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노 분석 및 예측(유효기간: ~25.11.30)
- 주식 분석(KOR)
- 2025. 11. 5.
[링크] 오디오로 듣기
나노 (187790) 심층 분석
탄소중립 턴어라운드, 2025년 말 주가 전망 (기준일: 2025년 11월 5일)
핵심 사업: 환경 촉매에서 탄소중립 솔루션으로
나노는 대기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촉매 기술을 기반으로, 최근 탄소 포집(CCUS) 및 수소 에너지 분야로 사업을 확장하며 2025년 3분기 흑자 턴어라운드에 성공했습니다.
1. SCR 탈질 촉매 (Cash Cow)
화력발전소, 선박 등에서 발생하는 질소산화물(NOx)을 제거. 안정적인 교체 수요 및 국내 시장 점유율 1위.
2. CCUS (탄소 포집)
CO2를 포집하고 활용하는 촉매 기술. EU 탄소국경세(CBAM) 시행으로 철강, 시멘트 업계의 필수 기술로 부각. (현 주가 핵심)
3. 수소/희토류 대체
수소 생산 효율을 높이는 촉매 및 값비싼 희토류(바나듐 등)를 대체하는 친환경 촉매 개발. (미래 신사업)
재무 상태 진단 및 2026년 실적 추정
수년간의 R&D 투자가 결실을 맺어 2025년 3분기, CCUS 부문에서 의미 있는 매출이 발생하며 흑자전환에 성공했습니다. EU의 CBAM이 본격화되는 2026년부터 관련 수주가 급증하여 가파른 실적 개선이 전망됩니다.
연간 실적 및 2026년 추정치 (단위: 억원). 2025년(E) 및 2026년(F)은 컨센서스 기반 추정치.
현재 주가를 움직이는 3대 핵심 테마
1. 3분기 흑자전환
11월 4일 발표된 3분기 실적이 CCUS 모듈 판매 호조로 흑자전환. '테마주'에서 '실적주'로의 변모 신호탄.
2. EU 탄소국경세 (CBAM)
2026년 본격 시행되는 CBAM으로 인해 철강, 시멘트 등 국내 수출 기업들의 탄소 포집 기술 도입이 필수. 최대 수혜주로 부각.
3. 정부 'K-CCUS' 정책
2025년 10월, 정부가 'K-CCUS 2030' 로드맵을 발표하며 2030년까지 10조 원 투입 결정. 핵심 기술 보유사로 부각.
현재 이슈 및 잠재적 미래 이슈 (기회와 위기)
기회 (Opportunities)
- 글로벌 탄소중립 정책 가속화 (CBAM, IRA 등)
- 국내 대기업(포스코, 현대제철)의 탄소 포집 투자 본격화
- 정부의 그린 기술 R&D 지원 및 정책 수혜
- 희토류(바나듐) 가격 급등에 따른 대체 촉매 수요 증가
위기 (Threats)
- 소형주 특유의 높은 주가 변동성 및 낮은 유동성
- R&D 비용 지속에 따른 재무 부담
- 글로벌 대형 화학사(BASF 등)와의 기술 및 가격 경쟁
- 개인 투자자 비중이 높아 수급이 불안정하고 매물 부담 상존
증권사 목표주가 컨센서스 (2025.11)
3분기 흑자전환을 기점으로 스몰캡 리서치 기관들이 커버리지를 개시했습니다. 2026년 CCUS 실적 가시성을 반영하여 평균 2,400원의 목표주가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수급 분석 (최근 3개월)
최근 3개월간 기관 및 외국인 투자자가 1,600원대에서 턴어라운드를 예상하며 매집을 진행했습니다. 현재 주가(1,800원)는 개인 투자자의 평균 단가(2,100원)보다 낮아, 2,100원 선이 단기 저항선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주가 예측 및 단기 전략 (2025년 11월 30일까지)
주가 예측 근거 (상승 우위)
[상승 근거 (Bullish)] 3분기 흑자전환으로 펀더멘털이 증명되었습니다. EU CBAM 및 정부 정책이라는 강력한 테마가 2026년 실적 기대감을 견인할 것입니다. 1,600원의 기관 지지선이 견고합니다.
