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로보틱스 분석 및 예측(유효기간: ~25.11.30)

[링크] 오디오로 듣기

티로보틱스 (117730): 핵심 분석 및 2025년 말 주가 전망

티로보틱스 (117730) 심층 분석

핵심 사업, 재무 추정 및 2025년 말 주가 전망 (기준일: 2025년 11월 5일)

핵심 사업: 제조에서 모빌리티로의 진화

🏭

1. 진공 로봇 (Cash Cow)

반도체/디스플레이 제조 공정용 진공 로봇. 삼성, SK하이닉스 등 국내외 고객사에 공급하며 안정적인 현금 창출원 역할.

🤖

2. AMR 물류 로봇 (성장 동력)

자율주행 물류 로봇(AMR) 분야. 쿠팡 등 대형 이커머스 및 물류센터 자동화 수요에 힘입어 폭발적 성장 견인. (현재 주가 핵심)

🧑‍⚕️

3. 재활 로봇 (미래 신사업)

의료용 재활 로봇(T-Rehab X) 시장 진출. 2025년 3분기 식약처(MFDS) 품목 허가 획득으로 2026년부터 본격적인 매출 기대.

재무 상태 진단 및 2026년 실적 추정

2024년 AMR 부문의 본격적인 성장으로 턴어라운드에 성공했습니다. 2025년 3분기 누적 실적은 이미 2024년 전체를 초과 달성했으며, 강력한 수주 잔고를 바탕으로 2026년까지 고성장이 예상됩니다.

연간 실적 및 2026년 추정치 (단위: 억원). 2025년(E) 및 2026년(F)은 증권사 컨센서스 기반 추정치.

현재 주가를 움직이는 3대 핵심 테마

1. 3분기 어닝 서프라이즈

2025년 11월 4일 발표된 3분기 실적이 시장 예상을 30% 이상 상회하며 성장성을 증명. (매출 +150% YoY, OP 흑자전환)

2. 재활 로봇 식약처 허가

2025년 9월 15일, 신사업인 'T-Rehab X'가 MFDS 품목 허가를 획득. 고마진 의료기기 시장 진출이라는 새로운 성장 스토리가 부각됨.

3. AMR 수주 잔고 확대

국내외 물류 자동화 투자 확대로 AMR 수주 잔고가 2025년 말 기준 2,000억 원을 돌파할 것으로 예상. 이는 2026년 실적 가시성을 확보.

현재 이슈 및 잠재적 미래 이슈 (기회와 위기)

기회 (Opportunities)

  • 글로벌 이커머스 시장 성장에 따른 물류 자동화(AMR) 필수화
  • 고령화 사회 진입에 따른 재활 로봇 시장의 폭발적 개화
  • 정부의 로봇 산업 육성 정책에 따른 세제 및 R&D 지원
  • 반도체/디스플레이 전방 산업의 꾸준한 CAPEX 유지

위기 (Threats)

  • AMR 시장 내 중국산 저가 로봇과의 경쟁 심화
  • 높은 밸류에이션(PSR/PER)에 따른 기관/외국인 차익 실현 압력
  • 급격한 성장에 따른 CAPEX 증가 및 R&D 비용 부담
  • 주요 고객사(쿠팡, 삼성 등)에 대한 높은 매출 의존도

수급 분석 (최근 3개월)

최근 3개월간 기관 투자자가 21,000원대에서 강력한 매수세를 보이며 물량을 확보했습니다. 현재 주가(25,000원)는 개인 투자자의 평균 단가(27,000원)보다 낮아, 단기 매물 부담이 존재하나 기관의 지지선이 견고합니다.

주요 주체별 3개월 평균 매수 단가 및 현재 주가 비교 (2025.11.05 기준)

주가 예측 및 단기 전략 (2025년 11월 30일까지)

22,000 KRW
예상 저점 (-12%)
28,000 KRW
11월 30일 예측 종가
30,000 KRW
예상 고점 (+20%)

주가 예측 근거 (상승 우위)

[상승 근거 (Bullish)] 3분기 어닝 서프라이즈와 재활 로봇 모멘텀이 단기 주가 상승을 견인할 것입니다. 기관의 강력한 지지선(21,000원)이 하방을 경직시키고, 2026년 실적 가시성이 매우 높습니다.

