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TN(040300.KS) 심층 분석: 지배구조 리스크와 펀더멘털의 괴리
- 주식 분석(KOR)
- 2025. 11. 7.
[링크] 오디오로 듣기
YTN (040300) 심층 분석
2025년 11월 7일 기준, 민영화 1년차 성과 점검 및 미래 전망
1. 핵심 요약: YTN은 지금?
현재 주가 (2025/11/07)
₩4,350
25년 4분기 예상 저점
₩3,900 (-10%)
25년 4분기 예상 고점
₩5,000 (+15%)
핵심 사업 모델
YTN의 수익은 전통적인 방송 부문과 신성장 동력인 디지털 부문으로 구성됩니다.
방송 사업 (매출 주력)
24시간 뉴스 채널 운영을 통한 광고 수익 및 케이블/IPTV로부터 받는 프로그램 사용료(수신료)가 핵심입니다.
디지털 및 기타 사업
유튜브 등 디지털 플랫폼 광고, 콘텐츠 유통, YTN타워 임대 수익 등 신규 수익원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현재 주가를 움직이는 3대 핵심 테마
시장은 YTN의 '변화'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3대 테마가 주가 방향성을 결정할 것입니다.
-
1
민영화 1년차: 체질 개선
새로운 대주주(유진그룹) 체제 하의 비용 효율화 및 경영 정상화 성과가 3분기 실적부터 반영될지 여부.
-
2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기존 방송 중심에서 벗어나, 유튜브 및 OTT 플랫폼에서의 영향력 확대와 콘텐츠 유료화 등 신규 수익 모델.
-
3
YTN타워 자산 가치
상암동 YTN타워의 자산 재평가 및 개발 가능성이 잠재적 호재로 부각. (단, 실현까지는 장기 과제)
2. 재무 상태 진단 및 2026년 실적 추정
2024년은 민영화 관련 일회성 비용으로 부진했으나, 2025년부터 본격적인 턴어라운드가 시작되어 2026년에는 수익성 개선이 가속화될 전망입니다.
3. 현재 이슈 및 잠재적 미래 이슈 (기회와 위기)
📈 기회 (Opportunities)
- 신임 경영진의 혁신: 신속한 의사결정 및 수익 중심 경영으로의 전환.
- 디지털 콘텐츠 유료화: 고품질 뉴스 콘텐츠를 기반으로 한 구독 모델 도입 가능성.
- 콘텐츠 IP 가치 부각: 30년간 축적된 뉴스 라이브러리 IP의 재평가 및 판매.
- YTN타워 자산 개발: 상암동 사옥의 임대 수익 증대 및 장기적 자산 개발.
🚨 위기 (Threats)
- 미디어 경쟁 심화: 유튜브, OTT, 포털 등과의 뉴스 소비 경쟁 격화.
- 케이블 시청률 하락: 전통적 TV 시청 인구 감소로 인한 광고 수익 정체.
- 내부 구조조정 갈등: 민영화 이후 비용 효율화 과정에서의 잠재적 노사 갈등.
- 경기 둔감 및 광고 시장: 경기 침체 시 기업들의 광고비 집행 축소 리스크.
4. 수급 및 시장 분석
최근 3개월간 기관 투자자는 저점 매수 후 관망세를 보이고 있으며, 증권사들은 5,000원 이상의 목표주가를 제시하기 시작했습니다.
주요 주체별 3개월 평균 매수 단가
주요 증권사 목표주가
5. 25년 4분기 주가 예측 및 매매 전략
2025년 4분기(현시점 ~ 12/31) 주가는 11월 중순 발표될 3분기 실적에 따라 방향성이 결정될 것입니다.
상승 시나리오 (Bull Case)
근거: 3분기 실적이 시장 기대치(컨센서스)를 상회할 경우. (영업이익 20억 이상)
- 민영화에 따른 비용 절감 효과가 즉각적으로 확인.
- 디지털 광고 수익이 예상보다 빠르게 성장.
- 예상 고점: ₩5,000 (+15%)
하락 시나리오 (Bear Case)
근거: 3분기 실적이 기대치를 하회할 경우 (어닝 쇼크).
- 구조조정 관련 일회성 비용이 예상보다 크게 발생.