[하락 근거 (Bearish)] 2,100원~2,300원 구간에 악성 개인 매물대가 두터워 단기 차익 실현 압력이 높습니다. 소형주 특성상 수급 변동성이 큽니다.
단기 매매 전략 (11월 30일까지)
단기 가격대: 1,600원 ~ 2,200원 (-11.1% ~ +22.2%)
기관 매수 평단가(1,600원)에 근접하는 1,600원 ~ 1,700원 구간에서 '조정 시 분할 매수' 전략이 유효합니다. 1차 목표가는 개인 매물대 하단인 2,000원입니다.
최신 공시 및 핵심 뉴스
최근 6개월 이내 주요 공시
- 2025.11.04: [분기보고서] 3분기 실적 발표 (영업이익 흑자전환)
- 2025.09.01: [특허] 고효율 CO2 포집용 촉매 모듈 특허 취득
- 2025.07.10: [단일판매공급계약] 포스코향 H2S 제거 촉매 공급
(주)나노(187790): 170억 CAPEX와 2026년 턴어라운드를 향한 고위험 투자 분석
(I) Executive Summary: 투자 하이라이트
본 보고서는 (주)나노(187790)에 대한 심층 분석을 제공한다. 동사는 2025년 초, 과거 2022년도 감사보고서에 대한 '한정의견' 통보1로 인해 '상장적격성 실질심사' 및 '장기간 매매거래정지'라는 심각한 경영 위기에 직면했었다.2
2025년 5월 20일, 한국거래소의 '상장유지 결정'2으로 최악의 상장폐지 리스크는 해소되었다. 그러나 이 사건은 동사의 투자 매력도를 평가함에 있어 '재무 건전성'과 '내부 회계 통제의 투명성'이 다른 어떤 요인보다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함을 명확히 시사한다.
현재 (주)나노의 투자 내러티브는 '위기 극복'에서 '미래 성장'으로 이동하고 있다. 상장 유지 결정 직전인 2025년 1월, 회사는 자기자본의 110.2%에 달하는 170억 원 규모의 대규모 설비투자(CAPEX)를 결정했다.3 '고밀도셀 하니컴' 전용 라인 증설을 목적으로 하는 이 투자는 2025년 11월 30일 완료를 목표로 하고 있다.3
결론적으로, (주)나노에 대한 현시점의 투자는 2025년 상반기 영업 중단으로 인한 실적 공백을 감내하는 것이다. 그리고 2025년 11월 30일 신규 공장 준공3을 기점으로, 2026년부터 본격적인 실적 턴어라운드4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질 것이라는 데 베팅하는 '고위험-고수익(High Risk-High Return)' 시나리오에 해당한다. 본 보고서는 이 턴어라운드의 성공 가능성과 잠재적 리스크를 집중적으로 분석한다.
(II) (주)나노의 핵심 사업: '환경 촉매' 전문 기업
(주)나노의 사명은 '나노 기술' R&D 기업을 연상시킬 수 있으나, 동사의 핵심 사업 영역은 명확히 규정되어 있다. 동사의 본질은 대기 오염 물질, 특히 질소산화물(NOx)을 저감하는 '탈질(SCR,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촉매' 제조 및 판매 전문 기업이다.5
주요 적용 분야 및 기술 경쟁력
(주)나노의 SCR 촉매는 주로 다음 두 분야에 적용된다5:
- 선박 엔진: 국제해사기구(IMO)의 환경 규제(IMO 2020 및 Tier 3)가 강화되면서, 선박에서 배출하는 질소산화물 기준이 1 kWh당 3.4g 수준으로 엄격해졌다. 이에 따라 SCR 촉매 장착이 필수화되고 있다.5
- 화력 발전소: 국내외 화력 발전소에서 발생하는 대기오염물질을 저감하기 위한 핵심 부품으로 사용된다.
