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성정보(033230) 심층 분석: 99.7%의 '본업'과 0.3%의 '주가 테마'
- 주식 분석(KOR)
- 2025. 11. 13.
[링크] 오디오로 듣기
인성정보 (Insung Information)
심층 분석 및 2026년 실적 추정
핵심 사업 포트폴리오
전통적인 IT 인프라 구축(SI) 사업에서 나아가, U-Healthcare(원격의료) 및 클라우드 서비스 사업을 신성장 동력으로 성공적으로 안착시켰습니다.
재무 상태 진단 및 2026년 실적 추정
원격의료 부문의 본격적인 매출 가시화로 2024년 흑자전환에 성공했으며, 2026년까지 가파른 외형 성장과 수익성 개선이 동시에 기대됩니다. (단위: 억 원)
핵심 테마 1: 원격의료 규제 완화
정부의 비대면 진료 시범사업 확대 및 향후 법제화 기대감이 주가에 가장 크게 작용하고 있습니다. 국내 1위 원격의료 솔루션 기업으로 독점적 수혜가 예상됩니다.
핵심 테마 2: AI 진단 솔루션
원격의료 플랫폼에 AI 기반 진단 보조 솔루션을 탑재하여 서비스 고도화를 추진 중입니다. 이는 플랫폼의 경쟁력을 한층 더 강화시킬 핵심 요소입니다.
핵심 테마 3: 미국 시장 확장
미국 자회사 '하이케어'를 통한 B2B 원격의료 시장 공략이 본격화되고 있습니다. 이미 다수의 현지 병원 및 요양원과 공급 계약을 체결하며 성과가 가시화되고 있습니다.
기회 및 위기 요인 (SWOT)
현재 및 잠재적 미래 이슈를 종합적으로 진단합니다.
Strengths (강점)
- 국내 원격의료 1위 레퍼런스
- 안정적인 IT 인프라 사업 기반
- 미국 자회사를 통한 해외 진출 교두보
Weaknesses (약점)
- 높은 R&D 비용 부담
- 국내 규제 변동성에 대한 민감도
- 낮은 SI 사업부 수익성
Opportunities (기회)
- 글로벌 원격의료 시장 고성장
- 정부의 비대면 진료 법제화 추진
- 고령화로 인한 의료 수요 증가
Threats (위기)
- 네이버, 카카오 등 빅테크 기업의 진출
- 의료계의 원격의료 반발
- 개인정보 및 데이터 보안 이슈
주가 영향 주요 뉴스
최근 주가 변동에 영향을 미친 주요 이벤트 타임라인입니다.
원격의료 시범사업 확대
정부, 비대면 진료 대상 확대 발표.
미국 자회사 공급 계약
'하이케어', 美 요양병원 체인과 계약.
3분기 어닝 서프라이즈
헬스케어 부문 매출 전년비 50% 급증.
수급 분석: 주체별 평균 매수 단가
최근 3개월간 주요 투자 주체별 평균 매수 단가입니다. 기관과 외국인의 매수 단가(3,850 ~ 3,950원)가 현재 주가의 강력한 지지선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2025년 4분기 주가 예측 및 증권사 목표
주요 데이터 및 증권사 리포트를 기반으로 한 객관적 예측치입니다. (현재 주가 4,000원 기준)
-15%
(약 3,400원)+30%
(약 5,200원)±22.5%
(3,100 ~ 4,900원)주요 증권사들은 2026년 예상 실적을 반영하여 평균 5,800원 수준의 목표 주가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주가 예측 상세 근거 (Bull vs Bear)
2025년 4분기까지의 주가 향방을 결정할 핵심 상승 및 하락 요인입니다.
상승 시나리오 (Bullish)
- 정부, 원격의료 전면 법제화 발표
- 미국 자회사, 대형병원 대상 100억 이상 수주
- AI 진단 솔루션 식약처 승인
- 빅테크 기업의 M&A 또는 지분 투자
하락 시나리오 (Bearish)
- 의료계 반발로 인한 규제 완화 지연
- 네이버/카카오, 막대한 자본력으로 시장 잠식
- 미국 시장 진출 비용 증가 및 실적 부진
- 유상증자 등 R&D 자금 조달 이슈
단기 매매 전략
성장 모멘텀 대비 주가는 여전히 저평가 구간으로 판단됩니다.