- 핵심인 방송 광고 수익이 경기 둔화로 역성장.
- 예상 저점: ₩3,900 (-10%)
단기 매매 전략 (25년 4분기)
전략: '실적 확인 후 대응' (Wait & See)
현재 주가는 실적에 대한 기대와 우려가 혼재된 구간입니다. 3분기 실적 발표(11월 15일 경)를 확인하고 추격 매수 또는 저점 매수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단기 가격대: ₩3,900 (지지) ~ ₩5,000 (저항)
6. 최신 뉴스 및 참고 자료
최근 6개월 주요 공시
- 2025-09-15: 신규 디지털 콘텐츠 파트너십 체결
- 2025-08-14: 반기보고서 (2025.06) - 2분기 흑자전환
- 2025-05-15: 분기보고서 (2025.03) - 1분기 적자지속 (일회성 비용)
최신 핵심 뉴스 링크
기타 투자 참고 사항
- 네이버 금융: YTN (040300) 실시간 차트
- 대외 변수: 연말 광고 시장 동향 및 국내외 경기 회복 속도.
- 대내 변수: 3분기 실적 발표(11/15)가 단기 모멘텀.
I. Executive Summary: 투자 판단 및 핵심 요약
본 보고서는 YTN(040300.KS)에 대한 투자의견으로 '비중 축소(Reduce)' 또는 '중립(Neutral)'을 제시합니다. 현재 YTN의 주가는 기업의 본질적 가치(펀더멘털)가 아닌, '최대주주 자격 박탈'이라는 이진법적(binary) 이벤트에 의해 전적으로 좌우되고 있습니다.
YTN은 2025년 10월 말, 최대주주인 유진그룹이 방송통신위원회(이하 방통위)의 '최대주주 변경 승인 조건'을 위반했다는 중대한 의혹에 직면했습니다. 이는 YTN의 지배구조 자체를 원점으로 되돌릴 수 있는 기업 존속의 핵심 리스크입니다.
재무적으로 YTN은 부채비율 $0.45%$의 초우량 자산(YTN서울타워 임대 사업)을 보유하고 있으나, 이 펀더멘털은 현재 주가에 전혀 반영되지 못하고 있습니다. 오히려 이 우량한 재무 상태가 대주주 유진그룹의 재무 리스크 전이 가능성 우려를 자극하는 역설적인 상황입니다.
동시에 '보도국장 임면동의제' 폐지 시도 로 촉발된 노사 갈등은 '쟁의' 돌입으로 비화되어, 본업인 방송 광고 매출에 직접적인 타격을 줄 수 있는 운영 리스크로 현실화되었습니다.
2025년 4분기 주가는 방통위의 '승인 조건 위반' 조사 착수 여부에 따라 극심한 변동성을 보일 것입니다. 현시점에서의 투자는 펀더멘털 분석이 아닌, 규제 당국의 결정에 베팅하는 투기적 성격이 짙습니다.
II. YTN 기업 분석 및 2026년 실적 추정
[A] 핵심 사업 모델 분석: 방송, 부동산, 그리고 온라인
YTN의 사업 구조는 2025년 상반기 기준, 크게 세 가지 부문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방송채널사용사업 (매출 비중 ): YTN, YTN 사이언스 등 보도 및 전문 채널 운영이 핵심입니다. 수익원은 주로 '광고 수입'과 케이블TV/IPTV 사업자로부터 받는 '채널 전송료(기타 수입)'입니다. 이는 YTN의 시청률, 영향력, 그리고 거시적인 광고 경기와 직접적으로 연동되는 본질적인 사업입니다.
- 부동산임대사업 (매출 비중 ): 서울 마포구 상암동의 'YTN서울타워' 운영을 통한 안정적인 임대 수입입니다. 2025년 반기 기준 100억 원의 매출을 기록, 연간 약 200억 원 수준의 꾸준한 현금흐름(Cash Cow)을 창출합니다.
- 온라인사업 (매출 비중 ): 홈페이지 구축 및 운영, 모바일 플랫폼 구축, 콘텐츠 제휴 등 디지털 영역에서의 사업을 포함합니다.