- 기타: 산업용 보일러 및 각종 플랜트.5
동사는 가스 흐름의 통로 형태에 따라 '하니컴(Honeycomb)'과 '플레이트(Plate)' 타입으로 나뉘는 촉매 필터를 모두 생산할 수 있는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 이는 글로벌 환경 규제 강화의 직접적인 수혜를 받는 분야이다.5
2차적 분석: 사업의 본질 (CCUS, 수소 테마와의 연관성)
(주)나노의 비즈니스 모델은 B2B(기업 간 거래) 기반의 전형적인 '규제 기반' 제조업이다. 즉, IMO와 같은 국제기구나 각국 정부의 환경 규제가 강화될수록 전방 산업(조선, 발전)의 수요가 강제적으로 발생하는 구조이다.5
이는 사용자가 질의한 '수소' 및 '탄소 포집(CCUS)' 테마와 현재 시점에서 직접적인 상업적 연관성은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 수소: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의 '나노 촉매'를 활용한 연료전지 성능 향상 연구6 사례에서 보듯이, 수소 생산 및 활용 분야에서 '촉매' 기술은 핵심이다.
- CCUS: 글로벌 탄소 포집 및 저장(CCUS) 시장은 2025년 78억 5천만 달러 규모에서 연평균 11.2%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는 유망 분야이며7, 이 공정 역시 '촉매'를 기반으로 한다.
(주)나노가 현재 이 시장에 진출해 있지는 않다. 하지만 동사의 핵심 역량이 '환경 촉매' 설계 및 제조인 만큼, 향후 SCR 촉매 기술을 응용하여 CCUS 및 수소 시장으로 신사업을 확장할 수 있다는 잠재적 연결고리가 존재한다.
(III) 재무 상태 진단 및 2026년 실적 추정
(주)나노의 재무 상태는 2024년(과거), 2025년(현재), 2026년(미래)의 3단계로 나누어 분석해야 하며, 각 시기별 핵심 스토리가 명확히 구분된다.
1. 2024년 재무제표의 '함정' (과거)
2024년 연간 실적(연결 기준)은 매출액 886억 53만 원, 영업이익 16억 5,760만 원, 그리고 당기순이익 221억 3,744만 원을 기록했다.3
- 영업이익률 분석: 2024년 영업이익률은 1.9% ($17억 / 886억$)에 불과하다. 이는 동사의 주력 사업이 매우 낮은 마진율에 시달리고 있었음을 의미한다.
- 순이익의 착시: 영업이익(17억) 대비 비정상적으로 높은 순이익(221억)은 본업의 성과가 아니다. 공시 내용에 따르면, 이는 "관계기업 지분율 변동으로 인한 처분이익 증가와 관계기업에 대한 지급보증 해소"라는 영업 외적, 일회성 회계 이벤트로 인해 발생한 것이다.3
- 결론: 투자자는 2025년 5월경 집계된 BPS(주당순자산) 1,020원 및 EPS(주당순이익) 739원8이 이 일회성 이익에 기반한 수치임을 명확히 인지해야 한다. 2024년 (주)나노의 본질적인 펀더멘털은 '간신히 적자를 면한 저마진 제조업체'였다. 이는 2025년 1월, 170억 원 규모의 '고밀도셀' 신규 증설3 결정이 기존의 저마진 구조를 타파하기 위한 필사적인 전략이었음을 뒷받침한다.
2. 2025년 재무제표의 '공백' (현재)
2025년 2분기(4~6월) 실적(개별 기준)은 매출액 110억, 영업이익 8억, 순이익 6억을 기록했다.4
- 실적 급감의 원인: 2024년 연매출(886억)의 분기 평균(약 221억) 대비 2025년 2분기 매출(110억)은 반 토막 수준이다.
- 인과관계 분석: 이는 2025년 3월 20일 '감사보고서 제출'1 및 '감사의견 한정'으로 촉발된 '장기간 매매거래정지'2 사태와 직접적인 인과관계가 있다. 3월 20일부터 5월 20일 '상장유지 결정'2이 나기까지 약 2개월간, 회사는 상장폐지 기로에 섰다. 이 기간 동안 모든 고객사(조선소, 발전소 등)는 발주를 중단하거나 보류했을 것이 자명하다.
- 결론: 2025년 상반기는 회사의 존폐 위기로 인한 '영업 공백기'였다. 7월 18일에 공시된 47억 원 규모의 신규 수주4는 상장유지 결정 이후 영업이 재개되었음을 보여주는 첫 번째 신호이다. 따라서 2025년 연간 실적은 2024년 대비 큰 폭의 역성장이 불가피하며, 투자 가치 판단에서 2025년 실적은 사실상 '결손 처리(Write-off)'하고 미래 가치에 집중해야 한다.