[하락 근거 (Bearish)] 단기 급등에 따른 차익 실현 매물 및 27,000원대 개인 투자자 매물대가 저항선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밸류에이션 부담은 존재합니다.

단기 매매 전략 (11월 30일까지)

단기 가격대: 22,000원 ~ 30,000원 (-12% ~ +20%)
3분기 호실적을 확인한 기관의 매수세가 유입되는 22,000원 ~ 23,500원 구간에서 '조정 시 매수' (Buy on Dips) 전략이 유효합니다. 1차 목표가는 28,000원, 2차 목표가는 30,000원입니다.

면책 사항 고지

본 자료는 2025년 11월 5일 기준의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기반으로 작성된 투자 참고 자료이며, 투자 권유를 목적으로 하지 않습니다. 본 정보는 어떠한 경우에도 법적 근거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모든 투자 결정에 대한 최종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심층 분석 보고서] 티로보틱스(117730.KQ): 2026년, '약속'에서 '실적'으로 증명해야 할 시간

보고서 작성일: 2025년 11월 5일


1. Executive Summary: 투자 논제 및 핵심 전망

투자 논제 요약

티로보틱스는 전통적인 FPD(평판디스플레이) 및 반도체 진공 로봇 사업에서 2차전지 및 방산 분야의 AMR(자율이동로봇) 솔루션 기업으로 전환하는 '고위험-고수익(High-Risk, High-Reward)'의 전형적인 '스토리 주식(Story Stock)'입니다.

현재 주가(시가총액 약 4,800억 원)는 2024년의 부진한 실적(영업적자 70억 원) 1이 아닌, 2023년부터 이어진 SK온 1.5조 원 규모의 잠재적 수주 2와 신규 방산 물류 시장 진출 3이라는 '미래 가치'를 선반영하고 있습니다. 2026년은 이러한 '약속(Story)'이 실제 '실적(Performance)'으로 증명되는지 확인하는 결정적인 해가 될 것입니다. 2024년 전방 산업 투자 지연 1으로 인한 실적 악화를 딛고, 2026년 대규모 AMR 매출 인식이 없다면 현재의 높은 밸류에이션(PBR 17배, PER 적자)은 정당화되기 어렵습니다.4

주요 전망 요약 (2025.11.05 기준)

항목 전망치 근거
현재 주가 (2025.11.04) 23,900 원 [4, 6] 52주 최고가 경신 7
시가 총액 약 4,792 억 원 4  
2025.11.30 예상 주가 22,000 원 (상세 내용은 6. 주가 예측 참조)
예상 저점 (2025.11.30까지) 18,000 원 (-25%) (상세 내용은 6. 주가 예측 참조)
예상 고점 (2025.11.30까지) 31,200 원 (+30%) (상세 내용은 6. 주가 예측 참조)
2026년 예상 매출 2,200 억 원 (상세 내용은 3. 재무 진단 참조)
2026년 예상 영업이익 220 억 원 (흑자전환) (상세 내용은 3. 재무 진단 참조)

2. 티로보틱스의 핵심 사업: 이중 성장 엔진

2.1. 캐시카우 및 기반 기술: 진공 로봇 (FPD & 반도체)

2004년 설립된 티로보틱스는 '국내 유일의 진공 이송 로봇 전문 기업'이라는 타이틀을 가지고 있습니다.8 핵심 사업은 FPD(평판디스플레이) 및 반도체 제조 공정의 핵심인 진공 환경에서 웨이퍼나 글래스를 이송하는 로봇 및 모듈을 생산하는 것입니다.9

회사의 기술적 기반은 이 사업에서 나옵니다. 진공 환경에서 파티클(미세 먼지)을 최소화하고, 고온을 유지하며, 기구의 흔들림을 최소화하는 초정밀 제어 기술 10은 티로보틱스의 핵심 역량입니다. 어플라이드 머티리얼즈(Applied Materials)와 같은 글로벌 장비사와의 전략적 관계 10 및 OLED 8.6세대용 대형 로봇 기술력 1을 통해 안정적인 시장 지위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2024년 기준 매출 구성은 진공로봇 37.0%, 진공이송모듈 23.4%로, 여전히 이 사업 부문이 회사의 근간을 이루고 있습니다.1 하지만 FPD/반도체 산업은 본질적으로 '경기 순환적(Cyclical)' 특성을 가집니다. 이 사업은 AMR과 같은 신사업 투자를 지원하는 '캐시카우' 역할을 수행해야 하나, 2024년 적자 전환 1으로 인해 그 역할마저도 위태로워진 상황입니다.