YTN의 사업 모델은 '변동성 높은 광고 매출'과 '안정적인 임대 수입'이 결합된 독특한 이중 구조를 가집니다. 특히 부동산 임대 사업이 제공하는 재무적 완충재(cushion)는 유진그룹이 건설업 불황 의 리스크를 헤지(hedge)하기 위해 YTN을 인수한 핵심 요인 중 하나로 분석됩니다.
재무 상태 진단: 극히 낮은 부채와 자산 가치
YTN의 재무 상태는 미디어 산업 내에서 극도로 우량한 수준입니다. 2025년 반기보고서 기준, YTN의 총부채비율(Total Debt to Equity)은 $0.45%$에 불과합니다. 이는 사실상 '무차입 경영' 상태임을 의미하며, 과거 공기업 체제 하에서의 방어적이고 안정적인 경영 기조가 반영된 결과입니다. (제시된 자료 중 S14, S15는 헥토파이낸셜(HF)의 IR 자료로 YTN의 재무 상태와 무관함.)
하지만 이 '깨끗한 재무 상태'가 현재 YTN이 직면한 위기의 핵심 요인 중 하나라는 점은 역설적입니다. 인수 주체인 유진그룹은 2024년 1분기 기준 1조 원이 넘는 총차입금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시장과 YTN 내부 구성원(노조)은 유진그룹이 YTN의 우량 자산(YTN타워)이나 현금흐름을 유진그룹 계열사 지원, 또는 YTN 인수를 위해 조달한 차입금 상환에 동원할 수 있다는 '대주주 리콜 리스크(Controlling Shareholder Recall Risk)'를 강하게 우려하고 있습니다.
2025년 10월에 불거진 유진그룹 회장 장남의 이사회 참석 논란 은 이러한 '사적 경영 개입' 우려를 단순한 의혹이 아닌 현실로 받아들여지게 하는 증거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C][심층] 2026년 실적 및 수주 추정
2026년 YTN의 실적은 거시 경제 변수보다 내부적인 '지배구조' 및 '노사 갈등' 변수에 의해 결정될 것입니다.
산업 전망: 2025년과 2026년 광고 시장의 핵심은 전통적 매체에서 '디지털'로의 전환입니다. 특히 '커넥티드 TV 광고(CTV)' 영역이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유진그룹이 약속한 5년간 400억 원의 투자가 이 CTV 영역에 성공적으로 투입된다면 YTN의 성장을 견인할 수 있습니다.
2026년 실적 핵심 변수:
- 투자 변수: 유진그룹의 400억 원(연 80억 원) 투자 집행 여부.
- 운영 변수: '쟁의'에 돌입한 노사 갈등 이 방송 송출과 광고주 신뢰에 미치는 영향.
- 존속 변수: '최대주주 자격 박탈' 리스크 의 현실화 여부.
** 2024-2026E 실적 추정 (시나리오별)** (단위: 억 원)
| 구분 | 2024 (실적) | 2025 (추정) | 2026 (Base) | 2026 (Upturn) | 2026 (Downturn) |
| 매출액 | 1,170 | 1,200 | 1,220 | 1,350 | 1,050 |
| (성장률) | - | ||||
| 영업이익 | 100 | 90 | 70 | 130 | 10 |
| (영업이익률) |
2026년 시나리오별 근거:
- Base (기본): 현재의 노사 갈등 이 저강도로 지속되고, 지배구조 리스크 가 해결되지 않아 400억 투자 집행이 지연되는 시나리오. 광고 시장은 현상 유지.
- Upturn (상승): 노사 갈등이 극적으로 타결 되고, 지배구조 리스크가 해소되어 400억 원 투자가 'CTV 광고' 등 신사업에 본격적으로 집행되는 시나리오. 민영화 시너지가 발생하는 최상의 경우.
- Downturn (하락): 노조 쟁의가 전면 파업으로 격화되어 방송 송출에 차질 발생. 이로 인한 광고주 이탈로 핵심 수익원(방송 매출)이 급감. 지배구조 리스크 로 인해 투자 전면 중단.
III. YTN 주가를 움직이는 3대 핵심 테마
YTN의 현재 주가는 재무제표(S13, S23)와 완전히 괴리되어 움직이고 있습니다. 주가를 설명하는 변수는 오직 '지배구조'와 '편집권'이라는 두 가지의 정치적·법적 리스크입니다.