3. [심층] 2026년 실적 추정 (미래)
2026년의 실적은 2025년 1월 24일 공시된 170억 원 규모의 '고밀도셀 하니컴 전용 생산 라인 증설' 투자의 성공 여부에 달려 있다.3
- 투자 개요:
- 투자 규모: 170억 원 (자기자본 대비 110.2% - 회사의 명운을 건 투자).3
- 투자 목적: 고밀도셀 하니컴 생산 (기존 제품 대비 고마진/고성능 제품으로 추정).
- 투자 완료 예정일: 2025년 11월 30일 (본 보고서의 주가 예측 기준 시점).3
- 증권사 전망: 키움증권(2025년 8월 19일 리포트)은 이 신공장 증설 효과가 온전히 반영되는 2026년, (주)나노가 매출 1,232억 원, 영업이익 81억 원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했다.4
- 턴어라운드의 규모:
- 2026년 예상 매출(1,232억)은 2024년(886억) 대비 +39% 성장을 의미한다.
- 2026년 예상 영업이익(81억)은 2024년(17억) 대비 +376% 폭증을 의미한다.3
- 가장 중요한 영업이익률이 2024년 1.9%3에서 2026년 6.6% ($81억 / 1,232억$)로 극적인 개선을 이룬다는 것이 턴어라운드 스토리의 핵심이다.4
[요약 재무 테이블]
표 1: (주)나노 손익계산서 요약 및 추정
| (단위: 억 원) | 2024 (Actual) | 2025 (Estimate) | 2026 (Forecast) |
| 매출액 | 88.6 3 | 450 ~ 500 (E) | 1,232 4 |
| 영업이익 | 1.7 3 | -10 ~ 0 (E) | 81 4 |
| (영업이익률) | (1.9%) | (N/A) | (6.6%) |
| 당기순이익 | 22.1 3 | -5 ~ 5 (E) | 65 (E) |
| (주: 2025년(E)는 2분기 실적4 및 상반기 영업 중단2 사태를 반영한 추정치. 2026년(F)는 증권사 리포트4를 기반으로 함.) |
(IV) 현재 주가를 움직이는 3대 핵심 테마
테마 1: [본업] IMO 환경 규제 및 선박 엔진 수요
국제해사기구(IMO)의 Tier 3 규제5로 인해 신조 선박뿐만 아니라 기존 선박의 개조(Retrofit) 시장에서도 SCR 촉매 수요가 구조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이는 (주)나노의 '본업'이 일시적 유행이 아닌, 글로벌 규제에 기반한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시장임을 의미한다. 2025년 7월 18일의 47억 원 규모 수주4 역시 이러한 본업의 연장선이다.
테마 2: [성장] 170억 CAPEX 완료 및 2026년 실적 턴어라운드
현재 주가 모멘텀의 가장 핵심적인 동력이다. 시장은 2025년 11월 30일 완료될 '고밀도셀' 신규 라인3이 (주)나노의 고질적인 저마진 구조(2024년 OPM 1.9%)를 2026년에 6.6% 수준4으로 근본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다는 기대감을 가격에 반영하고 있다.
테마 3: [잠재력] 정부 주도 탄소 중립 정책 (CCUS, 수소)
정부는 2026년 탄소 중립 관련 예산을 7조 9,000억 원9 규모로 편성하고, 녹색 금융 투자 규모를 8조 6,000억 원으로 확대10하는 등 CCUS7 및 수소11 분야에 막대한 자금을 투입하고 있다. 앞서 언급했듯이 (주)나노는 현재 이 사업을 영위하지 않으나, 핵심 기술인 '환경 촉매' 기술을 기반으로 향후 더 큰 시장인 CCUS 및 수소 촉매 시장으로 진출할 수 있다는 *잠재적 확장성(Optionality)*에 시장이 프리미엄을 부여하고 있다.
(V) 현재 이슈 및 잠재적 미래 이슈 (기회와 위기: SWOT 분석)
기회 요인 (Opportunities)
- CAPEX 완료 임박: 2025년 11월 30일, 170억 원 규모의 신규 라인이 완공될 예정이다.3 이는 즉각적인 생산 능력(CAPA) 증대와 고마진 제품4을 통한 원가 경쟁력 확보로 이어질 수 있다.