2.2. 핵심 성장 동력: 자율주행 물류 로봇 (AMR)

티로보틱스의 현재 주가를 지탱하는 핵심은 AMR(자율이동로봇) 사업입니다. 이는 스마트 팩토리, 2차 전지, 방산 물류 자동화에 사용되며 3, 단순 경로를 따르는 AGV(무인운반차)와 달리 로봇 스스로 환경을 인지하고 경로를 찾는 고부가가치 제품입니다.

주력 제품인 T-BOT 시리즈(T200, T600, T1000 등) 11는 최대 3톤 12의 중량물까지 이송할 수 있도록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하며, 이는 2차 전지 공정의 무거운 롤(Roll) 이송 등에 필수적입니다. 또한 'ActGPT'라는 AI 기반 플랫폼 13을 통해 로봇의 자율성과 운영 효율성을 높이며 단순 하드웨어 제조사를 넘어 솔루션 제공자로의 진화를 시도하고 있습니다.

AMR 사업의 중요성은 수익성에 있습니다. AMR은 AGV 대비 약 10배 높은 가격을 형성하며 10, 특히 핸들링 가능 중량이 클수록 제품 단가가 기하급수적으로 상승하는 구조 1입니다. 따라서 AMR 사업의 성공은 티로보틱스의 '수익성 개선(Margin Improvement)'에 절대적으로 필요합니다.

그러나 이 사업의 치명적인 약점이 2024년에 드러났습니다. 2023년 약 400억 원의 실적을 기록했던 AMR 부문은, 2024년 전방 산업(주로 2차 전지)의 투자 지연으로 인해 200억 원 수준으로 실적이 급감했습니다.1 이는 티로보틱스의 실적이 자체 기술력이 아닌, '소수 대형 고객사(SK온)의 CAPEX(설비투자) 사이클'에 극도로 종속되어 있음을 보여주는 명백한 증거입니다.


3. 재무 상태 진단 및 2026년 실적 추정

3.1. 현재 재무 상태 진단 (2024년 ~ 2025년 LTM 기준)

수익성 (부정적):

2024년 매출 607억 원(전년비 9.0% 감소), 영업이익 -70억 원(적자 전환)을 기록했습니다.1 2025년 LTM(최근 12개월) 기준 EPS(주당순이익)는 -823.54원 4으로, 수익성은 최악의 상태입니다. 퀀트 재무 점수가 로봇 테마 내 43위로 하위권 14인 것은 이러한 현실을 객관적으로 반영합니다.

안정성 (양호):

그나마 긍정적인 측면은 "대차대조표에 부채보다 현금을 더 많이 보유하고 있다" 4는 점입니다. 이는 지속적인 적자 상황에서도 신사업(AMR) 투자를 위한 '시간(Runway)'을 벌어주고 있습니다.

밸류에이션 (극도 고평가):

현재 시가총액은 약 4,792억 원 4입니다. LTM 매출 568억 원 4 기준 PSR(주가매출비율)은 약 8.4배입니다. PBR(주가순자산비율)은 약 17배 4 또는 10.41배 5로, 어느 수치를 기준으로 하든 업종 평균 대비 극도로 높은 수준이며, 이는 오직 미래의 폭발적 성장을 전제로만 설명이 가능합니다.

