뿐, 구조적인 체질 개선은 아니었을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따라서 2025년 상반기의 적자 기조3를 '뉴 노멀(New Normal)'로 간주해야 할 필요성이 있습니다. 2025년 연간 실적은 2023년(902억) 수준을 하회할 가능성이 높으며, 영업이익은 연간 적자를 기록할 것으로 추정됩니다. 유일한 변수는 '아이릴리'의 완판 예상, '에스까다'의 홈쇼핑/온라인 채널 확대5가 하반기에 폭발적인 성과를 내는 것이나, 현재 데이터는 비관적입니다.

3. 현재 테마주 분류: '남북경협' 테마 상세 분석

(1) 테마 편입 근거: 개성공단 입주 이력

좋은사람들은 과거 개성공단에 '좋은사람들개성1공장'이라는 생산기지를 보유하고 있었습니다.3 이 이력으로 인해 남북 관계의 변화, 특히 '개성공단 재개' 또는 '북미 관계 개선' 관련 기대감에 직접적으로 반응하는 핵심 '남북경협' 테마주로 시장에서 분류됩니다.2

(2) 테마의 강도: 펀더멘털을 압도하는 주가 변동성

이 테마는 기업의 본질적 가치(재무 상태)와 완전히 무관하게 작동합니다.

  • 2025년 10월 20일: "북미 정상회담 기대감" (CNN 보도 인용)이라는 뉴스9만으로 주가가 12% 이상 급등했습니다.
  • 2025년 11월 3일: "남북경협 테마 상승세"에 편승하며 당일 21.86% 폭등했습니다.10

이러한 주가 급등은 2024년 1분기부터 2025년 상반기까지 이어진 심각한 영업적자 상태3와는 정반대의 움직임입니다. 이는 현재 좋은사람들의 주가 1,587원이 재무제표가 아닌, 오직 정치적 기대감에 의해서만 결정되고 있음을 명확히 보여줍니다. 따라서 재무제표 분석은 현 주가를 설명하거나 미래를 예측하는 데 거의 기여하지 못합니다.

개성공단 테마는 시장에 매우 오래된 '레거시 테마'입니다. 이는 (1) 관련 뉴스11에 대한 시장의 반응 속도가 매우 빠르고 강력함10을 의미하며, (2) 동시에 '기대감'만으로는 한계가 명확하여, '개성공단 재개'와 같은 구체적인 후속 조치가 없다면 재료가 빠르게 소멸됨을 의미합니다. 최근 주가 차트12에서 확인되듯이, 기대감으로 폭등했다가 뉴스가 소멸하자 폭락하는 전형적인 롤러코스터 패턴을 보입니다.

4. 현존 이슈 및 잠재 리스크 점검

(1) 현재 이슈 (표면적)

  • [Positive] 정치적 이벤트: 2025년 10월 및 11월 현재, '북미 정상회담 기대감'9이 주가를 견인하는 유일하고도 가장 강력한 긍정적 이슈입니다.
  • [Negative] 실적 압박: 2025년 상반기 연속 적자5로 인해, 턴어라운드 실패와 펀더멘털 악화에 대한 시장의 우려가 상존합니다.

(2) 잠재적 이슈 (심층적 리스크): '기업 거버넌스'

좋은사람들의 가장 큰 리스크는 재무가 아닌 '신뢰'의 문제입니다.

  • 과거 이력 (2022년): 좋은사람들은 2022년, '상장폐지 위기' 직전까지 몰렸습니다.4
  • 사건의 본질: 당시 이종현 전 대표의 횡령 및 배임 혐의, 그리고 이로 인한 감사의견 거절7이 사태의 핵심이었습니다.
  • 경영권 분쟁: 이 전 대표 측과 소액주주연대 간에 극심한 경영권 분쟁이 발생했으며, 서로 다른 주주총회를 열어 임원을 등기하는 등14 법적 혼란이 극에 달했습니다.
  • 현재 상태: 2025년 현재 이 리스크는 법무법인 지평의 조력17과 M&A(OEM 업체 우리인터텍스에 인수18)를 통해 '회생절차 종료'4, '오너리스크 해소'7로 표면적으로 봉합된 상태입니다.

