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가닉티코스메틱 (900300): 340억 원 유증, 생존과 턴어라운드의 갈림길

[링크] 오디오로 듣기

오가닉티코스메틱 (900007.KQ) 심층 분석

오가닉티코스메틱 핵심 사업 및 재무 상태 진단

본 리포트는 오가닉티코스메틱의 핵심 비즈니스 모델을 분석하고, 현재 재무 상태와 2026년 실적을 추정합니다. 또한 주가를 움직이는 테마와 잠재적 이슈를 점검하여 객관적인 투자 전략을 제시합니다.

(주의: 본 리포트의 모든 데이터는 예시 목적으로 생성된 가상의 수치입니다.)

1. 핵심 사업: Value Chain

동사는 유기농 찻잎에서 추출한 원료를 기반으로 한 화장품 제조 및 유통을 핵심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습니다. Value Chain은 원료 소싱부터 R&D, 제조, B2B/B2C 유통까지 수직 계열화되어 있습니다.

1 원료 소싱: 제주/해외 유기농 차 농장 계약 재배
2 R&D 및 제형 개발: 특허 원료 (EGCG-X) 개발
3 스마트 팩토리 제조: OEM/ODM 및 자체 브랜드 생산
4 유통: (B2C) 온라인/면세, (B2B) 글로벌 수출

2. 재무 상태 및 2026년 실적 추정

최근 3년간 견조한 매출 성장을 보였으며, 2025년 신규 시장 진출로 2026년까지 높은 성장이 예상됩니다. 영업이익률 또한 원가 개선으로 꾸준히 상승 추세입니다.

3. 현재 주가를 움직이는 3대 핵심 테마

현재 시장은 다음 세 가지 핵심 테마에 반응하고 있으며, 이는 주가 변동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

글로벌 K-뷰티 확장

북미 및 동남아 시장에서의 K-뷰티 수요 증가. 특히 동사의 '비건', '오가닉' 컨셉이 트렌드와 부합하며 수출 실적 급증.

🔬

신소재 R&D 모멘텀

항노화 특허 원료 'EGCG-X'의 임상 3상(가상) 결과 발표 기대감. 기존 원료 대비 30% 높은 효능으로 밸류에이션 리레이팅 기대.

🤖

AI 기반 수요 예측

AI를 통한 재고 관리 및 수요 예측 시스템 도입. 재고 회전율 개선 및 비용 절감으로 인한 수익성 향상.

4. 기회(Opportunities) 및 위기(Risks)

동사의 잠재적 기회 요인과 현재 직면한 위기 요인을 분석한 SWOT 요약입니다.

기회 (Opportunities)

  • 중국 시장 리오프닝 및 규제 완화
  • 아마존 등 글로벌 이커머스 채널 확대
  • 친환경 패키징 기술 고도화
  • 고령화에 따른 안티에이징 시장 성장

위기 (Risks)

  • 경쟁사 LVMH, 에스티로더의 오가닉 시장 진출
  • 주요 원자재(유기농 찻잎) 가격 변동성
  • 특정 시장(북미)에 대한 높은 매출 의존도
  • 환율 변동에 따른 수익성 악화 가능성

7. 수급 분석: 주체별 평균 매수 단가

최근 3개월(가상) 기준, 주요 투자 주체별 평균 매수 단가입니다. 기관의 매수 단가가 현 주가 대비 높아, 잠재적 지지선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14. 증권사 목표주가

최근 1개월 내(가상) 발표된 주요 증권사들의 목표 주가 컨센서스입니다. 현 주가(2,800원 가정) 대비 평균 30% 이상의 상승 여력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10. 2025년 4분기까지 주가 예측 (객관성 중심)

실적 추정치와 산업 PER, 주요 모멘텀(R&D, 수출)을 반영한 2025년 4분기까지의 예상 주가 밴드입니다. 기본 시나리오는 3,800원을 중심으로, 상단 4,500원, 하단 3,200원의 밴드를 형성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11. 예측 근거 (상승 vs 하락)

▲ 상승 요인
  • 2025년 3분기 북미 수출 실적 50% (YoY) 성장
  • EGCG-X 원료, 유럽 화장품 원료 등록 완료
  • 자사주 매입 및 소각 발표 (가상)
▼ 하락 요인
  • 원/달러 환율 급등으로 인한 원가 부담
  • 국내 기관 5% 이상 지분 매각 (오버행 이슈)
  • 경쟁사 가격 인하 정책

8, 9, 12. 예상 가격대 (% 기준)

현 주가 (2,800원) 기준

예상 저점 (25년 4분기)
3,200원
(+14.3%)
예상 고점 (25년 4분기)
4,500원
(+60.7%)

13. 단기 매매 전략

변동성을 이용한 전략이 유효합니다.

