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스퀘어(402340): AI 시대, 하이닉스 이상의 가치를 증명하는 투자 지주회사
- 주식 분석(KOR)
- 2025. 11. 13.
[링크] 오디오로 듣기
SK스퀘어 (SK Square) 투자 분석
2025-2026 심층 분석 및 전망
데이터 기준: 2025년 11월 13일
핵심 사업: 포트폴리오 구성
SK스퀘어는 SK하이닉스를 중심으로 한 기술 투자 전문 회사입니다. 포트폴리오의 가치는 SK하이닉스의 실적에 크게 연동되며, 기타 비상장 자회사들의 가치 실현(IPO, M&A) 또한 주요 변수입니다.
SK하이닉스가 포트폴리오 순자산가치(NAV)의 약 85%를 차지하며, 원스토어, 11번가, TMAP 등 기타 자산이 15%를 구성합니다.
현재 주가를 움직이는 3대 핵심 테마
현재 SK스퀘어의 주가는 반도체 업황, 비상장 자회사 리스크, 그리고 주주환원 정책이라는 세 가지 주요 동력에 의해 움직이고 있습니다.
1. SK하이닉스 HBM 성과
AI 시장 개화에 따른 HBM(고대역폭 메모리) 수요 폭증으로, SK하이닉스의 실적이 가파르게 개선되고 있습니다. 이는 SK스퀘어의 NAV에 가장 직접적인 상승 요인입니다.
2. 비상장 자회사 가치
11번가 매각 실패에 따른 리스크는 주가 할인 요인이었으나, 최근 원스토어의 상장 재추진 등 포트폴리오 재편 노력이 진행 중입니다.
3. 주주환원 정책
자사주 매입 및 소각, 배당금 지급 등 SK스퀘어의 주주환원 정책 강도가 투자 심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NAV 대비 현저한 저평가가 지속될 시 환원 기대감이 커집니다.
재무 상태 및 2026년 실적 추정
SK하이닉스의 실적 반등에 힘입어 2024년 흑자전환에 성공했으며, 2025년과 2026년에는 AI 메모리 시장의 구조적 성장으로 견조한 실적 개선이 전망됩니다. 아래 차트는 연결 기준 추정치입니다.
증권사 목표주가 및 수급 분석
주요 증권사들은 SK하이닉스의 가치 상승을 반영하여 목표주가를 상향 조정하는 추세입니다. 최근 3개월간 주요 투자 주체별 평균 매수 단가는 수급 동향 파악에 중요합니다.
증권사 목표주가 (2025.11)
주요 주체별 평균 매수 단가 (최근 3개월)
2025년 4분기 주가 전망
SK하이닉스 실적 모멘텀을 바탕으로 한 객관적 추정치입니다. (현재 주가: 100,000원 기준)
잠재적 기회 및 위기 요인
투자는 항상 기회와 위기를 동반합니다. SK스퀘어의 향후 주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주요 내외부 변수들입니다.
기회 요인 (Opportunities)
-
AI 시장의 구조적 성장
HBM을 필두로 한 AI 메모리 수요는 2026년 이후에도 지속될 가능성이 높아 SK하이닉스의 장기 성장을 견인할 것입니다.
-
비상장 자회사 가치 현실화
원스토어 등 자회사의 성공적인 IPO는 SK스퀘어의 NAV 재평가 및 현금 유입으로 이어져 주가 상승 동력이 될 수 있습니다.
-
적극적인 주주환원
보유 현금 및 투자 수익을 활용한 배당 확대나 추가 자사주 소각은 과도한 NAV 할인율을 축소시킬 수 있습니다.
위기 요인 (Threats)
-
반도체 사이클 변동성
메모리 반도체 산업은 전통적으로 경기 순환(Cycle) 특성이 강합니다. HBM 경쟁 심화나 예상보다 빠른 다운사이클 도래는 리스크입니다.