하지만 2022년의 사태는 단순한 악재가 아닌, 기업의 DNA에 남은 '흉터'입니다. 상장폐지 직전까지 갔던 기업은 시장 참여자들에게 '언제든 다시 문제가 생길 수 있다'는 잠재적 불안감을 줍니다. 이 '거버넌스 할인(Governance Discount)'은 펀더멘털이 개선되어도 주가가 일정 수준 이상 오르기 힘든 족쇄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2025년 9월 23일 공시19에 따르면, '주식회사파인우드프라이빗에쿼티'라는 PE(사모펀드)가 지분을 6.29%에서 5.39%로 줄였습니다. 이들은 M&A18나 회생17 과정에서 투입된 재무적 투자자(FI)일 가능성이 높으며, 이들의 목적은 경영이 아닌 '엑시트(투자금 회수)'입니다. 이들이 남북경협 테마11로 주가가 오른 틈을 타 차익 실현을 시작했다는 것은, 이 주식의 잠재적 매도 대기 물량(Overhang)이 상당함을 시사하는 중요한 리스크입니다.

5. 2025년 11월 30일 주가 예측 및 근거

(1) 예측의 전제: 객관성 유지를 위한 시나리오 기반 접근

현재 시점(~2025.11.03)은 남북경협 테마가 발생하여 주가가 급등10했다가, 차익 실현 매물로 인해 급락12한 직후의 '소강 상태'입니다. 현재 주가(1,587원)는 펀더멘털5로는 도저히 설명될 수 없습니다.

따라서 11월 30일의 주가는 펀더멘털이 아닌, '테마의 지속 여부'라는 단 하나의 변수에 의해 결정될 것입니다.

(2) 상승 시나리오 원인 (테마 지속)

10월/11월 초에 발생한 '북미 정상회담 기대감'11이 단순한 루머가 아닌, '회담 날짜 확정', '의제 조율', '종전 선언 논의' 등 구체적이고 긍정적인 후속 뉴스로 이어지는 경우입니다. 이 경우, 테마의 재료가 재점화되며 최근의 하락12을 만회하고 전고점13 돌파를 시도할 것입니다.

(3) 하락 시나리오 원인 (펀더멘털 회귀 / 테마 소멸)

11월 30일까지 북미 관계에 대한 아무런 후속 뉴스가 나오지 않거나, 오히려 '회담 무산' 등 부정적 뉴스가 나오는 경우입니다. 테마는 '재료 소멸'로 간주되어, 단기 투기성 자금이 급격히 이탈할 것입니다. 주가를 지지할 펀더멘털5이 부재하므로, 주가는 테마 발생 이전의 가격대로 회귀(하락)할 것입니다.

6. 네이버 차트 및 최근 주가 영향 뉴스

(1) 네이버 증권 차트 링크

독자들은 아래 링크를 통해 최근 1개월간 2,280원에서 1,587원으로의 급락12 등 극심한 변동성을 직접 확인해야 합니다.

[https://finance.naver.com/item/chart.naver?code=033340]

(2) 오늘(11월 3일) 및 최근 주가 영향 뉴스

  • 10 (2025.11.03): "특징주, 좋은사람들-남북경협 테마 상승세에 21.86% ↑"
    • 해석: 11월 3일 종가12는 당일 21% 이상 폭등했다가 상승분을 상당 부분 반납한 결과입니다. 이는 테마가 아직 살아있으나, 고점에서 강력한 매도 압력이 존재함을 보여줍니다.
  • 11 (2025.10.20): "[특징주] 좋은사람들, 북미정상 회동 기대감 +12%대 상승"
    • 해석: 10월 말 변동성의 시발점이 된 뉴스로, 테마의 시작을 알렸습니다.
  • 13 (2025.10.29): "좋은사람들, -10.99% VI 발동"
    • 해석: 10월 27일 2,280원13 고점을 찍은 후, 이틀 만에 -11% 폭락하며 변동성 완화장치가 발동될 정도로 투기성이 극심했음을 보여줍니다.

7. 2025년 11월 30일 예상 주가 범위 (확률 포함)

대략적인 가격대 (평균 예측치): 1,550원

  • 산출 근거: 아래의 두 시나리오(최저/최고)를 확률 가중 평균한 값입니다. [(1,250원 × 65%) + (2,100원 × 35%)] = 812.5 + 735 = 1,547.5원. 이는 현 주가(1,587원)가 두 시나리오의 기대값을 거의 반영하고 있는, 매우 합리적인 균형점임을 시사합니다.

(1) 향후 25년 11월 30일까지 예상되는 저점: 1,250원 (예측 확률: 65%)

  • 산출 근거: '하락 시나리오(테마 소멸)' 현실화. 정치적 이벤트는 구체화되지 않으면 소멸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확률 > 50%). 10월 급등11 이전의 주가 레벨, 혹은 그 이하로 복귀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1,250원은 테마 프리미엄이 완전히 제거되고 펀더멘털 악화5가 반영된 가격대입니다.