  • 1차 지지선 (3,100원): 기관 평균 매수 단가 근접 시 분할 매수 접근.
  • 1차 저항선 (3,800원): 1차 목표가. 비중 50% 축소.
  • 손절선 (2,900원): 3분기 실적(가상) 하회 시 이탈 간주.

15. 최근 6개월 주요 공시 (가상)

2025년 5월 ~ 11월 기준 주요 공시 내역입니다.

일자 제목
2025-10-28 3분기 보고서 (연결)
2025-09-15 특허권 취득 (EGCG-X 항노화 조성물)
2025-08-01 무상증자 결정 (1:1)
2025-06-05 타법인 주식 및 출자증권 양수 결정

19. 면책 사항 고지

본 리포트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투자자의 투자 판단을 돕기 위한 참고 자료이며, 투자 권유를 목적으로 하지 않습니다. 본 리포트의 모든 데이터와 분석 내용은 가상으로 작성된 예시이며, 실제 사실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제공된 정보에 따른 투자 결정은 투자자 본인의 판단과 책임 하에 이루어져야 하며, 당사는 어떠한 경우에도 본 자료의 정보에 의존하여 행해진 투자 결과에 대해 법적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 2025 Stock Analysis Infographic. All Rights Reserved.
This report was generated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I. 투자 요약 (Executive Summary & Investment Thesis)

오가닉티코스메틱은 연평균 18%에 달하는 고성장 중국 영유아 화장품 시장이라는 유망한 산업에 속해 있습니다.1 그러나 동사의 전략과 현실 간의 괴리는 극명합니다. 2022년 848억 원이라는 막대한 당기순손실을 기록한 데 이어 2, 2024년 3분기 누적 매출은 시장 성장과 반대로 전년 대비 14.5% 감소하며 심각한 경영 위기에 직면했습니다.3

2025년 10월, 동사는 시가총액(약 340억 원) 4에 육박하는 340억 원 규모의 제3자배정 유상증자에 성공하며 급박한 유동성 위기는 해소했습니다.5 하지만 이는 성장을 위한 자금이 아닌 '생존'을 위한 자금 수혈의 성격이 강합니다. 연간 800억 원에 육박하는 과거의 현금 소진 속도를 감안할 때 2, 이 자금은 대규모 구조조정을 전제로 2026년 신제품 출시 7 및 강화된 중국의 '작은황금방패' 안전 규제 1 대응에 사용될 것입니다.

따라서 오가닉티코스메틱에 대한 투자는 '성장주' 투자가 아닌, '생존(Survival)' 및 '턴어라운드(Turnaround)'에 대한 투기적(Speculative) 베팅입니다.

2025년 4분기 주가는 펀더멘털과 무관하게 두 가지 강력한 힘에 의해 좌우될 것입니다. 11월 14일 상장 예정인 1억 주의 신주(발행가 340원) 5는 막대한 오버행(Overhang) 압력으로 작용하는 반면, 340억 원의 자금 확보와 최대주주의 증자 참여 8는 단기 파산 리스크 해소라는 긍정적 신호로 작용하며 극심한 변동성을 유발할 것입니다.

II. 기업 개요 및 핵심 사업: 'Tea Baby'의 도전

핵심 사업 모델

오가닉티코스메틱의 핵심 사업은 'Tea Baby'라는 단일 브랜드를 통한 중국 영유아 화장품의 제조 및 유통입니다.9 동사는 중국 최초이자 유일한 '차(Tea)' 기반의 '유기농(Organic)' 영유아 화장품이라는 정체성을 확립했습니다. '차' 원료의 자연 치유력과 저자극성을 바탕으로 '녹색(Green), 유기(Organic), 안전(Safe)'이라는 3대 가치를 핵심 경쟁력으로 내세웁니다.9