-
11번가 관련 리스크
11번가 매각 실패로 인한 재무적투자자(FI)와의 풋옵션 분쟁 및 추가 자금 투입 가능성은 여전히 잠재적 부담 요인입니다.
-
글로벌 매크로 불확실성
고금리 장기화, 지정학적 리스크 등 글로벌 거시경제 환경 악화는 투자 심리 및 IT 기기 수요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단기 매매 전략 및 주요 공시
2025년 4분기 단기 매매 전략
전략: 박스권 매매 및 하단 지지선 확인
상승 근거 (Bull): HBM 모멘텀이 지속되고 외국인/기관 수급이 유입될 경우, 전고점(125,000원) 돌파 시도가 가능합니다. 이 경우 추격 매수보다는 보유 관점이 유리합니다.
하락 근거 (Bear): 11번가 관련 노이즈나 차익 실현 매물 출회 시 90,000원 초반까지 조정 가능성이 있습니다. 85,000원 부근은 NAV 대비 과도한 저평가 구간으로 강력한 지지선 역할을 할 전망입니다.
단기 가격대: 90,000원 ~ 115,000원 (약 -10% ~ +15%) 범위에서 변동성이 예상됩니다.
최근 6개월 이내 주요 공시 (2025.05 ~ 2025.11)
- 2025-10-28: 타법인 주식 및 출자증권 취득결정 (美 AI 반도체 스타트업 '사반투' 지분 10% 취득)
- 2025-09-15: [기재정정] 11번가 풋옵션 관련 중재 신청 결과 (일부 패소, FI와 잔여 협상 진행 중)
- 2025-08-14: 2025년 2분기 반기보고서 (SK하이닉스 실적 호조로 흑자전환)
- 2025-07-01: 자사주 매입 결과 보고서 (총 1,000억원 규모 매입 완료)
[부제] 2026년 HBM 사이클과 비상장 포트폴리오 가치 재평가에 기반한 심층 분석 및 투자 전략
I. 투자 논지 요약 (Executive Summary & Key Themes)
SK스퀘어(KRX: 402340)는 단순한 지주회사를 넘어, SK하이닉스를 중심으로 한 반도체 밸류체인과 비상장 ICT 포트폴리오의 가치를 극대화하는 '투자 전문 기업'으로 포지셔닝하고 있습니다. 2025년 4분기 현재, SK스퀘어의 주가를 견인하는 모멘텀은 세 가지 핵심 동력으로 수렴됩니다.
현재 주가를 움직이는 3대 핵심 테마
- SK하이닉스를 통한 AI 및 HBM '빅 사이클'의 직접적 수혜
- SK스퀘어의 순자산가치(NAV)는 SK하이닉스 주가에 절대적으로 연동됩니다.1 2026년까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되는 인공지능(AI)발 메모리 '빅 사이클' 2은 SK스퀘어의 NAV를 폭발적으로 증가시키는 제1의 동인입니다. 2025년 11월 초 외국인 투자자가 SK스퀘어를 순매수 2위 종목으로 선택한 것은 4, SK스퀘어를 고평가된 SK하이닉스의 '대체 투자처' 또는 '레버리지 프록시(Leveraged Proxy)'로 인식하고 있음을 명확히 보여줍니다. 이는 SK하이닉스의 펀더멘털과 SK스퀘어의 할인율 축소(테마 3)에 동시 베팅하는 전략입니다.
- 비상장 포트폴리오의 'Value-up' 성과 증명 (턴어라운드)
- SK스퀘어는 포트폴리오 '운영개선(Operation Improvement)'에 집중하는 투자 전문회사를 표방합니다.5 이 전략은 핵심 비상장 자회사에서 가시적인 성과를 내고 있습니다. 11번가는 9분기 연속 손실 개선 및 주력 사업(오픈마켓) 17개월 연속 흑자를 달성하며 수익성 중심으로 체질을 개선했습니다.6 티맵모빌리티 역시 저수익 비즈니스 모델을 정리하고 UBI(안전운전보험할인특약) 및 광고 등 데이터 기반 매출을 성장시키며 손실 폭을 줄이고 있습니다.8 이러한 비상장 자산의 턴어라운드는 NAV에서 차지하는 비중(약 6%)을 넘어, SK스퀘어 경영진의 '투자 전문성'을 시장에 증명하고 NAV 할인율 축소를 정당화하는 핵심 근거로 작용합니다.