(2) 향후 25년 11월 30일까지 예상되는 고점: 2,100원 (예측 확률: 35%)

  • 산출 근거: '상승 시나리오(테마 지속)' 현실화. 후속 뉴스가 발생할 확률(35%)은 낮지만, 발생 시 파급력은 큽니다. 다만, 13에서 확인된 2,280원의 강력한 저항선과, 19(PE 매도)에서 확인된 '세력'의 차익 실현 물량을 고려할 때, 전고점을 강하게 돌파하기보다는 해당 구간(2,100원~2,200원)에서 다시 매물에 부딪힐 확률이 높습니다.

8. 수급 주체별 평균 매수 가격대 추정

(1) 현재 외국인의 평균 매수 가격대

[추정 불가]. 2에서 테마 상승 시 '외인 매수'가 언급되지만, 이는 프로그램에 의한 단기 트레이딩 수급일 뿐 장기적인 추세가 아닙니다. 이들의 평균 매수가는 테마성 단타 매매라 의미를 부여하기 어렵습니다.

(2) 현재 기관의 평균 매수 가격대

[추정 불가]. 위와 동일합니다. 2의 '기관 매수' 역시 단기적이며, 이 종목은 기관의 장기 투자 대상이 아닙니다.5

(3) 현재 세력들의 평균 매수 가격대

[추정 불가. 단, '매도' 가격대 추정 가능]

  • 산출 근거: 여기서 '세력'을 회생 과정에 참여한 '재무적 투자자(PEF)'로 정의할 경우, 19(2025.09.23 공시)에서 '파인우드 프라이빗에쿼티'의 동향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 분석: 현재 '세력'은 매수 중이 아닙니다. 오히려 매도 중입니다. 19에 따르면 이 PEF는 8월 11일~9월 23일 사이 87만 주를 장내 매도했습니다. 10월 말 주가가 2,200원대13였음을 감안하면, 이들은 현재가(1,587원)보다 훨씬 높은 가격에서 적극적으로 차익을 실현(매도)하고 있습니다. 이들의 원매수가는 회생절차4 또는 M&A18 단계의 초저가일 것이므로, 현재가는 이들에게 막대한 수익 구간입니다.

9. 향후 25년 11월 30일까지 매수/매도 방법

매수 전략 (Buy Strategy)

  • 접근법: '펀더멘털 매수'는 절대 금물입니다.5 오직 '테마 트레이딩' 관점으로만 접근해야 합니다.
  • 매수 시점 1 (공격적): 현 주가(1,587원)는 급락12 후 기술적 지지를 시도하는 구간입니다. '북미 회담 후속 뉴스'에 베팅하는 50:50의 고위험 매수입니다.
  • 매수 시점 2 (보수적): 북미 회담 관련 *새로운 긍정적 뉴스(ex. 날짜 확정)*가 보도되는 것을 확인한 직후 추격 매수합니다.
  • 손절선 (필수): 1,480원. 이 가격은 최근 급등 파동의 마지막 지지선이며, 이탈 시 '테마 소멸'로 간주하고 즉시 손절해야 합니다.

매도 전략 (Sell Strategy)

  • 목표: '세력'(PEF)이 매도하는 구간19에서 함께 매도해야 합니다.
  • 매도 시점 1 (수익 실현): 2,100원 ~ 2,250원..13 이 구간은 강력한 저항선이자 PEF의 엑시트 구간입니다. 욕심을 버리고 분할 매도합니다.
  • 매도 시점 2 (테마 소멸): 11월 3주 차까지 후속 뉴스가 전무할 경우, 11월 30일을 기다리지 말고 즉시 매도하여 재료 소멸 리스크를 회피해야 합니다.

10. 해당 기업의 6개월 이내 공시 및 내용 설명 (2025.05. ~ 2025.11.)

표 2: 6개월 주요 공시 요약 및 해석

접수일자 보고서명 주요 내용 전문가 해석
2025.05.15 분기보고서 (1Q) 2024년 1분기 실적. 영업손실 22억.5 2025년 3월 31일 기준.1 2023년 턴어라운드7 실패. 적자 전환 확인. 5에서 언급된 론칭 지연이 실적에 반영. '실행 리스크' 확인.
2025.08.14 반기보고서 (2Q) 2025년 2분기 실적. 영업손실 9.7억. 전년비 적자전환.8 2분기 연속 적자. 펀더멘털 악화 지속. 2025년 상반기 누적 17.2% 매출 감소.3
2025.09.23 주식등의대량보유상황보고서 주요주주 '파인우드PE', 87.8만 주 장내매도. 지분 6.29% → 5.39%.19 [매우 중요] '스마트 머니'의 엑시트(Exit) 신호. 주가가 오르는 틈을 타 투자자가 차익 실현 중. 잠재적 매도 물량(Overhang) 리스크.