재무 요약 (2024A ~ 2025 LTM)

지표 2024년 (연간) 2025년 (LTM) 비고
매출 607억 원 568억 원 2025년에도 매출 정체
영업이익 -70억 원 (정보 없음) 2024년 적자 전환
EPS (정보 없음) -823.54 원 수익성 부재
PBR (정보 없음) 약 17.0x 극심한 고평가
AMR 매출 약 200억 원 (정보 없음) 2023년 400억 대비 50% 급감

이처럼 2024년의 부진한 실적과 2025년 LTM 데이터는, 2025년 현재까지도 실적 턴어라운드가 가시화되지 않았음을 명확히 보여줍니다. 따라서 2026년의 실적 추정은 현재 밸류에이션을 정당화할 수 있는지 판단하는 핵심 근거가 됩니다.

3.2. [심층] 2026년 실적 / 수주 추정

2026년 실적 추정은 전적으로 '2차 전지향 AMR 수주'의 '인식 시점'과 '방산/기타 물류' 수주의 '규모'에 달려있습니다. 2024년의 투자 지연 1이 2025년을 거쳐 2026년에 집행된다는 강력한 가정이 필요합니다.

긍정적인 변수는 정부 정책입니다. 2026년 '스마트 제조혁신 지원' 15, '지능형로봇 보급 및 확산' 16, 'AI 팩토리 실증 사업' 17 등은 로봇 산업 전반에 긍정적인 정책 환경을 조성하며 티로보틱스의 AMR 수주에 우호적인 배경으로 작용합니다.

[핵심] 2차 전지 (AMR):

2023년에 제기된 SK온향 1.5조 원 2 수주 기대감이 2026년 실적의 핵심입니다. 이 1.5조 원은 단년 계약이 아닌, SK온의 국내외 공장 증설 스케줄(2025~2027년)에 따른 장기 공급 물량으로 해석해야 합니다.18 2024년과 2025년에 이연된 물량이 2026년에 집중될 경우, AMR 부문 매출은 2023년의 400억 원 1을 뛰어넘는 'J-커브' 성장이 가능합니다.

방산 및 기타 (AMR):

최근 공군 AMR 공급 3은 금액은 작을지라도, '국방 분야 유일 AMR 기술 기업'이라는 레퍼런스를 확보했다는 점에서 중요합니다. 2026년에는 육군, 해군 및 기타 방산 물류로의 수평 전개가 기대됩니다.

2026년 실적 추정 (가정 기반):

  1. SK온의 투자가 2026년 본격 재개되어 1.5조 원 규모 중 최소 10% (약 1,500억 원)가 2026년 매출로 인식된다고 가정합니다.
  2. 방산 및 기타 물류 AMR 부문에서 300억 원의 신규 매출 발생을 가정합니다.
  3. 기존 진공 로봇 사업이 2024년 수준(약 400억 원) 1을 유지한다고 가정합니다.

결론 (2026년 추정):

  • 매출: 약 2,200억 원 ($1,500 + 300 + 400$)
  • 영업이익: 약 220억 원 (흑자 전환) (AMR의 높은 마진율 1을 감안, OPM 10% 가정)

단, 2026년 2,200억 매출, 220억 영업이익을 달성한다 해도, 현재 시가총액(약 4,800억)은 2026년 예상 PER(주가수익비율) 기준 21.8배입니다. 이는 2026년의 폭발적 성장을 이미 주가에 반영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만약 SK온 투자가 2026년에도 지연된다면, 주가는 재무적 실체를 잃고 폭락할 위험이 있습니다.


4. 현재 주가를 움직이는 3대 핵심 테마

4.1. 테마 1: 2차 전지 (SK온) 1.5조 원 AMR 공급

가장 강력한 단일 테마입니다. 2023년 4월, 하나증권 리포트 등을 통해 SK온의 미국 등 공장에 티로보틱스가 AMR을 공급하며, 총 수주 규모가 1.5조 원에 달할 수 있다는 기대감이 폭발했습니다.2

2년 반이 지난 2025년 11월 현재, 이 1.5조 원은 아직 '확정 공시'된 바 없습니다.7 2024년 2차 전지 업계의 투자 지연 1으로 인해 기대감이 현실화되지 못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가는 여전히 이 1.5조 원의 '실현 가능성'과 '시기'에 따라 극단적으로 움직입니다. SK온의 투자 재개 뉴스는 즉각적인 상한가 2를, 투자 지연 뉴스는 급락을 유발하는 핵심 동력입니다.