- 적극적 자본 재활용 및 주주환원을 통한 NAV 할인율 축소
- SK스퀘어는 '지주사 디스카운트' 해소를 위해 명확한 자본 정책을 실행 중입니다. 2024년 2,000억 원, 2025년 1,000억 원의 자사주 매입 및 소각을 진행했습니다.9 또한 2025년 10월, 비핵심 자산인 인크로스(Incross) 지분 36%를 392억 원에 SK네트웍스로 매각했습니다.10 이 두 가지 사건은 SK스퀘어의 '자본 재활용(Capital Recycling)' 전략을 보여줍니다. 비핵심 자산을 성공적으로 엑시트(Exit)하여 현금을 확보하고, 이 현금을 다시 NAV 할인율 축소를 위한 주주환원(자사주 매입) 재원으로 활용하는 선순환 구조입니다. 이는 '자사주 의무소각' 관련 상법 개정안이라는 외부 정책 모멘텀 4과 맞물려 강력한 투자 유인을 제공합니다.
2025년 4분기 주가 예측 요약 및 투자 의견
2025년 4분기 주가는 SK하이닉스의 2026년 HBM 사이클 기대감과 11월 초 확인된 외국인/기관의 강력한 동반 순매수 4에 힘입어 긍정적 모멘텀이 유지될 것입니다. 11월 초의 단기 급등 13에 따른 기술적 변동성은 존재할 수 있으나, 펀더멘털과 수급의 핵심 지지선은 견고할 것으로 판단합니다.
II. 핵심 사업 포트폴리오 분석 및 가치 평가
SK스퀘어의 정체성: '투자 전문 기업'으로의 진화
SK스퀘어의 핵심 사업은 ICT 분야의 다양한 포트폴리오 자산을 관리하고 가치를 증대시키는 '투자' 그 자체입니다. 2025년 단행된 조직개편에서 기존 '듀얼 CIO' 체제를 'CIO·포트폴리오매니지먼트'로 통합한 것은 5, 신규 투자의 불확실성을 줄이고 기존에 보유한 포트폴리오의 '운영개선(Operation Improvement)'을 통한 '가치 제고(Value-up)'에 집중하겠다는 명확한 전략적 방향성을 제시합니다.5
SK스퀘어 순자산가치(NAV) 상세 분석 (2025년 3분기 말 기준)
SK스퀘어의 기업가치는 본질적으로 '순자산가치(NAV) 대비 할인율'로 결정됩니다. 따라서 NAV를 구성하는 자산의 가치를 명확히 파악하는 것이 분석의 시작입니다. 2025년 6월 30일 기준 SK스퀘어의 공식 IR 자료 1에 따르면 총 NAV는 96.3조 원이며, 이 중 SK하이닉스가 90.44조 원을 차지합니다.
이는 SK하이닉스가 전체 NAV의 **93.9%**라는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함을 의미합니다. 수학적으로 SK스퀘어의 주가는 94%의 SK하이닉스 가치와 6%의 기타 자산 및 할인율로 결정되며, SK스퀘어 분석은 곧 SK하이닉스 분석임을 시사합니다.