11. 해당 기업의 최신 뉴스 링크 (3개)

  1. [특징주] 좋은사람들, 북미정상 회동 기대감 +12%대 상승 (전국매일신문, 2025.10.20)
  2. 좋은사람들, -10.99% VI 발동 (조선비즈, 2025.10.29)
  3. 특징주, 좋은사람들-남북경협 테마 상승세에 21.86% ↑ (매일경제, 2025.11.03)

12. 향후 산업 전망 및 기업의 실적, 향후 수주 추정

(1) 향후 산업 전망 (이너웨어)

국내 패션/이너웨어 산업은 2025년 약 5.2%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20 이는 견조한 성장이지만, 경쟁은 매우 치열합니다.6 트렌드는 오프라인에서 온라인5으로, 기본 기능에서 '라이프스타일'5로 카테고리가 확장되는 추세입니다.

(2) 기업 실적 및 수주 추정

  • 실적: 20의 리포트는 좋은사람들의 매출이 업계 성장(5.2%)과 달리 "최근 중기 매출 감소" 추세임을 지적합니다. 이는 경쟁사 대비 시장 점유율(M/S)을 잃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2025년 연간 적자가 유력합니다.3
  • 수주 (B2C 판매): 향후 실적은 전적으로 '에스까다'와 '아이릴리'의 성패에 달려있습니다.45은 '아이릴리' 수요 증가 및 완판 예상을 긍정적으로 보도했으나, 이것이 2025년 상반기3의 적자 폭을 만회할 정도의 규모인지는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회사는 현재 (1) 남북경협 테마11로 인해 주가가 인위적으로 부양된 상태에서 (2) 펀더멘털5은 현금을 소진하고 있습니다. (3) '세력'(PEF)은 이 시간을 이용해 엑시트하고 있습니다.19 경영진은 테마가 소멸하기 전까지 신규 브랜드(에스까다, 아이릴리)를 본궤도에 올려 실제 이익을 증명해야 하는 시간과의 싸움을 벌이고 있습니다.

13. 그 외 해당 기업 주식을 거래하는데 참고해야 할 대외, 내외적인 상황 및 기업 현황

(1) 대외 변수 (가장 중요)

  • 지정학적 리스크 (Geopolitics): 북미/남북 관계 관련 뉴스 플로우.9 이는 주가를 움직이는 유일한 '가속 페달'입니다. 이 변수가 없으면 주가는 펀더멘털로 회귀하며 하락할 수밖에 없습니다.

(2) 대내 변수 (가장 위험)

  • 과거 거버넌스 리스크 (Governance Risk): 2022년의 횡령, 배임, 경영권 분쟁14의 역사. 이는 주가의 '브레이크'이자 신뢰의 바닥입니다.
  • 경영 정상화 이행 여부 (Execution Risk): 회생절차 종료4 이후, 신규 브랜드를 성공적으로 론칭5하고 흑자를 유지7해야 하는 과제가 있습니다. 그러나 2024년 1분기 론칭 지연5과 2025년 상반기 적자8로 인해 이행 능력이 의심받고 있습니다.
  • 수급 리스크 (Supply Risk): 19에서 확인된 PEF의 지속적인 지분 매도(엑시트). 주가 상승 시마다 차익 실현 매물이 출회될 것입니다.

14. 면책 사항 고지

  • 본 보고서는 (주)좋은사람들(033340)에 대한 투자 판단을 돕기 위한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작성되었습니다. 본 보고서는 티스토리 블로그에 최적화된 형식으로 제공되며, 공개된 자료 및 데이터5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 본 보고서의 내용은 작성자의 합리적인 분석과 추정을 포함하고 있으나, 시장 상황, 기업 환경, 그리고 정치적 변수(남북 관계 등)의 급격한 변화에 따라 실제 결과와 다를 수 있습니다.
  • 특히 주가 예측(최고/최저/확률)은 객관성을 기하고자 하였으나, 본질적으로 불확실성을 내포하며 어떠한 경우에도 정확성을 보장하지 않습니다.본 보고서는 특정 종목의 매수 또는 매도를 권유하는 '투자 권유'가 아니며, 투자에 따른 모든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작성자는 본 보고서의 정보로 인해 발생하는 어떠한 투자 손실에 대해서도 법적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