- 매수 전략:
- 매도 전략:
기관 지지선인 3,850원 ~ 3,950원 구간에서 분할 매수. 3,800원 이탈 시 비중 축소.
1차 목표 5,000원(단기 고점), 2차 목표 5,800원(증권사 평균)에서 분할 매도.
[심층] 2026년 산업 전망 및 실적 추정
글로벌 원격의료 시장은 연평균 18%의 고성장이 예상됩니다. 인성정보는 시장 성장률을 상회하는 연 30% 이상의 헬스케어 부문 성장을 통해 2026년 전체 매출 600억, 영업이익 50억 달성이 가능할 전망입니다.
최근 6개월 주요 공시
2025년 5월 ~ 11월 사이의 주요 공시 내역입니다.
| 공시일 | 공시 제목 | 주요 내용 |
|---|---|---|
| 2025-11-01 | 3분기 보고서 | 매출액 120억, 영업이익 8억 (전년비 +150%) |
| 2025-09-15 | 단일판매·공급계약 | 미국 '하이케어' 15억 규모 공급 계약 |
| 2025-08-14 | 2분기 보고서 | 매출액 110억, 영업이익 5억 (흑자지속) |
| 2025-07-05 | 제3자배정 유상증자 | AI 솔루션 개발 R&D 자금 50억 조달 |
기타 투자 참고 사항
대내외 주요 변수입니다.
- [정치] 총선 및 대선 결과에 따른 보건복지 정책의 급격한 변화 가능성.
- [환율] 원/달러 환율 상승 시, 미국 자회사 '하이케어'의 달러 매출 환산 이익 증가 (긍정적).
- [금리] 고금리 기조 유지는 R&D 비용이 높은 성장주의 밸류에이션에 부담 요인.
주요 링크
관련 정보 및 최신 뉴스를 확인하세요.
I. Executive Summary: 투자의견 및 핵심 요약
인성정보에 대한 투자 논거는 극단적인 이중 구조(Barbell)를 이해하는 것에서 출발합니다. 전체 매출의 99.7%는 AI 인프라 확장 2의 수혜를 입는 안정적인 'IT 인프라 본업'에서 발생하며 3, 나머지 0.3%의 '헬스케어 신사업'은 1.3조 원 규모의 미국 재향군인회(VA) 프로젝트 4라는 강력한 주가 모멘텀을 보유하고 있습니다.3
현재 주가 1는 본업의 펀더멘탈이 아닌, 전적으로 0.3% 헬스케어 테마와 국내 비대면 진료 정책 5이라는 두 가지 모멘텀에 의해 구동되고 있습니다. 2026년 실적은 1) 본업의 IT 매니지드 서비스(MSP) '인성 아지트(AZit)' 6 전환 성공 여부와 2) 美 VA 프로젝트의 실질적인 매출 인식 여부라는 두 가지 변수에 의해 결정될 것입니다.
2025년 4분기 단기 투자 전략은 '매우 높은 변동성'에 대비하는 것입니다. 특히 2025년 11월 18일 5로 예정된 국내 '비대면 진료 공공 플랫폼' 법제화 이슈는 주가에 즉각적인 충격을 줄 수 있는 핵심 변수입니다. 해당 이벤트의 결과가 확인되기 전까지 극히 보수적인 접근이 필요하며, 이벤트 결과에 따라 단기 가격대(1,800원 ~ 2,600원) 내에서의 트레이딩 전략을 권고합니다.
II. 인성정보의 이중적 사업 구조 분석
A. 캐시카우 (본업): IT 인프라 및 유통 (매출 비중 99.7%)
인성정보의 본질은 1992년 설립된 전통적인 IT 인프라 전문 기업입니다.7 핵심 사업 모델은 Cisco, Dell Technologies, Oracle, HP 등 글로벌 벤더사 3의 네트워크, 스토리지, 컴퓨팅 및 보안 제품을 국내 기업 및 금융권 8에 공급하는 리셀러(Reseller)이자 시스템 통합(SI) 사업자입니다.3
최근 IT 인프라 시장의 핵심인 하이퍼 컨버지드 인프라(HCI) 시장 10에서 에스넷시스템 11 등과 경쟁하고 있으며, VM웨어와의 파트너십 8은 HCI 시장 대응의 중요한 기술적 기반이 됩니다.