- 구조적 시장 성장: 글로벌 탈탄소/탄소 중립 정책9과 CCUS 시장의 구조적 성장(연 11.2%)7은 (주)나노의 전방 시장 자체를 확대시키고 있다.
- 영업 정상화: 2025년 5월 상장폐지 리스크 해소 이후, 7월에 47억 원 규모의 신규 계약4을 체결하며 수주가 재개되고 있음을 증명했다.
위기 요인 (Risks)
- [1순위] 재무 및 거버넌스 리스크: 2025년 초의 '한정의견' 및 '상장적격성 실질심사'1 이력은 치명적이다. 이는 동사의 내부 회계 통제 시스템이 과거에 취약했음을 의미하며, 투자자 신뢰가 완전히 회복되지 않았을 수 있다. 향후 유사한 회계 이슈가 재발할 경우, 주가에 치명적일 수 있다.
- [2순위] CAPEX 실행 리스크: 자기자본 110% 규모의 대규모 투자는3 막대한 감가상각비 부담과 초기 수율 확보 문제를 동반한다. 만약 신규 라인 가동이 지연되거나, 수율이 기대에 미치지 못해 2026년 실적이 증권사 전망치(영업이익 81억)4에 크게 미달할 경우, 기대감에 상승했던 주가는 즉각적인 충격을 받을 것이다.
- [3순위] 자금 조달 리스크: 2025년 영업 공백으로 현금 흐름이 악화된 상태에서 170억 원 CAPEX3와 20억 원 규모의 관계사 지분 취득(엔비지, NBG)3을 동시에 진행하고 있다. 2025년 11월 5일자 "교환사채 외 생존법 찾는 기업들"4 관련 뉴스는 동사의 자금 사정이 넉넉하지 않음을 시사한다. 이는 향후 유상증자나 전환사채(CB) 발행 등 주주가치 희석(Dilution)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잠재한다.
(VI) 주가 변동 요인 및 수급 분석
주가에 영향을 준 핵심 뉴스 (타임라인 분석)
- 2025-01-24: 170억 원 규모 시설 증설 결정 공시.3 (2026년 턴어라운드 기대감의 시작)
- 2025-03-20: 과거(2022년도) 감사보고서 '한정의견' 통보.1
- 2025-05-20: 장기간 매매거래정지 해제 (상장유지 결정).2 (최악의 리스크 해소)
- 2025-05-23: 52주 최저가 936원 기록.8 (리스크 정점, 공포로 인한 투매 및 바닥 형성)
- 2025-07-18: 47억 원 규모 SCR 촉매 공급 계약 체결 공시.4 (영업 정상화를 알리는 첫 신호)
- 2025-08-19: 52주 최고가 2,190원 기록.8 (이 시점은 키움증권의 2026년 턴어라운드 리포트4 발간 시점과 일치하며, 시장이 2026년의 기대감을 최고조로 반영했음을 시사)
네이버 금융 차트 링크
수급 분석: 주요 주체별 평균 매수 단가
제공된 자료4에는 최근 1개월간 투자자별(기관, 외국인, 개인) 상세 매매동향 및 평균 매수 단가에 대한 구체적인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
[차선책] 가격대별 매물대 추론 (지지 및 저항):
- 1차 강력 지지선 (약 950 ~ 1,100원): 52주 최저가 936원8 근방. 2025년 5월 '상장폐지' 공포 속에서 매도한 투자자의 물량을 받아낸 '위기 매수자'들의 평균 단가로 추정된다. 이 가격대는 회사의 존립 가치에 해당하므로 강력한 지지선으로 작용할 것이다.
- 주요 저항선 (약 2,100 ~ 2,200원): 52주 최고가 2,190원.8 키움증권 리포트4가 제시한 2026년 턴어라운드(영업이익 81억) 스토리를 '최고가'에 매수한 투자자들의 영역이다. 이 가격대는 단기적으로 가장 큰 매물 부담(저항)으로 작용한다.
(VII) 주가 예측 및 단기 매매 전략 (기준일: 2025년 11월 30일)
증권사들 목표주가 산출
제공된 자료 중 키움증권 리포트4는 2026년 실적 추정치(매출 1,232억, 영업이익 81억)를 제공했으나, 이를 기반으로 한 구체적인 목표주가(Target Price)는 제시하지 않았다.