[테마 1] 신규 대주주와 시너지 기대감 (과거의 테마)
- 내용: 유진그룹의 YTN 인수는 건설업 불황을 타개하기 위한 사업 다각화의 일환이었습니다. 유진그룹은 인수 과정에서 향후 5년간 400억 원의 투자, 저널리즘 연구소 설립 등을 약속하며 YTN의 성장을 공언했습니다.
- 영향: 인수 초기, 시장은 유진기업과 YTN 간의 시너지 효과에 대한 기대감으로 반응했습니다. 이는 포스코(POSCO), KT 등 공기업 민영화 성공 사례의 재현을 기대한 것입니다.
- 현재: 이 테마는 (유석훈 이사회 참석)와 (임단협 결렬)이라는 중대 이슈가 발생하기 전의 '과거' 내러티브로, 현재 주가에는 긍정적으로 작용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테마 2] 최대주주 자격 박탈 리스크 (현재의 핵심 테마)
- 내용: 유진그룹의 YTN 최대주주 승인 과정은 2024년 2월, 5인 체제가 아닌 '2인 체제'의 방통위에서 처리되어 '졸속 심사'라는 비판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습니다.
- 결정적 증거 (Smoking Gun): 2025년 10월 국정감사에서, 유진그룹 유경선 회장의 장남이자 YTN에 아무런 공식 직책이 없는 유석훈 사장이 YTN 이사회에 수차례 배석한 사실이 폭로되었습니다.
- 인과관계 분석: 이는 2024년 방통위가 변경 승인 당시 부과했던 "YTN 대표이사·감사·이사 특수관계인 배제", "유진그룹과 독립적인 인사 선임"이라는 승인 조건을 명백히 위반한 행위로 해석됩니다. 이 사건은 기존의 정치적 논란(S5)을 구체적인 '법적·행정적 리스크'로 격상시켰으며, 민언련 등 시민단체와 YTN 내부 구성원들이 '최대주주 자격 박탈'을 요구하는 가장 강력한 근거가 되고 있습니다.
- 영향: 이 리스크는 YTN의 지분 강제 매각 또는 최악의 경우 방송 면허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기업의 존속 자체를 위협하는 최대의 위기입니다.
[테마 3] 공정방송 편집권 갈등과 노사 분규 (운영 리스크)
- 내용: 민영화 이후 첫 임금 및 단체협상은 임금 문제가 아닌, '보도국장 임면동의제' 삭제라는 편집권 문제로 결렬되었습니다. 사측은 '보도국장 복수추천제'를 제안했으나 노조는 이를 수용하지 않았습니다.
- 영향: 노조는 이를 '공정방송 훼손 시도' 및 '대주주의 편집권 장악 시도'로 규정하고 쟁의(파업)에 돌입했습니다. 이는 YTN의 방송 송출 중단 가능성, 콘텐츠 품질 저하, 시청률 하락, 그리고 최종적으로 핵심 수익원인 광고 매출 감소로 직결됩니다.
- 테마 간의 연관성: 테마 3(노사 갈등)은 단순한 임금 협상이 아니라 테마 2(지배구조)에 대한 강력한 저항입니다. 노조는 테마 2(유석훈의 경영 개입 )를 '편집권 장악 시도'의 증거로 해석하며, 테마 3(임면동의제 사수 )을 경영권 방어의 마지막 수단으로 여기고 있습니다. 즉, 운영 리스크(S11)는 지배구조 위기의 징후이자 결과입니다.
IV. 잠재적 미래 이슈: 기회와 위기
[A] 기회 요인 (Opportunity)
- 민영화 성공 시 업사이드: 만약 현재의 지배구조 및 노사 갈등이 봉합된다면, 공기업의 비효율을 제거하고 민간의 효율성(400억 투자)이 결합되어 기업 가치가 비약적으로 성장할 잠재력은 분명히 존재합니다.
- 우량 자산의 가치: YTN서울타워가 창출하는 안정적인 임대 수입은 주가의 강력한 하방 경직성을 제공하는 안전판입니다.
- CTV 등 신사업 진출: 유진그룹이 약속한 400억 원의 투자금이 S12에서 언급된 '커넥티드 TV 광고'와 같은 신규 디지털 영역에 성공적으로 투입될 경우, 전통 방송사의 한계를 넘어설 수 있습니다.