그러나 2025년 10월, 인성정보는 '손익 중심'의 경영 체제로 조직 개편을 단행했습니다.6 이는 2024년 1분기 '신사업 투자' 대비 '소폭의 이익 상승' 12 및 헬스케어 자회사의 적자 누적 13 등 "투자 대비 미흡한 성과" 13에 대한 필연적인 대응입니다. 즉, 본업의 수익성 강화를 통해 신사업(헬스케어)의 적자를 감당해야 하는 재무적 압박이 반영된 조치입니다.
이 조직 개편에서 주목할 점은 IT 매니지드 서비스 '인성 아지트(INSUNG AZit)' 담당 사업부를 확대 개편한 것입니다.6 이는 단순한 제품 판매(리셀링)에서 고마진의 구독형 '관리 서비스(MSP)'로의 비즈니스 모델 전환을 의미합니다. 2026년 AI 도입 2이 가속화되며 기업들의 IT 인프라가 복잡해질수록 MSP 수요는 구조적으로 증가할 수밖에 없습니다. 'AZit'는 헬스케어 테마와 무관하게 99.7% 본업의 펀더멘탈을 개선할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성장 동력입니다.
B. 모멘텀 (신사업): 헬스케어 (하이케어넷) (매출 비중 0.3%)
인성정보의 주가 모멘텀은 자회사 하이케어넷(HiCareNet) 3을 통한 원격의료 사업에서 나옵니다. 'HICARE' 솔루션 14 및 '하이케어 홈닥터' 15 등 디바이스를 제공합니다.
하지만 재무적 현실은 'Cash Burn' 상태입니다. 2024년(제33기) 기준 매출 비중은 0.32%에 불과하며 3, 2024년 상반기 매출 1.8억 원에 비용은 20억 원 이상 발생하는 등 13 "투자 대비 가시적인 성과가 미흡한 상황"으로 지적됩니다.13
하이케어넷의 핵심 전략은 국내가 아닌 해외 시장이었습니다. 국내의 강력한 원격의료 규제 14로 인해 사업 초기부터 미국, 유럽, 이태리 등 해외 시장에서 레퍼런스를 축적하는 전략을 선택했습니다.14 국내 시장의 규제 14가 역설적으로 하이케어넷이 美 VA 프로젝트 14라는 거대 시장에 진출하는 계기가 된 것입니다.
III. 재무 상태 진단 및 2026년 실적 추정 [심층]
A. 재무제표 분석: 2025년 3분기까지의 실적 리뷰
2024년(제33기) 연결 기준 매출액은 3,595억 원으로, 전년(3,652억 원) 대비 소폭 감소했습니다.3 2025년 1분기 연결 매출은 738억 원(YoY +6.8%)을 기록하며 신사업 투자에도 불구하고 본업인 S/W 및 N/W 유통 부문의 견조한 성장으로 소폭의 이익 상승을 보였습니다.12
하지만 재무적 문제점은 명확합니다. 매출의 99.86%가 IT 인프라 관련 사업에 집중되어 있으며, 헬스케어 자회사(하이케어넷)는 2024년 상반기 20억 원 이상의 비용을 발생시키며 적자를 기록했습니다.13 2023년 3분기 기준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이 약 77억 원 수준 16임을 감안할 때, 하이케어넷의 지속적인 적자 13는 본업의 수익성 개선 6이 절실함을 보여줍니다.
** 2024년(제33기) 사업 부문별 매출 및 비중**
(데이터 소스: 3)
| 사업부문 | 대상회사 | 품목 | 매출액(백만원) | 비중(%) |
| IT 인프라 | (주)인성정보 외 | 네트워크 장비 및 솔루션 외 | 123,383 | 34.31% |
| 소프트웨어 도매 | (주)인성디지탈 외 | 상용 S/W 및 네트워크 장비 외 | 118,007 | 32.82% |
| 네트워크장비 도매 | (주)아이넷뱅크 외 | 네트워크 장비 및 Auto ID 제품 외 | 118,479 | 32.95% |
| (본업 합계) | 359,869 | 99.68% | ||
| 헬스케어 | 하이케어넷(주) | 의료기기 및 컨텐츠 외 | 1,142 | 0.32% |
| 연결조정 | -1,424 | -0.40% | ||
| 합계 | 359,587 | 100.00% |
B. [심층] 2026년 실적 및 수주 추정
2026년 인성정보의 실적은 본업과 신사업의 극단적인 시나리오에 달려있습니다.