주요 제품 포트폴리오는 영양 샴푸 및 바디워시, 영아용 건강세제, 보습 크림, 모기기피제 등 영유아 스킨케어 전반을 아우릅니다.10

타겟 시장 및 전략

동사의 핵심 타겟 시장은 중국의 영유아 화장품 시장입니다. 2016년 중국 정부의 '1가구 2자녀' 정책 9 및 2021년 '산아제한 조치 폐지' 11에 따른 구조적인 시장 성장에 초점을 맞췄습니다. 과거 중국산 소비재의 안전성 문제로 인해 높아진 수입 및 친환경 브랜드 선호도를 공략하는 '선택과 집중' 전략을 구사해왔습니다.9

전략과 현실의 괴리

설립 당시의 전략 논리는 명확했으나, 현재 실적은 이와 정반대의 방향을 가리키고 있습니다. 2024년 중국 아동 스킨케어 시장이 연 18%의 견조한 성장을 기록한 반면 1, 동사의 2024년 3분기 누적 매출은 14.5% 감소했습니다.3 이는 2016년의 설립 논리9와 달리, 2024~2025년 현재 'Tea Baby' 브랜드가 중국 시장 내에서 경쟁력을 상실했거나 심각한 영업 차질을 빚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안전' 가치의 치명적 리스크 전환

동사의 핵심 가치인 '안전(Safe)' 9은 과거 강력한 마케팅 포인트였습니다. 하지만 2022년 '아동 화장품 감독관리 규정' 및 2025년 8월 '화장품 안전 리스크 모니터링' 시행 등 중국 정부의 강력한 규제 드라이브는 이 '안전'을 마케팅이 아닌 필수 규제로 변모시켰습니다.1

특히 국가 인증 마크인 '작은황금방패(小金盾)' 획득이 의무화되었으며 1, 이는 동사에게 생존의 허들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만약 동사가 이 신규 규제1에 적시 대응하지 못했다면, 이는 2024년 매출 급감3의 직접적인 원인 중 하나로 설명될 수 있습니다.

III. 재무 상태 정밀 진단: 생존을 위한 자금 수혈

손익 분석: 적자 구조의 고착화

오가닉티코스메틱의 재무 구조는 2022년 이미 심각하게 붕괴되었습니다. 2022년 연결재무제표 기준, 매출액 2,255억 원에도 불구하고 638억 원의 영업적자와 848억 원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했습니다.2

이러한 적자 구조는 2024년과 2025년에도 이어졌습니다. 2024년 3분기(1~9월) 누적 매출은 1,157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4.5% 감소하며 외형이 꺾였습니다.3 2025년 1분기에는 197억 원의 순손실을 기록했습니다.6 이를 연간으로 환산 시 약 788억 원의 순손실이 추정되며, 2022년2의 막대한 손실 규모가 2025년까지 지속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최신 재무 지표(2025년 11월 기준)는 주당순이익(EPS) -650.9, 주가수익비율(PER) -0.57로 극단적인 적자 상태를 반영합니다.4

재무 안정성 평가: 긴급 수술의 연속

동사는 한계에 다다른 재무 상태를 개선하기 위해 두 차례의 긴급 수술을 단행했습니다.

  1. 2024년 11월 (1차 수술): 10:1 무상감자(주식병합)를 단행했습니다.12 발행 주식 수가 4억 8,809만 주에서 4,880만 주로 줄었으며, 이는 누적 결손금을 보전하고 자본잠식 위기를 회피하기 위한 조치였습니다.
  2. 2025년 10월 (2차 수술): 340억 원 규모의 제3자배정 유상증자(신주 1억 주)를 결정했습니다.5 이는 상장폐지 위기를 모면하기 위한 필수적인 자금 수혈이었습니다.

340억 유증의 양면성: 현금 소진 속도 vs. 생존 기간

이번 유상증자5의 의미를 정확히 파악해야 합니다. 동사의 연간 현금 소진(Cash Burn) 규모는 2022년 순손실(848억 원) 2과 2025년 1분기 순손실(197억 원, 연환산 788억 원) 6을 기준으로 볼 때, 보수적으로도 연간 700억~800억 원에 이릅니다.

이번에 조달한 340억 원 5은, 만약 과거와 동일한 속도로 현금을 소진한다면, 약 6개월 분의 생명 연장 자금에 불과합니다. 이는 2026년 신제품 출시7까지 버티기에 부족한 금액입니다.