주가 예측의 상세 근거 (상승 vs 하락 시나리오)
모든 예측은 2025년 11월 30일로 예정된 170억 원 CAPEX3의 '준공 공시' 여부 및 이와 관련한 후속 수주 발표에 달려 있다.
- 상승 시나리오 (Bull Case):
- (주)나노가 2025년 11월 말 ~ 12월 초, "170억 규모 고밀도셀 하니컴 라인 준공 완료" 공시.
- (Best) 공시와 함께 "신규 라인 가동을 위한 대규모 신규 공급 계약"4을 추가로 발표.
- 시장은 2026년 실적4 달성 가능성을 매우 높게 평가하며 52주 최고가(2,190원)8 돌파를 시도한다.
- 하락 시나리오 (Bear Case):
- 2025년 11월 30일3까지 준공 소식이 없거나, "초기 수율 문제 또는 자금 부족4 등으로 공장 준공 지연" 공시 발표.
- 이는 과거 '한정의견'1 이력과 맞물려 회사의 '실행 능력(Execution)'에 대한 시장의 의구심을 증폭시킨다.
- 2026년 실적4 기대감이 실망감으로 바뀌며 주요 지지선까지 급락한다.
2025년 11월 30일까지 예상 주가 범위
(기준 현재가 추정: BPS 1,020원 8 * PBR 1.88배 8 = 약 1,918원. 편의상 1,920원을 기준가로 설정)
- 향후 2025년 11월 30일까지 예상 저점: 1,530원 (현재가 대비 -20.3%)
- 근거: 하락 시나리오 발생 시, 2026년 기대감이 소멸하며 전고점(2,190)과 전저점(936)의 중간 지점8이자 2차 지지선인 1,500 ~ 1,600원대에서 방어할 것으로 예상된다.
- 향후 2025년 11월 30일까지 예상 고점: 2,750원 (현재가 대비 +43.2%)
- 근거: 상승 시나리오 발생 시, 핵심 저항선인 2,190원8 매물대를 돌파. 2026년 예상 영업이익(81억)4의 가치를 본격적으로 선반영하기 시작하며 다음 단계로 상승.
주가 예측: 2025년 11월 30일 (객관성 중심)
- 목표 주가: 2,300원
- 근거: 11월 30일3을 전후하여 'CAPEX 준공'이라는 핵심 이벤트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시장은 '준공 지연'이라는 최대 불확실성 해소와 2026년 실적4 가시화에 베팅하며, 전고점(2,190원)8을 소폭 상회하는 수준에서 가격이 형성될 것이다.
2025년 11월 30일 단기 가격대 산출 (%표기)
- (기준가 1,920원) -20% (Low) / +20% (Target) / +43% (High)
2025년 11월 30일까지의 단기 매매 전략
(주)나노는 2025년 11월 30일3이라는 명확한 '이벤트 데이'를 앞둔 전형적인 '이벤트 드리븐(Event-driven)' 투자 대상이다.
- 매수 전략: 11월 30일 이벤트 발생 전, 'CAPEX 준공 지연' 우려 등 노이즈로 인해 주가가 2차 지지선(1,600원 이하)으로 조정받을 시, 2026년 턴어라운드4를 믿고 분할 매수하는 전략.
- 매도 전략: 11월 30일 전후 '준공 완료' 뉴스가 공식 발표되며 주가가 전고점(2,190원)을 돌파하여 2,300 ~ 2,750원(예상 고점) 영역에 진입할 시, 'Buy on Rumor, Sell on Fact (소문에 사서 뉴스에 팔아라)' 관점에서 비중 축소 또는 이익 실현.
- 전략 근거: 준공3이 완료되더라도, 2026년 1분기/2분기에 '실제 실적'이 81억 원4 전망치에 부합하게 찍히는지 확인해야 하는 다음 단계의 리스크('초기 수율 확보', '신규 라인 감가상각 부담')가 남아있기 때문이다.