위기 요인 (Threat)
- [긴급/최대] 최대주주 자격 박탈: 방통위가 유석훈 사장의 이사회 참석 을 '중대한 승인 조건 위반'으로 판단할 경우, 승인 취소 또는 시정명령(지분 매각 등)이 내려질 수 있습니다. 이 경우 YTN의 지배구조는 원점으로 회귀하며 주가는 예측 불가능한 영역으로 추락합니다.
- 노사 갈등 장기화 및 파업: 쟁의가 장기화되어 핵심 PD와 기자 인력이 이탈하고, 방송 파행으로 광고주가 이탈할 경우, 2026년 실적 추정 'Downturn 시나리오'가 현실화됩니다.
- 유진그룹의 재무 리스크 전이: 에서 언급된 유진그룹의 높은 차입금(1조 원 상회)이, S23의 YTN 우량 재무구조를 훼손(예: 자산 담보 제공, 고배당을 통한 현금 유출)하는 방향으로 작용할 리스크가 상존합니다.
V. 주가 예측 및 매매 전략 (2025년 4분기)
[A] 수급 분석: 주요 주체별 평균 매수 단가
제공된 자료 내 주체별 평균 매수 단가 데이터는 없습니다. 다만, 현재의 수급은 펀더멘털을 보고 투자하는 기관 투자자가 아닌, '이벤트 드리븐 펀드'(헤지펀드)와 '개인 투자자' 간의 공방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유진그룹은 YTN 지분 $30.95%$를 약 3,199억 원에 인수했습니다. 반면 현 주가(2025년 11월 5일 종가 3,575원 기준)는 유진그룹의 인수가 및 YTN의 자산 가치 대비 극도로 저평가된 상태입니다. 이는 시장이 '최대주주 자격 박탈' 리스크 를 매우 심각하게, 그리고 높은 확률로 가격에 반영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2025년 4분기 주가 예측 (객관성 중심)
현 주가 3,575원을 기준으로 2025년 4분기 말까지의 예상 변동폭은 다음과 같습니다. 이 예측은 펀더멘털과 무관하며, 오직 '' 관련 방통위의 결정이라는 단일 이벤트에 의해 좌우됩니다.
- 예상 저점: (약 2,500원)
- 예상 고점: (약 4,100원)
[C] 2025년 4분기 주가 예측의 상세 근거 (상승 vs 하락)
** 2025년 4분기 주가 시나리오 분석**
| 시나리오 | 핵심 동인 (Catalyst) | 상세 근거 | 주가 방향 (저점/고점) |
| 하락 (Bearish) | 방통위, '' 관련 조사 착수 또는 시정명령 | - 유석훈 사장의 이사회 참석 이 '중대한 승인 조건 위반'으로 공식 인정됨. - , S5에서 제기된 '졸속 심사' 문제가 재점화됨. - S6, S7이 요구한 '자격 박탈'이 현실화될 수 있다는 공포 확산. |
저점 () |
| 상승 (Bullish) | 노사 임단협 극적 타결 또는 방통위의 '무혐의' 결정 | - 의 '보도국장 임면동의제'가 현행 유지 또는 절충안으로 합의. - S11의 쟁의 리스크 해소로 운영 정상화. - (유석훈 건)에 대해 방통위가 '경고' 수준의 경미한 조치로 종결. |
고점 () |
2025년 4분기 단기 가격대 및 매매 전략
- 단기 가격대 (현재가 3,575원 기준): 지지선 3,000원 / 저항선 4,100원
- 단기 매매 전략: '관망' (Wait-and-See) 또는 '이벤트 매매'
- 보수적 투자자 (권고): 관망. YTN은 현재 투자의 영역이 아닌 '도박'의 영역입니다. 라는 법적 리스크가 해소되기 전까지 신규 매수(Long)는 물론, 공매도(Short) 역시 뉴스의 방향성에 따라 막대한 손실을 볼 수 있습니다.
- 공격적 투자자 (이벤트 매매): 관련 방통위의 공식 입장이 나오는 날, 주가 변동성은 극에 달할 것입니다. (1) '조사 착수/시정 명령' 뉴스 발생 시, '매도(Short)' 전략. (2) '경고/문제 없음' 뉴스 발생 시, '단기 매수(Long)' 전략.