따라서 이 유상증자5는 '과거의 적자를 메우기 위한 자금'이 아니라, '대규모 구조조정(비용 절감)을 전제로 한 2026년 신제품7 개발 및 마케팅을 위한 자금'으로 해석해야 합니다. 투자자는 공시되지 않은 막대한 규모의 비용 절감이 동반되고 있음을 전제로 이 유상증자를 평가해야 합니다.

[표 1] 오가닉티코스메틱 핵심 재무 현황 (2022-2025)

구분 2022년 (결산) 2024년 (3Q 누적) 2025년 (1Q) 2025년 (현재 지표)
매출액 2,255억 원 1,157억 원 442억 원 (추정치)* 1,771억 원 (LTM)**
영업이익 -638억 원 - -199억 원 (추정치)* -
당기순이익 -848억 원 - -197억 원 -
EPS (원) - - - -650.9
자료: 2 3 6 4

*주: 6의 1분기 순이익률(-44.6%) 및 영업이익률(-45.0%)을 기반으로 역산 추정.

**주: LTM (Last Twelve Months, 최근 12개월) 기준 매출액.4

IV. 현재 주가를 움직이는 3대 핵심 테마

테마 1 (생존): 340억 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

2025년 10월 29일 공시된 340억 원 규모의 제3자배정 유상증자 5는 현재 주가를 움직이는 가장 강력한 재료입니다.

  • 긍정적 측면: 시가총액(339.8억 원) 4에 맞먹는 규모의 자금 확보로, 단기적인 파산 및 상장폐지 리스크가 소멸되었습니다.
  • 부정적 측면: 2024년 감자 12 이후 약 9,600만 주 4였던 발행 주식 수가 1억 주 5 추가 발행으로 두 배 이상 늘어나는 극심한 주가 희석(Dilution)이 발생했습니다.

테마 2 (기대): 2026년 신제품 및 중국 시장 성장

동사는 2026년 상반기부터 신제품이 본격 생산/판매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7 이는 연 18%씩 고성장하는 중국 아동 스킨케어 시장 1의 수혜를 다시 받겠다는 '턴어라운드 스토리'의 근간이 됩니다. 과거 2021년 '산아제한 폐지' 뉴스만으로 주가가 9% 이상 급등했듯이 11, 동사 주가는 중국 정책 및 시장 테마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특성이 있습니다.

테마 3 (수급): 투기적 변동성 및 최대주주 참여

오가닉티코스메틱은 '유아용품', '화장품 브랜드', '국내 상장 중국주'라는 3대 테마에 모두 속해있습니다.13 이로 인해 펀더멘털(EPS -650) 4과 무관하게 투기적 수급에 의해 주가가 급등락합니다. 2025년 11월 7일에는 VI(변동성 완화 장치)가 발동하며 22.88% 급등하기도 했습니다.13

이러한 수급 공방의 핵심에는 이번 유상증자 5에 최대주주(등기임원)인 LIN GUOQIANG이 1,110만 주(약 37.7억 원)를 배정받은 사실이 있습니다.5 이는 '책임 경영'의 시그널로 해석되어 투심에 긍정적으로 작용합니다. 반면, 외국인 투자자들은 최근 1주일간 30만 주 13에서 74만 주 14에 달하는 물량을 순매도하며 상반된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V. 핵심 이슈 및 잠재적 미래 이슈 (기회와 위기)

기회 요인 (Opportunities)

  1. [산업] 압도적인 시장 성장: 동사가 속한 중국 0~12세 아동 스킨케어 시장은 2024년 200억 위안 규모를 돌파했으며, 연평균 18%의 복합성장률(CAGR)을 기록 중입니다.1 업종 자체의 성장성은 매우 높습니다.
  2. [자금] 340억 원의 실탄 확보: 최악의 유동성 위기는 340억 원의 자금 수혈로 급한 불을 껐습니다.5 이 자금은 2026년 신제품 개발 7 및 강화된 안전 규제 1 대응을 위한 R&D에 투입될 것입니다.
  3. [기술] 신(新) 시장 트렌드 부합: 중국 시장은 '안전'을 넘어 '생체모사(바이오미믹스)'(피부 장벽 유사 성분) 및 '마이크로바이옴'(피부 미생물 균형) 기술로 진화하고 있습니다.1 만약 동사가 2026년 신제품 7에 이러한 기술을 성공적으로 접목한다면, 'Tea'라는 기존 컨셉 9을 뛰어넘는 퀀텀 점프가 가능합니다.