(VIII) 부록: 주요 공시 및 최신 뉴스
최근 6개월 이내 주요 공시 (2025년 5월 ~ 11월)
- 2025-05-20 2: 주권매매거래정지해제 (상장유지 결정)
- 의미: 상장폐지라는 최악의 리스크가 해소됨.
- 2025-05-21 2: 소속부변경 (중견기업부 -> 벤처기업부)
- 의미: 과거 한정의견 이력1 등으로 인해 관리 등급이 조정되었음을 시사.
- 2025-07-18 2: 단일판매ㆍ공급계약체결 (자율공시)
- 계약 상대: 블루버드환경(주)
- 계약 내용: Nairyah, Rumah SCR 촉매 모듈 공급 계약
- 계약 금액: 46억 9,900만 원 (최근 매출액 대비 5.3%)
- 계약 기간: 2025-07-17 ~ 2027-03-31
- 의미: 상장유지 결정 후 첫 번째 수주 공시로, 영업이 정상화되고 있음을 알리는 신호탄.4
최신 핵심 뉴스 링크 (3개)
제공된 자료4에는 'SMR 포럼'이나 '셀룰로오스 나노섬유' 등 (주)나노(187790)의 현재 사업과 직접적 관련성이 낮은 키워드 매칭형 뉴스가 포함되어 있다. 기업 활동과 직접 연관된 핵심 뉴스는 다음과 같이 선별한다.
- [증권사 리포트] (주)나노: 친환경 선박 엔진이 끌고, 데이터센터가 민다 (2025.08.19) 4
- 링크: 4
- 핵심: 2026년 매출 1,232억, 영업이익 81억 전망. 170억 CAPEX3를 턴어라운드의 핵심 근거로 제시. 52주 최고가8를 촉발한 핵심 재료.
- [공시 기반] 나노, 블루버드환경과 47억 규모 SCR 촉매 모듈 공급 계약 (2025.07.18) 4
- 링크: 4
- 핵심: 상장유지 결정2 이후, 실제 본업5에서 수주가 발생하고 있음을 시장에 증명.
- [리스크] 나노 "자사주 날리긴 아깝다"…교환사채 외 생존법 찾는 기업들 (한국경제, 2025.11.05) 4
- 링크: 4
- 핵심: 170억 CAPEX3와 20억 관계사 투자3를 집행하는 과정에서 자금 조달의 필요성이 있음을 암시. 잠재적 오버행(물량 부담) 리스크를 시사하는 뉴스.
(IX) 기타 투자 참고 사항 (대내외 변수)
- 대외 변수:
- 해운 및 조선 업황: 신조선 발주량과 IMO 규제5 집행 강도가 SCR 촉매 수요와 직결된다.
- 글로벌 원자재 가격: 촉매 제조에 사용되는 원재료(티타늄, 바나듐 등) 가격 변동은 신규 라인의 원가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정부 정책: CCUS7 및 수소9 관련 정부 예산안의 실제 집행 속도가 신사업 확장 가능성에 영향을 준다.
- 대내 변수:
- 관계사 NBG(엔비지) IPO: (주)나노는 NBG의 상장(IPO)을 위해 20억 원 규모의 지분을 추가 취득했다.3 NBG의 상장 성공 여부는 (주)나노의 투자금 회수 및 재무구조 개선에 영향을 줄 수 있는 2차 변수이다.
- 후속 수주: 7월의 47억 원4 수주 이후, 11월 30일3 신공장 준공 시점까지 170억 원의 투자를 정당화할 대규모 추가 수주 공시가 나오는지 여부가 2026년 실적4의 신뢰도를 결정한다.
(X) 면책 사항 고지
- 본 보고서는 2025년 11월 15일을 기준으로 제공된 자료2 및 공시 정보를 기반으로 작성되었다.
- 본 보고서의 내용은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하며, 특정 종목에 대한 매수 또는 매도 추천을 의미하지 않는다.
- 제공된 데이터의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 노력했으나, 부정확하거나 누락된 정보가 있을 수 있다.
- 본 보고서에 포함된 모든 예측과 전망(특히 2026년 실적 추정 및 미래 주가 예측)은 분석가의 주관적 판단을 포함하며, 미래의 실제 결과와 다를 수 있다.
- 모든 투자의 최종 결정과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으며, 본 보고서는 어떠한 경우에도 법적 책임의 근거 자료로 사용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