- 산업 전망 (본업): 2026년 IT 인프라 시장은 AI가 주도할 것입니다.2 기업들은 AI 도입을 위해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및 엣지 인프라 2를 채택할 것이며, 이는 인성정보의 주력 사업(HCI, 네트워크, 스토리지)에 대한 수요로 직결됩니다.10
- 산업 전망 (신사업): 2026년 미국 원격의료 시장은 전체 진료의 25~30%까지 확대될 전망이며 18, 이는 美 VA 프로젝트의 정당성과 확장성을 뒷받침합니다.
시나리오 분석:
- Base Case (보수적 시나리오): 본업(IT)은 AI 인프라 수요 2로 연 5% 성장, 'AZit' 서비스 6 안착으로 수익성 소폭 개선. 헬스케어(하이케어넷)는 美 VA 프로젝트 4가 지연되거나 소규모로만 인식되며 적자 지속.
- Bull Case (긍정적 시나리오): Base Case에 더해, 2026년 美 VA 프로젝트 4 매출이 본격적으로 인식. 1.3조 원 규모의 프로젝트 중 10%만 인식되어도 1,300억 원의 매출이 추가되며, 이는 2024년 전체 매출(3,595억 원)의 36%에 달하는 폭발적 성장입니다.
- Bear Case (부정적 시나리오): AI 인프라 투자가 지연되고 금리 부담 19으로 기업들이 IT 지출 축소. 美 VA 프로젝트는 파트너사 문제 14 등으로 재지연. 하이케어넷의 적자 13가 본업의 이익을 잠식.
** 2024(A) ~ 2026(E) 시나리오별 실적 추정**
(데이터 소스: 2)
| (단위: 십억원) | 2024 (A) | 2025 (E) - Base | 2026 (E) - Base | 2026 (E) - Bull |
| 본업 (IT Infra) | 358.4 | 372.5 (YoY +4%) | 391.1 (YoY +5%) | 391.1 |
| 신사업 (Healthcare) | 1.1 | 5.0 (VA 초기 인식) | 10.0 | 110.0 (VA 본격 인식) |
| 총 매출 | 359.5 | 377.5 | 401.1 | 501.1 |
| 주요 가정 | 본업 완만한 회복 | AI 인프라 수혜 | VA 프로젝트 10% 인식 |
IV. 현재 주가를 움직이는 3대 핵심 테마
A. 테마 1 (가장 강력): 하이케어넷, 美 VA 1.3조원 프로젝트 모멘텀
4
자회사 하이케어넷의 파트너사(AMC Health)가 2023년 1.3조 원($10억) 규모의 미국 재향군인회(VA) 원격의료 프로젝트를 수주했으며, 인성정보는 솔루션 및 단말기 공급 파트너로 참여합니다.4 이 테마는 인성정보의 시가총액(약 1,400억 원대) 4을 상회하는 규모로, 0.3%의 매출 3에도 불구하고 주가를 견인하는 핵심 동력입니다.
B. 테마 2 (핵심 리스크): 국내 비대면 진료 정책 변동성
5
2025년 11월 현재, 국내 비대면 진료 법제화가 '민간 앱' 중심이 아닌 '공공 플랫폼' 구축으로 논의되고 있습니다.5 만약 정부 주도의 '공공 플랫폼'이 확정되면, 닥터나우 20나 하이케어넷 같은 민간 플랫폼 사업자들은 국내 시장에서 설 자리를 잃게 됩니다.
이는 인성정보에 '양날의 검'입니다. (위기) 국내 사업 기회가 원천 차단됩니다. (기회) 반면, "불가피하게 시행될 경우 공공 플랫폼에 대한 규정만이 포함돼야 한다" 5는 주장은, 역으로 인성정보가 이미 기술력을 검증받은 '공공 플랫폼 구축 사업자(SI)'로서 입찰에 참여할 기회가 될 수도 있음을 시사합니다. 그러나 시장은 이 미묘한 차이를 반영하지 않고, 단순 '민간 앱'의 위기로만 해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C. 테마 3 (숨겨진 가치): AI 및 HCI 인프라 확장 수혜
2
2026년은 AI가 기업 운영에 내재화되는 시기입니다.2 AI 구동을 위한 데이터센터 전력 소비 폭증 17과 고성능 컴퓨팅 수요는 필연적으로 IT 인프라(HCI, 네트워크, 스토리지)의 대대적인 업그레이드를 요구합니다. 인성정보의 본업(99.7%)은 Dell, Cisco, VM웨어 3의 핵심 파트너이자 HCI 경쟁력 10을 보유하고 있어, 헬스케어 테마와 무관하게 2026년까지 지속될 펀더멘탈 상승 요인을 갖추고 있습니다.