위기 요인 (Risks)

  1. [규제] '작은황금방패(小金盾)'라는 거대한 장벽: 2022~2025년에 걸쳐 강화된 중국의 신규 규제 1는 '안전 우선·조성 간소화'를 원칙으로 하며, '작은황금방패' 마크 획득을 강제합니다.1 유전자/나노 기술 원료 사용이 금지되고 엄격한 독성 평가가 요구됩니다.1 광둥성에서만 32%의 제품이 이 표시 누락으로 적발될 정도로 1 규제가 엄격합니다. 만약 동사의 2026년 신제품 7이나 기존 제품 10이 이 규제를 통과하지 못하면, 매출 자체가 0이 될 수 있는 치명적인(Fatal) 리스크입니다.
  2. [주식] 1억 주 신주 상장에 따른 오버행: 1억 주의 신주 52025년 11월 14일에 상장됩니다.5 발행가는 340원입니다. 현재가(약 400~430원) 13 기준, 340원에 주식을 받은 투자자들은 즉각적인 차익 실현 유인이 높습니다. 이는 기존 주식 수(약 9,600만 주) 4보다 많은 물량이 시장에 쏟아져나올 수 있음을 의미하며, 11월 14일 전후로 주가 급락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3. [펀더멘털] 시장과 역행하는 매출: 연 18% 1 성장하는 시장에서 연 14.5% 3 역성장하는 것은 동사의 'Tea Baby' 브랜드 9가 중국 소비자들에게 외면받고 있음을 방증합니다. 340억 원 5의 자금으로 이 트렌드를 되돌리지 못할 근본적인 위험이 존재합니다.
  4. [신뢰] '차이나 디스카운트': 동사는 국내 상장 중국 기업 2으로, 고질적인 '차이나 디스카운트'(회계 불투명성, 국내 투자자 보호 미흡)를 안고 있습니다. 2024년 감사 '적정' 2 의견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불신은 주가에 상시 할인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VI. [심층] 향후 산업 전망 및 2026년 실적/수주 추정

향후 산업 전망

중국 아동 스킨케어 시장은 2026년에도 18% 내외의 고성장을 이어갈 전망입니다.1 다만, 경쟁의 축이 '마케팅'에서 '규제 준수'와 'R&D'로 급격히 이동했습니다.

향후 시장을 주도할 핵심 키워드는 3가지입니다 1:

  1. 규제 (Regulation): '작은황금방패' 인증 준수 여부가 시장 진입의 전제 조건입니다.
  2. 기술 (Technology): '마이크로바이옴'(피부 미생물 균형) 및 '생체모사'(피부 장벽 유사 성분) 기술을 적용한 고기능성 제품이 시장을 주도할 것입니다.
  3. 안전 (Safety): '무자극', '프리바이오틱스' 성분에 대한 검색량이 150~260% 폭증하며 1, 안전성에 대한 소비자의 민감도가 최고조에 달했습니다.

2026년 실적 추정 (시나리오 분석)

오가닉티코스메틱의 2026년 실적 7이진법적(Binary) 결과로 나타날 것입니다. 이는 340억 원의 신규 자금 5이 '작은황금방패'라는 규제 장벽 1을 넘고 시장 성장 1에 편승할 수 있는지에 대한 결과입니다. 따라서 단일 추정치는 무의미하며, 시나리오별 접근이 필요합니다.

투자의 성공 여부를 가늠할 핵심 바로미터는 (1) '작은황금방패'1 인증 획득 공시와 (2) 2026년 상반기 신제품7 출시 일정 준수 여부입니다.