<표 1> SK스퀘어 핵심 포트폴리오 및 NAV 구성 (2025. 6. 30. 기준)
| 구분 | 자산명 | 가치 (조 원) | 비고 (가치산정 기준) |
| 상장사 (90.52) | SK하이닉스 | 90.44 | 지분가치 (시가) |
| 드림어스컴퍼니 | 0.05 | 지분가치 (시가) | |
| 인크로스 | 0.03 | 2025.10.31 매각 완료 11 | |
| 비상장사 (4.64) | 티맵모빌리티 | 1.46 | Last deal value ('22.3Q) |
| SK쉴더스 | 1.02 | Last deal value ('23.3Q) | |
| 11번가 | 0.66 | 외부 회계법인 평가 ('24.4Q) | |
| 원스토어 | 0.42 | Last deal value ('24.1Q) | |
| 콘텐츠웨이브 | 0.23 | Last deal value ('24.4Q) | |
| SK플래닛 | 0.24 | Last deal value ('23.3Q) | |
| 기타 | 0.60 | ||
| 합계 | 95.16 | ||
| 순현금(순차입금) | 1.18 | ||
| 총 NAV | 96.3 | ||
| 출처: SK스퀘어 IR 자료 1 |
[비상장] 핵심 자산 현황 진단: 'Value-up'의 증거
비상장 자산은 NAV 비중(약 6%)은 낮지만, 경영진의 '투자 전문성' 평판과 직결되며 향후 엑시트(Exit)를 통한 주주환원 재원이 된다는 점에서 중요합니다.
- 11번가 (E-commerce)
- 핵심 성과: 2025년 2분기 영업손실 102억 원을 기록, 전년 동기 대비 44.2% 개선되었습니다.6 이는 9개 분기 연속 전년 동기 대비 손실을 개선한 것입니다.
- 주력 사업: 특히 주력인 오픈마켓 부문은 2024년 3월부터 2025년 7월까지 17개월 연속 영업이익 흑자를 달성했습니다.6
- 성장 동력: SSG닷컴 '이마트몰'과 연계한 통합 장보기 전문관 '마트플러스' 6 및 100만 가입자를 돌파한 무료 멤버십 '11번가플러스' 6가 수익성 개선을 이끌고 있습니다.
- 분석: 11번가는 과거 거래액(GMV) 성장 경쟁에서 벗어나, '마트' 등 핵심 카테고리에 집중하고 '오픈마켓 흑자'를 유지하는 수익성 중심 전략으로 완전히 선회했습니다. 이는 향후 IPO나 매각을 위한 '기초 체력(Fundamental)'을 다지는 과정으로 분석됩니다.
- 티맵모빌리티 (Mobility Platform)
- 핵심 성과: (제공된 자료는 2024년 3분기 실적 기준임 8) 2024년 3분기 기준, 저수익 비즈니스 모델(BM)을 효율화하며 영업이익률과 순이익률을 각각 13.9%p, 16.3%p 증가시켰습니다.8
- 전략: '운전점수' 기반 UBI(보험) 사업 매출이 전년 대비 9% 성장하고, MAU(월간이용자수) 1524만 명 기반의 광고 매출이 9.3% 성장하는 등 8 '지도'에서 '데이터 플랫폼'으로의 진화를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 최신 동향: 2025년 10월, MAU 활성화를 위한 '가을 주행 이벤트' 등 마케팅 활동을 지속하고 있습니다.1728
- 콘텐츠웨이브 (Wavve) (OTT Platform)
- 핵심 이슈: 티빙(Tving)과의 합병.
- 현황: 2025년 6월 공정거래위원회가 조건부 합병을 승인했습니다.18 하지만 2025년 11월 현재, 합병은 '지지부진'한 상태로 보입니다.19
- 분석: 합병 지연은 규제 이슈보다는, 티빙의 디즈니플러스 제휴 등 19 합병 주체 간의 세부 조건 및 전략적 이견이 조율되지 않았음을 시사합니다. 이는 NAV 0.23조 원 1으로 계상된 콘텐츠웨이브의 가치 평가에 부정적 위험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III. [심층] 2026년 산업 전망 및 SK스퀘어 실적 추정
핵심 산업 전망: 2026년 AI 반도체 '빅 사이클'과 HBM 시장
SK스퀘어의 2026년 실적은 SK하이닉스에 연동되며, SK하이닉스의 실적은 HBM(고대역폭 메모리) 시장에 의해 결정됩니다. 따라서 HBM 시장 전망이 곧 SK스퀘어의 2026년 전망입니다.