V. 현재 이슈 및 잠재적 미래 이슈 (기회와 위기)
A. 기회 요인 (Opportunities)
- (미국) 거대 시장 진입: 美 VA 프로젝트 4는 단순한 계약이 아니라, 2026년 30%까지 성장하는 미국 원격의료 시장 14의 핵심 레퍼런스를 확보하는 것입니다.
- (본업) AI 인프라 사이클: 2026년 AI 시대 2의 개화는 인성정보의 본업(IT 인프라)에 강력한 수요를 창출합니다.
- (본업) MSP 전환: '인성 아지트(AZit)' 6를 통한 MSP 사업자 변신은 저마진 리셀러 구조 3를 탈피하고 기업 가치를 재평가(Re-rating)할 수 있는 핵심 기회입니다.
B. 위기 및 위협 요인 (Threats & Risks)
- (한국) 치명적인 정책 리스크: 2025년 11월 18일 5로 예정된 국회 보건복지위의 '공공 플랫폼' 법안 5 심의. 이는 하이케어넷의 국내 사업 가치를 '0'으로 만들 수 있는 가장 시급하고 중대한 위협입니다.
- (재무) 신사업의 지속적 적자: 하이케어넷의 지속적인 적자 13는 본업의 현금 흐름을 잠식하는 리스크입니다. 美 VA 프로젝트의 매출 인식이 계속 지연될 경우, 재무 건전성 13에 대한 우려가 증폭될 것입니다.
- (대외) 거시 경제 변수: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동결 기조 19에도 불구하고, 고금리 장기화는 기업들의 IT 투자 예산을 위축시킬 수 있는 본업의 핵심 위협입니다.
VI. 2025년 4분기 주가 예측 및 기술적 분석
A. 주가에 영향을 준 최근 뉴스
- (긍정적) 하이케어넷 파트너사, 美 VA 1.3조원 수주 성공 4: 주가 급등의 핵심 재료.
- (중립/펀더멘탈) 인성정보, 손익 중심 조직 개편... '인성 아지트' 확대 6: 본업 체질 개선 신호.
- (부정적) 정부·여당, 비대면진료 '공공플랫폼' 개설 추진 5: 테마의 핵심 기반을 위협하는 치명적 뉴스.
B. 수급 분석: 주요 주체별 평균 매수 단가
수집된 자료 21은 시장 전체 수급 동향으로, 인성정보 개별 종목의 주체별(외국인/기관) 평균 매수 단가를 산출할 수 있는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 항목은 분석이 불가능합니다.
C. 2025년 4분기(2025.11.12 ~ 12.31) 주가 예측 (객관성 중심)
인성정보의 4분기 주가는 펀더멘탈이 아닌 '정책'과 '테마'라는 두 가지 이벤트에 의해 결정될 것입니다. 현 주가 2,035원 1은 이 두 변수 사이의 기대와 우려가 혼재된 상태입니다.
- 상승 시나리오 근거:
- 11월 18일 국회 5에서 '공공 플랫폼' 법안이 보류되거나, 민간 참여가 허용되는 방향으로 수정될 경우.
- 美 VA 프로젝트 4와 관련하여 추가적인 마일스톤 달성 또는 공급 계약 뉴스 플로우 발생 시.
- 하락 시나리오 근거:
- (확률 높음) 11월 18일 국회 5에서 '공공 플랫폼' 도입이 확정될 경우, 국내 사업 기대감이 소멸하며 즉각적인 실망 매물 출회.
- 본업의 4분기 잠정 실적이 시장 기대치를 하회(실적 쇼크)할 경우.
- VA 프로젝트 관련 지연 또는 축소 루머 발생 시.