4.2. 테마 2: 방산 물류 자동화 (신규 시장 개척)

새롭게 부상하는 테마입니다. 최근 공군에 창고 자동화를 위한 AMR을 공급했습니다.3 이는 '국방 물류 자동화의 첫 단추' 3로 평가되며, 티로보틱스는 '국방 분야 유일 AMR 기술 보유 기업'으로 포지셔닝했습니다.3 이 테마는 2차 전지 테마의 '변동성'을 보완하고 '성장 다각화'를 증명한다는 점에서 중요합니다. SK온 의존도 1가 리스크로 지적되는 상황에서, 방산 분야 진출은 밸류에이션의 하단을 지지하고 새로운 상방을 여는 핵심 모멘텀입니다.

4.3. 테마 3: AI 및 정부 주도 로봇 산업 육성

개별 기업의 호재라기보다는, '로봇(산업용/협동로봇)' 테마 14 전반의 센티멘트(Sentiment)에 영향을 주는 테마입니다. '로보월드 2025' 참가 12, 정부의 2026년 스마트팩토리/AI 로봇 지원 정책 15, 그리고 회사 자체의 ActGPT AI 플랫폼 13이 여기에 해당합니다. 재무 점수가 낮음 14에도 불구하고 주가가 29% 급등 6하는 등 펀더멘털과 무관한 변동성을 보이는 것은 이 테마의 힘입니다.


5. 현재 이슈 및 잠재적 미래 이슈 (기회와 위기)

5.1. 기회 (Opportunities)

  1. SK온 투자 재개 (가장 큰 기회): 2024~2025년 이연된 2차 전지 투자가 2026년 집중 집행될 경우, 2023년 2의 기대감이 현실 실적으로 전환되며 폭발적인 '어닝 서프라이즈'가 가능합니다.
  2. 방산 물류 시장 선점: 공군 레퍼런스 3를 바탕으로 육군, 해군 및 K-방산 수출 기업들의 물류 자동화 시장을 선점할 경우, 제2의 성장 동력이 될 수 있습니다.
  3. 고객사 다각화: 현재 SK온 18에 편중된 AMR 포트폴리오를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또는 해외 배터리사로 확장하는 것이 잠재적 기회입니다.
  4. 정부 지원 정책 활용: 2026년 정부 지원 사업 15에 적극 참여하여 R&D 비용을 절감하고 신규 레퍼런스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

5.2. 위기 (Threats)

  1. 높은 고객사 의존도 및 투자 지연 (가장 큰 위기): 2024년 실적 쇼크 1에서 보듯이, SK온의 투자 사이클에 회사의 명운이 걸려있습니다. 2026년에도 SK온의 투자가 지연될 경우, 주가는 재앙적인 수준으로 하락할 수 있습니다.
  2. 과도한 밸류에이션 부담: 적자 기업 1이 PBR 17배 4로 평가받는 현재 주가는 2026년의 모든 호재를 이미 반영(Priced-in)했을 수 있습니다. 기대에 못 미치는 실적은 즉각적인 '밸류에이션 딜레마'를 초래합니다.
  3. 경쟁 심화: AMR 시장은 고성장 시장인 만큼, 국내외 대기업 및 스타트업들의 진입이 활발합니다. 아주IB투자가 티로보틱스가 아닌 미국 AI 로보틱스(써머로보틱스)에 투자 19한 것처럼, 글로벌 경쟁은 이미 AI와 소프트웨어 중심으로 이동하고 있습니다. 티로보틱스가 ActGPT 13 등을 통해 하드웨어(AMR)와 AI의 시너지를 입증하지 못하면 경쟁에서 밀릴 수 있습니다.
  4. 정보 부재 및 불투명성: 2025년 5월~11월 사이 투자자가 확인할 만한 주요 DART 공시(수주 등)가 부재합니다.7 이는 1.5조 원 2과 같은 거대 담론만 무성할 뿐, 실제 진행 상황이 불투명하다는 것을 암시하며, 투자자 리스크를 가중시킵니다.