- 수요: 4배로 가속화되는 메모리 수요
- 최신 AI 모델은 파라미터(매개변수) 중심에서 토큰(처리 단위) 중심으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AI가 한 번에 처리(기억)하는 데이터양(Context Window)이 확대되면서 필요한 HBM 캐시가 폭발적으로 증가합니다. 분석에 따르면, 토큰이 2배 증가하면 HBM 수요는 4배 증가합니다.3 또한 수요처가 엔비디아(GPU) 독점에서 구글(TPU), 아마존(Trainium) 등 자체 AI 반도체(ASIC) 시장으로 다변화되고 있습니다.3 이는 HBM 제조사에게 안정적인 수요와 가격 협상력을 제공합니다.
- 시장 규모: 2026년 70조 원 육박
- HBM 시장은 2026년 480억~500억 달러(약 67~70조 원) 규모로 성장하며, 전체 D램 시장에서 HBM이 차지하는 비중은 2024년 20%에서 2026년 30% 이상으로 급증할 전망입니다.2
- 공급: HBM4 '2차 세계 대전'
- 2026년은 엔비디아의 차세대 GPU '루빈(Rubin)'에 탑재될 HBM4의 주도권을 잡기 위한 '대전쟁'의 해입니다.20 HBM3까지 시장을 선점한 것은 SK하이닉스였으나, HBM4부터는 삼성전자의 본격적인 진입이 예상됩니다.2 시장 전망에 따르면 SK하이닉스의 HBM 점유율은 2025년 60%에서 2026년 50% 내외로 하락하고, 삼성전자가 그 비중을 가져갈 것으로 예상됩니다.3
- 시장 전망의 통합 분석결론적으로 2026년 SK하이닉스는 삼성전자와의 치열한 경쟁으로 점유율(M/S) 3은 일부 하락할 수 있으나, 폭증하는 HBM 시장 2과 DDR5 가격 상승 2의 수혜를 동시에 입으며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 HBM 시장에 대해 '유례없는 빅 사이클' 2이라는 전망과 '경쟁 심화로 성장세 둔화' 21라는 상반된 시그널이 존재합니다. 이 두 전망은 상충되지 않습니다. '성장세 둔화' 21는 폭발적인 초기 성장에 따른 기저효과와 삼성전자 진입으로 인한 SK하이닉스의 독점적 '마진율' 둔화 가능성을 의미합니다. 반면 '빅 사이클' 2은 시장의 '절대 규모'가 70조 원에 육박할 정도로 폭증함을 의미합니다.
SK스퀘어 재무 상태 진단 및 2026년 실적 추정
- 재무 상태 진단따라서 SK스퀘어의 재무 상태는 (1) 별도 기준으로 SK하이닉스 배당금 9과 인크로스 매각 11 등으로 현금이 유입되어 주주환원(자사주 매입)을 실행할 수 있는 양호한 상태이며, (2) 연결 기준으로는 SK하이닉스의 천문학적 이익이 장부에 반영(지분법)되어 건전성이 극대화된 상태입니다.
- SK스퀘어의 2025년 2분기(반기) 실적 22을 보면, 매출액 4,065.9억 원, 영업이익 1.4조 원으로 영업이익이 매출액을 크게 상회합니다. 이는 SK스퀘어와 같은 투자회사의 회계적 특징입니다. '매출'은 자회사들로부터의 배당금, 브랜드 수수료 등이며, '영업이익'은 SK하이닉스로부터의 막대한 '지분법 이익(Equity Method Profit)'이 포함된 연결 기준 실적이기 때문입니다.23
- 2026년 실적 추정더욱 중요한 것은 '현금 흐름'입니다. 2026년 이후 SK하이닉스의 배당금이 크게 증가할 것이며 9, 이는 SK스퀘어의 '추가적인 주주환원' 재원 9이 되어 NAV 할인율 축소를 더욱 가속화할 것입니다.