- 25년 4/4분기까지 예상 저점 (현 주가 2,035원 대비): -15% (약 1,730원)
- 근거: 11월 18일 정책 리스크 5가 현실화될 경우, 최근 급등분 1을 반납하고 52주 최저점(1,411원)과 현 주가 사이의 주요 지지선인 1,700원대에서 기술적 저점을 형성할 가능성.
- 25년 4/4분기까지 예상 고점 (현 주가 2,035원 대비): +30% (약 2,650원)
- 근거: 정책 리스크가 해소되고 VA 프로젝트 4 관련 긍정적 뉴스가 나올 경우, 52주 최고점(2,825원) 1에 근접하는 전고점(2,650원) 수준의 저항선까지 상승 시도 가능.
D. 2025년 4분기 단기 매매 전략
- 25년 4/4분기까지의 단기 가격대: 1,800원 ~ 2,600원 (현 주가 대비 -11.5% ~ +27.8%)
- 이벤트 기반 전략:
- (관망: ~11/18) 11월 18일 5 국회 법안 심의 결과가 단기 방향성을 결정하는 핵심 변수입니다. 이 이벤트의 불확실성을 감안할 때, 결과 확인 전까지 신규 매수는 보류합니다.
- (매도 시나리오: 11/18 이후) '공공 플랫폼' 법안 통과 시(악재), 단기 충격이 불가피하며 1,800원 지지선을 테스트할 것입니다.
- (매수 시나리오: 11/18 이후) 법안이 보류되거나 민간에 유리하게 수정될 시(호재), 불확실성 해소로 2,260원(최근 고가) 1 돌파 및 2,600원대(상단) 접근 시도가 예상됩니다.
- 결론: 1,800원에 근접할수록 '美 VA 테마'는 유효하다는 판단하에 기술적 매수 접근이 가능합니다. 2,600원에 근접할수록 '국내 정책 리스크'와 '0.3% 매출 현실'을 반영한 차익 실현을 권고합니다.
VII. 기타 투자 참고 자료
A. 증권사들 목표주가 산출
수집된 자료 22는 'ISC'에 대한 내용으로 인성정보와 무관하며, 그 외 인성정보의 2025년 목표주가를 제시한 증권사 리포트 자료는 수집되지 않았습니다. 현재 시장 커버리지가 거의 없는 '테마성 소형주'로 분류됩니다.
B. 최근 6개월 이내 주요 공시 (2025년 5월 ~ 11월)
- (가상 공시, 자료 기반 재구성) 2025.08.14: 반기보고서 제출 23
- (가상 공시, 자료 기반 재구성) 2025.07.XX: 조회공시 요구(현저한 시황변동)에 대한 답변 (美 VA 프로젝트 관련) 4
- (가상 공시, 자료 기반 재구성) 2025.10.17: 조직 개편 및 신규 사업(인성 아지트) 추진 발표 6
C. 최신 핵심 뉴스 링크 (3개)
- [본업] (비즈니스 코리아) 인성정보, '손익 중심' 조직 개편... IT 매니지드 서비스 '아지트' 강화 6
- [테마-위기] (한겨레) 정부·여당, 비대면진료 '공공플랫폼' 개설 추진 5
- [테마-기회] (뉴스프라임) [e외신] 하이케어넷 파트너사, 美 VA 1조3000억원 수주 성공… 인성정보 결실 4
D. 대내외 변수 (거시경제)
2025년 11월 현재 한국은행은 기준금리를 연 2.5%로 동결할 전망입니다. 이는 부동산 및 환율 변동성 19 때문이며, IT 기업들의 투자 심리에 중립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E. 네이버 금융 차트 링크
VIII. 면책 사항 고지
- 본 보고서는 2025년 11월 12일 기준으로 수집된 자료 8~23에 근거하여 작성되었습니다.
- 본 보고서는 오직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하며, 특정 종목의 매수 또는 매도를 권유하는 것이 아닙니다.
- 수집된 자료에 16(2023년 3분기)12(2024년 1분기)3(2024년 연간) 등 시점이 혼재되어 있어, 가장 최근 및 연간 자료 3를 우선적으로 사용하였으나 실제 재무 데이터와 일부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 '주요 주체별 평균 매수 단가' 및 '증권사 목표주가'는 가용 자료 21의 한계로 제공되지 않습니다.
- 투자자는 본인의 판단과 책임 하에 투자 결정을 내려야 하며, 본 보고서는 어떠한 투자 결과에 대해서도 법적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