[표 2] 2025(E) ~ 2026(E) 시나리오별 실적 추정 (단위: 억 원)

항목 2025년 (추정) 2026년 (비관적: Bear) 2026년 (중립: Base) 2026년 (낙관적: Bull)
핵심 가정 적자 지속, 매출 감소 규제 실패, 신제품 좌절 규제 통과, 점진적 회복 신제품 성공, 시장 점유율 회복
매출액 1,300 500 1,500 2,500
영업이익 -600 -800 -150 +100
근거 3 1 1 2
  • 2026년 비관적 (Bear) 시나리오: '작은황금방패' 규제 1 통과에 실패하고 신제품 7 출시가 좌절되는 경우입니다. 매출은 급감하고 340억 원 5의 자금은 소진되며 유동성 위기가 재발할 수 있습니다.
  • 2026년 중립 (Base) 시나리오: 규제를 통과하고 신제품을 출시하나, 이미 잃어버린 시장 점유율을 회복하는 데 시간이 걸리는 경우입니다. 매출은 2024년 수준 3 이상으로 회복되고, 구조조정 효과로 적자 폭이 대폭 축소됩니다.
  • 2026년 낙관적 (Bull) 시나리오: 신제품이 '마이크로바이옴' 등 신기술 1을 기반으로 시장에서 성공하고, 340억 원의 자금 5을 활용한 마케팅이 성공하여 2022년 수준 2의 외형을 회복하며 흑자 전환에 성공하는 경우입니다.

VII. 2025년 4분기 주가 예측 및 매매 전략

수급 분석: 주요 주체별 평균 매수 단가

최근 1주일간 외국인은 30만 주 13에서 74만 주 14에 달하는 대규모 순매도를 기록 중입니다. 기관은 거래에 거의 참여하지 않고 있으며 13, 개인 투자자와 외국인의 수급 공방이 치열합니다.

현재 시점에서 가장 중요하고 유일하게 확인 가능한 '핵심 주체'의 평균 매수 단가는 340원입니다.

  • 근거: 2025년 10월 제3자배정 유상증자 5에 참여한 최대주주 8 및 신규 투자자 6곳 5은 1억 주(총 340억 원)를 주당 340원에 배정받았습니다.
  • 의미: 340원은 이 기업의 생존에 베팅한 핵심 투자자들의 '진입 단가'이며, 2025년 4분기 시장에서 강력한 심리적, 기술적 지지선(Floor)으로 작용할 것입니다.

2025년 4/4분기 주가 예측 (객관성 중심)

  • 2025년 4/4분기 예상 저점: 315원 (현 주가 410원 대비 -23.1%)
    • 근거: 이는 52주 최저가 4입니다. 11월 14일 1억 주 오버행 5의 충격으로 340원의 유증가5가 일시적으로 붕괴될 경우 도달 가능한 패닉 셀링(panic selling) 가격대입니다.
  • 2025년 4/4분기 예상 고점: 809원 (현 주가 410원 대비 +97.3%)
    • 근거: 이는 52주 최고가 4입니다. 이는 펀더멘털에 기반한 목표 주가가 아니라, 2025년 4분기 내 13(일 22.88% 급등)와 같은 투기적 급등이 재현될 경우 도달 가능한 변동성의 상단을 의미합니다.

2025년 4/4분기 주가 예측의 상세 근거 (상승 vs 하락)

  • 상승 요인: (1) 340억 원 조달5로 인한 상장폐지 리스크 소멸, (2) 최대주주의 증자 참여8에 따른 책임 경영 부각, (3) 2026년 신제품7과 중국 시장1 성장에 대한 투기적 기대감.
  • 하락 요인 (현시점 우세): (1) [절대적] 2025년 11월 14일, 1억 주 5의 오버행 물량 출회. 340원에 받은 주식을 현 400원대에 매도하려는 차익 실현 압력이 단기적으로 주가를 누를 수밖에 없습니다. (2) 외국인의 지속적인 순매도.13 (3) EPS -650 4의 처참한 펀더멘털.

2025년 4/4분기까지의 단기 가격대 산출: 340원 ~ 450원 (현 410원 대비 -17.0% ~ +9.7%)

  • 근거: 11월 14일 5 오버행 충격을 감안할 때, 주가는 유증 발행가인 340원 5에서 강력한 지지를 테스트할 것입니다. 상단은 13의 급등(435원) 등 단기 투기성 자금이 유입되었던 450원 수준으로 제한될 것입니다.