6. 주가 예측: 2025년 11월 30일 (객관성 중심)

6.1. 주가에 영향을 준 뉴스

최근 주가에 가장 큰 영향을 준 뉴스는 2023년 4월의 'SK온 1.5조 수주설' 2입니다. 2년 반이 지난 지금도 이 뉴스가 주가의 근간을 이루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로보월드 2025' 참가 12나 '공군 AMR 공급' 3 같은 뉴스들이 주가 변동성 6을 자극하고 있으나, 1.5조 원 테마에 비하면 영향력은 제한적입니다.

6.2. 네이버 금융 차트 링크

6.3. 수급 분석: 주요 주체별 평균 매수 단가

요청된 기간(최근 1~3개월)의 주요 주체별(기관, 외국인, 개인) 평균 매수 단가 및 상세 매매 동향 데이터는 제공된 자료에서 확인할 수 없었습니다.7

상세한 수급 데이터가 없다는 가정 하에, 현재의 극심한 주가 변동성 6과 높은 밸류에이션 4은 펀더멘털을 기반으로 한 기관의 장기 매수보다는, 테마 14에 편승한 단기 트레이딩 수급이 주도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됩니다.

6.4. 주가 예측의 상세 근거 (상승 vs 하락)

상승 시나리오 (Bull Case):

  1. SK온 투자 확정: 2025년 11월 30일 이전에 SK온 또는 타 2차 전지 업체로부터 2026년 물량에 대한 '확정 수주 공시'(DART)가 나올 경우.
  2. 방산 수주 확대: 공군 3에 이어 육군 등으로부터 추가 AMR 공급 계약이 가시화될 경우.
  3. 정부 정책 수혜: 2026년 예산안 15과 연계된 대형 국책 과제 수주.

하락 시나리오 (Bear Case):

  1. 뉴스 공백 및 실적 악화: 2025년 3분기 실적이 여전히 적자 4가 지속되고, 2024년 1의 부진을 만회하지 못할 경우.
  2. SK온 투자 지연 루머: 1.5조 원 2 수주 스토리가 2026년에도 불투명하다는 인식이 확산될 경우.
  3. 테마 소멸: 로봇 산업 14 전반에 대한 투자 심리가 냉각되고, 시장의 관심이 다른 테마로 이동할 경우.

6.5. 2025년 11월 30일까지의 단기 가격대 산출

현재 주가(약 24,000원)는 펀더멘털 1이 아닌, 2026년의 기대감 2으로 지탱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주가는 '뉴스'와 '센티멘트'에 따라 극단적인 변동성을 보일 것입니다. 52주 최고가(2025년 11월 4일) 7와 최근 29% 급등 6 이력을 고려할 때, 변동성은 매우 높습니다.

  • 향후 2025년 11월 30일까지 예상 저점: -25% (약 18,000원)
    • 근거: 3분기 실적이 부진 4하고 2026년 수주 공백 7이 지속될 경우, 밸류에이션 부담 14으로 인해 실망 매물이 출회하며 52주 최고가 대비 큰 폭의 조정 가능성이 있습니다.
  • 향후 2025년 11월 30일까지 예상 고점: +30% (약 31,200원)
    • 근거: 'SK온 수주 임박' 또는 '방산 대규모 계약'과 같은 확인되지 않은 루머나 테마성 뉴스 12만으로도 단기 수급이 쏠리며 오버슈팅(Overshooting)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6
  • 주가 예측: 2025년 11월 30일 (목표가): 22,000원
    • 근거 (객관성 중심): 현시점(11월 5일)에서 11월 30일까지 2026년의 거대 계약 2이 확정될 가능성은 낮습니다. 따라서 '로보월드 2025' 12 등 단기 모멘텀이 소멸하고 펀더멘털 1에 대한 의구심이 다시 제기되면서, 현재의 과열된 주가 6가 일부 조정을 받을 것으로 예상하는 것이 합리적입니다.
  • 2025년 11월 30일 단기 가격대 산출(밴드): 18,000원 ~ 31,200원 (-25% ~ +30%)

7. 2025년 11월 30일까지의 단기 매매 전략

본 종목은 펀더멘털 1이 아닌 스토리 2로 움직이므로, 장기 가치 투자자에게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높은 변동성 6을 감내할 수 있는 단기 트레이더에게 적합한 '촉매제(Catalyst) 기반 변동성 트레이딩' 전략을 권고합니다.