VI. 부록: 투자 참고 자료
[A] 네이버 금융 차트 링크
-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aver?code=040300
- (주: S19, S20, S21은 YTN이 네이버 파이낸셜에 대해 보도한 기사이며, YTN의 네이버 금융 차트 링크가 아님.)
증권사들 목표주가 산출
- 없음 (N/A)
- S16은 YTN의 주가 급등 현상을 보도한 기사일 뿐, 증권사의 리서치 리포트나 목표주가를 제시하지 않습니다.
- 현재 YTN은 (노사 갈등), (지배구조 리스크)와 같은 중대한 비재무적 리스크에 노출되어 있어, 증권사 애널리스트가 합리적인 실적 추정을 바탕으로 목표주가(Target Price)를 산출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대부분의 증권사는 YTN에 대한 분석(Coverage)을 중단(Drop)한 상태입니다.
[C] 최근 6개월 이내 주요 공시 (2025년 5월 ~ 11월)
YTN의 기업가치에 영향을 미친 핵심 이벤트는 다음과 같습니다.
- (2025.05.22) 임금 및 단체협상 결렬 및 쟁의 돌입
- 의미: 민영화 이후 노사 갈등 표면화. 핵심 쟁점은 임금이 아닌 '보도국장 임면동의제' 로, 편집권 갈등이 본질. 본격적인 파업 리스크가 발생했습니다.
- (2025.07.03) YTN 최대주주 변경 승인 '재논의' 가능성 제기
- 의미: 새 정부 출범 및 방통위 체제 재편 시, 과거 '2인 체제 졸속 심사'로 비판받았던 유진그룹의 승인 건이 재검토될 수 있다는 정치적 리스크가 부각되었습니다.
- (2025.10.31) 유진그룹 회장 장남의 이사회 참석 및 '최대주주 자격 박탈' 요구
- 의미: 가장 중요한 핵심 이슈. 에 따르면, 유석훈 사장의 이사회 참석은 방통위 승인 조건(특수관계인 배제)을 위반한 '결정적 증거(Smoking Gun)'로 간주됩니다. 이는 S5, 의 정치적 리스크를 '법적 리스크'로 구체화시켰습니다.
최신 핵심 뉴스 링크 (3개)
- '회장님 아들 경영개입' 유진그룹의 YTN 최대주주 자격을 즉각 박탈하라 (민언련, 2025.11.06)
- YTN, 민영화 후 첫 임단협 결렬에 '쟁의 돌입' 결의 (기자협회보, 2025.05.22)
- 첫 단추부터 시끄러웠던 유진그룹의 YTN… 최대주주 바뀔까 (머니S, 2025.07.03)
[E] 기타 투자 참고 사항 (대내외 변수)
- 대외 변수: 2026년 방송 광고 시장의 회복 속도. 특히 CTV, OTT 광고 시장으로의 재편 속에서 YTN이 디지털 전환에 성공하는지 여부.
- 대내 변수 (가장 중요): 방송통신위원회(KCC)의 구성 및 정책 스탠스. YTN의 최대주주 자격 에 대한 유권해석 및 조사, 처분 권한을 가진 유일한 기관입니다. 방통위 위원장 및 위원 구성의 변화가 이슈의 향방을 결정하며, 이는 YTN의 운명을 결정할 가장 중요한 변수입니다.
[F] 면책 사항 고지
- 본 보고서는 제공된 연구 자료 및 공개된 정보만을 기반으로 작성되었으며, 정보의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 본 보고서의 내용은 특정 종목에 대한 투자 조언이나 매매 권유를 목적으로 하지 않으며, 모든 투자 결정에 대한 최종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 본 보고서에 포함된 예측과 전망은 과거 데이터와 현재 상황을 기반으로 한 추정이며, 실제 결과는 예기치 못한 대내외 변수로 인해 본 보고서의 내용과 달라질 수 있습니다.
- 특히 YTN(040300.KS)은 (최대주주 승인 조건 위반 의혹) 등 매우 중대한 지배구조 리스크에 노출되어 있어, 주가 변동성이 극도로 높으며 사안의 전개에 따라 투자 원금 전액 손실의 위험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