2025년 4/4분기까지의 단기 매매 전략

  • 신규 진입 (무포지션) 투자자: '관망(Wait and See)'이 유리합니다. 11월 14일 5 이후 1억 주의 오버행 물량이 시장에서 소화되는 과정을 확인해야 합니다. 주가가 340원 근처로 하락할 경우, 340원을 손절선으로 잡고 '생존'에 베팅하는 분할 매수 접근은 가능합니다.
  • 공격적 트레이더: 11월 14일 5 전후의 극심한 변동성을 이용한 트레이딩. 340원 5을 명확한 '손절선'으로 설정하고, 340원~350원 구간에서 매수하여 400원 이상에서 단기 차익을 실현하는 전략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 기존 보유자: 유증 5으로 단기 생존 자금은 확보했으나, 주가 희석이 극심합니다. 비중 축소를 고려할 수 있으나, 340원 이하에서는 매도 실익이 없습니다. 2026년 턴어라운드 7를 기대한다면 장기 보유해야 하나, 이는 매우 높은 위험을 수반합니다.

증권사들 목표주가 산출

수집된 자료 1 및 공개된 정보(네이버 금융 등)에서 어떠한 국내 증권사도 오가닉티코스메틱에 대한 목표 주가나 공식 리서치 리포트를 발행하지 않았습니다.

이는 EPS가 -650 4에 달하고 2022년 848억 원 2의 적자를 낸 기업에 대해 밸류에이션(Valuation) 자체가 불가능함을 의미합니다. 또한 '차이나 리스크'로 인해 기관 투자자들의 분석 대상(Coverage)에서 완전히 제외되어 있음을 시사하는 강력한 '위험' 신호입니다.

VIII. 주요 공시, 뉴스 및 기타 참고 사항

최근 6개월 이내 주요 공시 (2025년 5월 ~ 11월)

  • 2025년 9월 26일: 임시주주총회 소집공고 15
    • 안건: 제3자배정 유상증자 승인의 건, CB 주식전환에 따른 주식발행의 건.15
    • 일시/장소: 2025년 10월 15일, 서울시 영등포구 이룸센터.15
  • 2025년 10월 29일: 제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 5
    • 목적: 운영자금 등 340억 원 조달.5
    • 신주 발행가: 340원.5
    • 신주 상장 예정일: 2025년 11월 14일.5
    • 주요 배정 대상: 최대주주(등기임원) LIN GUOQIANG(1,110만 주) 외 ZENG ZHAOJIE, Jinzheng Investment Co. PTE. LTD 등 6곳.5

최신 핵심 뉴스 링크 (3개)

  1. [2025.11.07][뉴스봇] 오가닉티코스메틱(900300)이 상승폭을 확대하고 있다 (22.88% 상승) 13
  2. [2025.10.29] 오가닉티코스메틱 3자 배정 신주 1억주 유상증자...운영자금 340억원 5
  3. [2025.10.15][업계] 중국 아동 스킨케어, '안전'이 핵심 경쟁력 (신규 규제 동향) 1

주가에 영향을 준 뉴스 (과거 사례)

  • 2021년 5월 28일: 중국 인민은행의 '산아제한 조치 폐기' 보고서 공개 11
    • 영향: 해당 뉴스가 보도되자, 동사 주가는 당일 9.68% 급등했습니다.11 이는 동사 주가가 펀더멘털보다 중국 정책 모멘텀에 얼마나 민감하게 반응하는지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네이버 금융 차트 링크

기타 투자 참고 사항 (대내외 변수)

  • 원/위안 환율: 동사의 재무제표는 위안화(RMB) 기준으로 작성된 후 원화(KRW)로 환산됩니다.17 원/위안 환율 변동성은 원화 환산 실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 지정학적 리스크: 한중 관계 악화 시, 'K-뷰티' 또는 '한국 상장'이라는 꼬리표가 중국 내 영업 9 및 국내 투자 심리 2에 동시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IX. 면책 사항 고지

본 보고서는 오가닉티코스메틱(900300)에 대한 투자 판단을 돕기 위한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하며, 공개된 정보 1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본 보고서의 내용은 투자 조언이나 특정 종목의 매수/매도를 권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지 않습니다.

본 보고서에 포함된 정보의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으며, 2026년 실적 추정치 7 및 2025년 4분기 주가 예측은 제3자배정 유상증자 5 및 중국 정부의 규제 1 등 다양한 내외부 변수에 따라 실제 결과와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모든 투자의 최종 결정과 그에 따른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으며, 본 자료는 어떠한 경우에도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 소재의 증빙으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