- 증권가는 SK하이닉스가 2026년 HBM 수요처 확보로 '큰 폭의 실적 성장'을 이룰 것으로 전망합니다.9 2026년 HBM 빅 사이클 2로 SK하이닉스의 막대한 영업이익이 발생할 경우, SK스퀘어는 보유 지분율(약 20%대 추정 1)에 따른 조 단위의 '지분법 이익'을 2026년 연결 실적으로 인식할 것입니다.
IV. 주가 예측 및 가치 평가 (2025년 4분기)
증권사 목표주가 산출
최근 증권사들은 SK하이닉스의 가치 상승과 SK스퀘어의 적극적인 주주환원 정책을 반영하여 목표주가를 공격적으로 상향 조정하고 있습니다.
<표 2> 주요 증권사 목표주가 컨센서스 (2025년 10-11월)
| 증권사 | 발표일 | 목표주가 | 투자의견 | 핵심 근거 | 출처 |
| NH투자증권 | 2025.11.11 이전 | 350,000원 (16.5만에서 상향) | Buy | SK하이닉스 NAV 확대, 2026년 실적 성장, 추가 주주환원 기대 | 4 |
| SK증권 | 2025.10.31 | 330,000원 | Buy | 주주친화정책이 견인하는 할인율 축소 구간 | 24 |
목표주가 33만~35만 원은 2025년 11월 13일 종가(313,250원) 14 대비 추가 상승 여력이 있음을 시사합니다. 핵심 논리는 'NAV 증가 + 할인율 축소'로 일관됩니다.
2025년 4분기 주가 예측 (객관성 중심)
2025년 4분기(11월~12월) 주가는 11월 초의 강력한 랠리 13 이후, HBM4 경쟁 구도 20 및 연말 수급 동향 4에 따라 30만 원 초반대에서 방향성을 탐색할 것입니다.
2025년 4분기 주가 예측의 상세 근거 (상승 vs 하락)
- 상승(Bull) 시나리오 상세 근거:
- (펀더멘털) 2026년 HBM4 '빅 사이클' 기대감이 연말 랠리를 통해 선반영됩니다.2
- (수급) 11월 초 확인된 외국인의 'AI 리레이팅' 매수세(월초 1,424억 원 순매수)가 연말까지 지속됩니다.4
- (정책) '자사주 의무소각'을 포함한 상법 개정안 4이 연내 통과될 경우, 지주사 전반의 밸류에이션 리레이팅이 발생하며 SK스퀘어가 최대 수혜주로 부각됩니다.
- (이슈) 티빙-웨이브 합병 19이 연내 타결되거나 11번가의 4분기 흑자전환이 가시화될 경우 비상장사 가치가 재평가됩니다.
- 하락(Bear) 시나리오 상세 근거:
- (기술적) 11월 초 단기 급등(11일 +7.41% 등 13)에 따른 차익 실현 매물이 출회합니다.
- (산업) HBM 시장 경쟁 심화 21 우려가 부각되거나, SK하이닉스가 HBM4 경쟁에서 삼성전자에 밀린다는 루머가 발생합니다.3
- (이슈) 티빙-웨이브 합병 19이 최종 무산되어, 콘텐츠웨이브 NAV(0.23조 원) 1의 감액손실(Impairment) 우려가 발생합니다.
- (매크로)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 여력이 소진되어 25 시장 기대 26와 달리 금리 인하가 지연될 경우, 시장 유동성 축소 및 할인율 상승으로 주가에 부담을 줍니다.
2025년 4분기 예상 가격대 산출 (%표기)
- 기준 주가: 313,250원 (2025년 11월 13일 종가 14)
- 2025년 4분기 예상 고점: 350,000원 (기준가 대비 +11.7%)
- 근거: NH투자증권의 목표주가 9이자 11월 랠리의 심리적 저항선입니다.