  • 매수 전략 (Buy on News): 매수는 'SK온 투자 재개' 또는 '방산 신규 수주' 관련 '확정 공시'(DART) 7가 발생하는 시점에만 유효합니다. '로보월드' 12 같은 전시회 참가는 단기 호재일 뿐, 매수 근거가 되기 어렵습니다.
  • 매도 전략 (Sell on Facts / Fade the Rally): 확정된 '공시' 없이 기대감만으로 주가가 급등 6할 경우(예: 예상 고점 31,200원 근접 시), 비중 축소(매도)가 합리적입니다. 2026년 실적이 확인되기 전까지는 '기대감(소문)에는 매도'하고 '확정된 뉴스(공시)에만 반응'하는 전략이 유효합니다.
  • 핵심 모니터링: DART 공시 7와 SK온의 CAPEX 집행 관련 뉴스를 최우선으로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8. 부록 (Appendix)

8.1. 최근 6개월 이내 주요 공시 (2025년 5월 ~ 11월)

제공된 리서치 자료 5를 검토한 결과, 2025년 5월 1일부터 2025년 11월 5일 현재까지 티로보틱스의 1.5조 원 규모 수주 2 또는 기타 주가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만한 신규 계약에 대한 유의미한 DART 공시 내역이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이는 2023년 4월 2에 폭발했던 기대감과 2025년 11월 현재의 펀더멘털 사이의 '괴리'를 보여주는 가장 중요한 사실입니다. 주가는 여전히 2년 반 전의 스토리를 기반으로 움직이고 있습니다.

8.2. 최신 핵심 뉴스 링크 (3개)

  1. 방산 시장 진출 (기회): 티로보틱스, 국방 물류 자동화 AMR 공급… 방산 물류 시장 진출 본격화 3
  2. 현재 산업 내 화제성 (모멘텀): 3톤 들어올리는 물류 로봇 보러 오세요… 로보월드 2025 12
  3. 주가 변동성 (현상): (최근 주가 급등 관련) 6

8.3. 기타 투자 참고 사항 (대내외 변수)

  • 미국 금리 및 투자 심리: 2026년 실적에 대한 기대로 고평가 4된 성장주는 시장 금리에 민감합니다. 만약 미국 연준이 2026년까지 고금리를 유지한다면, 기술주 전반의 밸류에이션이 하락하며 티로보틱스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2차 전지 산업의 '숨 고르기': 2024년 1에 나타난 전방 산업의 투자 지연이 '일시적'인지, 아니면 전기차(EV) 수요 둔화에 따른 '구조적' 변화인지가 중요합니다. 후자일 경우, 1.5조 원 2의 규모 자체가 축소될 리스크가 있습니다.
  • 경쟁사 동향: 아주IB투자가 티로보틱스가 아닌 미국 AI 로보틱스(써머로보틱스)에 투자 19한 것처럼, 글로벌 경쟁은 이미 AI와 소프트웨어 중심으로 이동하고 있습니다. 티로보틱스가 ActGPT 13 등을 통해 하드웨어(AMR)와 AI의 시너지를 입증하지 못하면 '고철(Hardware)' 기업으로 전락할 위험이 있습니다.

9. 면책 사항 고지 (Disclaimer)

  • 본 보고서는 2025년 11월 5일 기준으로 제공된 리서치 자료 4에 기반하여 작성되었습니다. 제공된 자료에 포함되지 않은 정보(예: 상세한 수급 데이터, 미공개 내부 정보)는 분석에 반영되지 않았습니다.
  • 본 보고서에 포함된 2026년 실적 추정 및 주가 예측은 다수의 가정을 전제로 한 것이며, 실제 결과는 SK온의 투자 결정, 글로벌 거시 경제, 경쟁 환경 등 통제 불가능한 변수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 본 자료는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작성되었으며, 특정 종목에 대한 매수 또는 매도 추천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모든 투자의 최종 결정과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으며, 본 보고서는 어떠한 법적 책임의 근거로도 사용될 수 없습니다.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