- 2025년 4분기 예상 저점: 279,000원 (기준가 대비 -10.9%)
- 근거: 11월 랠리가 본격화되기 직전의 지지선(2025년 11월 7일 종가 14)입니다. 단기 급등에 따른 조정 시 기술적으로 방어 가능한 1차 지지선입니다.
V. 수급 분석 및 단기 매매 전략
수급 분석: 주요 주체별 평균 매수 단가
SK스퀘어 수급 분석의 핵심은 '10월'과 '11월'의 극명한 포지션 반전입니다. 2025년 10월 2일만 해도 외국인은 SK스퀘어를 '순매도'했습니다.27 그러나 11월 들어 포지션이 완전히 뒤집혀, 11월 3일~11일 사이 외국인은 SK스퀘어를 1,424억 원 '순매수'(코스피 2위)했습니다.4
- 외국인:
- 평균 매수 단가: 11월 3일~11일 집중 매수.4 당시 주가(11/7 279,000원, 11/10 290,000원, 11/11 311,500원 14)를 가중평균할 때, 이들의 핵심 평균 매수 단가는 약 295,000원 ~ 305,000원 사이로 추정됩니다.
- 매수 논리: 'AI 리레이팅', 'SK하이닉스 대체 투자처'.4
- 기관:
- 평균 매수 단가: 외국인과 유사한 구간에서 매수했을 것으로 보이나, 4에 따르면 이들은 SK하이닉스(1.6조 순매수) 자체와 '배당 모멘텀' 및 '금융주'에 더 집중했습니다.
- 매수 논리: '배당 모멘텀'(하이닉스 배당), '정책 수혜'(상법 개정).4
- 결론: 현재 주가(약 31.3만 원)는 외국인 핵심 매수 구간(약 30만 원)보다 소폭 위에 있습니다. 이들은 아직 수익권이며, 이는 30만 원 선이 강력한 수급적 지지선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2025년 4분기 단기 매매 전략
- 전략: '조정 시 매수' (Buy on Dips)
- 1차 매수 구간: 300,000원 ~ 305,000원 (외국인 평균 매수 단가 추정치 하단)
- 2차 매수 / 지지선: 280,000원 ~ 290,000원 (11월 랠리 시작점 14)
- 1차 목표 / 저항선: 330,000원 (SK증권 목표주가 24)
- 2차 목표 / 저항선: 350,000원 (NH투자증권 목표주가 9)
- 논리: 11월 초 외국인의 강력한 포지션 전환 4이 확인되었으므로, 이들의 평균 단가 이하로 가격이 하락하는 단기 차익 실현 구간은 매수 기회입니다. 32만 원 이상에서 추격 매수하는 것은 단기 변동성에 노출될 위험이 있습니다.
VI. 주요 이슈 및 위험 관리
현재 이슈 및 잠재적 미래 이슈 (기회와 위기)
- 기회 (Opportunities):
- Tving-Wavve 합병: 현재 지지부진하나 19, 공정위 승인 18을 받은 만큼 연내 또는 2026년 초 타결 시 비상장 가치 리스크가 해소됩니다.
- 11번가 흑자전환 및 Exit: 11번가의 수익성 개선 6이 2026년 연간 흑자로 이어질 경우, IPO 또는 지분 매각(Exit)을 통한 대규모 현금 유입이 가능해집니다.
- 추가 자본 재활용: SK쉴더스, 원스토어 등 다른 비상장 자산의 성공적 엑시트 및 추가 주주환원 9 발표.
- 위기 (Risks):
- SK하이닉스 의존도 (94%): SK스퀘어의 본질적 위험입니다.1
- HBM 경쟁 심화: SK하이닉스가 HBM4/5 경쟁 20에서 삼성전자 2에 주도권을 뺏길 경우, SK하이닉스의 주가와 SK스퀘어의 NAV는 동반 하락합니다.
- 글로벌 AI 버블: 'AI 버블' 4 논란은 실재하며, AI 수요가 2026년 이후 둔화될 경우 21 전체 사이클이 꺾일 위험이 있습니다.
- 비상장 자산 감액: Tving 합병 무산 19 또는 11번가 턴어라운드 6 실패 시, 1에 계상된 NAV 가치가 감액(Write-down)될 위험이 있습니다.
기타 투자 참고 사항 (대내외 변수)
- 대내 변수 (한국):
- 한국은행 기준금리: 2025년 4분기 시장은 추가 금리 인하를 기대하고 있습니다.26 하지만 정부의 추경(경기부양)으로 인해 한은의 '인하 여력'이 소진되었을 수 있다는 경고 25가 있습니다. 금리 인하가 지연되면 시장 유동성에 부정적입니다.
- 상법 개정: '자사주 의무소각' 4 등 주주가치 제고 법안의 통과 여부는 지주회사 할인율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 대외 변수 (글로벌):
- 미국 대선: 2025년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보호무역주의' 강화 25는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에 불확실성을 더합니다.
- 미-중 기술 패권: HBM 등 AI 반도체에 대한 미국의 대중국 수출 통제 강도는 SK하이닉스의 중국 공장 운영 및 매출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VII. 부록: 관련 데이터 및 링크
주가에 영향을 준 최근 3개월간 핵심 뉴스
- [2025-11-11] "SK스퀘어 자회사 성장, 단기간에 끝나지 않을 것 증권사 발표에 강세… 10.69%" 13 - NH증권 리포트 9 발간과 주가 급등 현상을 보도.
- [2025-11-11] "외국인은 'AI 리레이팅', 기관은 '배당 모멘텀'…정책 훈풍에 자금 지형 재편" 4 - 11월 초 외국인 수급이 SK스퀘어로 유입된 핵심 원인을 분석.
- [2025-10-31] "인크로스, SK스퀘어와 392억원 규모 지분 양수도 계약 체결" 11 - 포트폴리오 재조정(자본 재활용) 및 현금 확보 이벤트.
최근 6개월 이내 주요 공시 (2025년 5월 ~ 11월)
- [2025-10-31] 타법인주식및출자증권 처분결정 (인크로스(주) 지분 36% 전량 매각, 392억 원) 11
- [2025-08-14] 반기보고서 (2025.06) 1
- [2025-05-15] 분기보고서 (2025.03) 1
- (참고: 2025년 1,000억 원의 자사주 매입 9 관련 공시는 2025년 상반기 중 집행 완료된 것으로 보임)
최신 핵심 뉴스 링크 (3개)
- SK스퀘어 자회사 성장, 단기간에 끝나지 않을 것 증권사 발표에 강세 13: https://www.mk.co.kr/news/stock/11465012
- 외국인은 'AI 리레이팅', 기관은 '배당 모멘텀'…정책 훈풍에 자금 지형 재편 4: https://38.co.kr/html/news/newsprint.php?m=&key=&no=1852107
- 삼성 vs 하이닉스, 2026년 2차 세계대전 서막 20: https://www.ceomagazine.co.kr/news/articleView.html?idxno=34355
네이버 금융 차트 링크
VIII. 면책 사항 고지
본 보고서는 제공된 리서치 자료1 및 공개된 정보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본 보고서의 내용은 SK스퀘어(402340)에 대한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하며, 특정 종목에 대한 투자 추천이나 매수/매도를 권유하는 것이 아닙니다.
본 보고서에 포함된 2025년 4분기 및 2026년 실적 추정치, 주가 예측, 예상 가격대 등 미래에 대한 전망은 작성일 기준의 시장 상황과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추정치이므로, 실제 결과와 다를 수 있습니다.
시장의 변동성, 산업 전망의 변화, 또는 한국은행 금리 정책 25 등 거시 경제 변수는 본 보고서의 가정과 결론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투자자는 본 보고서를 참고 자료 중 하나로만 활용해야 하며, 모든 투자 결정에 대한 최종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본 보고서의 어떠한 내용도 법적 증빙 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