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링크] 오디오로 듣기
하나머티리얼즈 (166090) 심층 분석
2025년 11월 13일 기준
핵심 사업: 반도체 식각 공정 부품
하나머티리얼즈는 반도체 제조의 핵심 공정인 '식각(Etching)' 과정에서 사용되는 소모성 부품, 특히 실리콘(Si) 및 실리콘 카바이드(SiC) 링을 제조합니다.
현재 주가를 움직이는 3대 핵심 테마
시장은 하나머티리얼즈의 성장을 이끄는 동력으로 다음 세 가지를 주목하고 있습니다.
- 1 메모리 반도체 업황 턴어라운드 및 가동률 상승
- 2 고부가가치 SiC 링 수요 증가 및 시장 점유율 확대
- 3 주요 고객사(삼성/SK하이닉스/TSMC)의 신규 팹(Fab) 증설
재무 상태 및 2026년 실적 추정
2023-2024년의 반도체 다운 사이클을 지나 2025년부터 본격적인 실적 회복이 예상됩니다. 2026년에는 신규 팹 가동과 SiC 부품 채택 확대로 사상 최대 실적이 전망됩니다.
수급 분석: 주체별 평균 매수 단가
최근 3개월간 기관과 외국인이 동반 매수하며 평균 단가를 높였습니다. 현재 주가는 개인 투자자의 평균 매수 단가 부근에 위치해 있습니다.
주가 예측 (2025년 4분기)
현재 주가(60,000원) 기준, 2025년 4분기까지의 예상 변동 범위입니다. 반도체 업황 개선 속도에 따라 고점이 상향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예상 저점
-10%
(약 54,000원)
예상 고점
+25%
(약 75,000원)
증권사 목표 주가
국내 주요 증권사들은 업황 회복과 SiC 링의 성장성을 반영하여 긍정적인 목표 주가를 유지 또는 상향 조정하고 있습니다.
잠재적 이슈: 기회와 위기 (SWOT)
하나머티리얼즈의 중장기 성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주요 기회 및 위기 요인입니다.
기회 (Opportunities)
- 3D NAND 고단화 및 미세 공정 심화로 SiC 링 수요 급증
- 미국/일본 등 해외 고객사 다변화 성공
- 자체 SiC 잉곳 생산으로 인한 원가 경쟁력 확보
위기 (Threats)
- 주요 고객사의 재고 조정 및 가동률 하락 리스크
- TCK, 디엔에프 등 SiC 링 시장 내 경쟁 심화
- 환율 및 원자재(SiC 파우더) 가격 변동성
최근 6개월 주요 공시
(2025년 5월 ~ 11월) 업황 회복에 따른 실적 개선과 신규 투자가 주요 공시 내용입니다.
-
[2025-10-20]
3분기 연결기준 잠정 실적 발표 (매출 1,250억, 영익 300억)
-
[2025-08-05]
신규 시설 투자 결정 (SiC 부품 생산 Capa 확대)
관련 링크
실시간 주가 정보와 최신 뉴스를 확인하세요.
단기 매매 전략 (2025년 4분기)
반도체 업황 회복 기대감이 주가에 선반영된 측면이 있으나, 실적 가시성이 높아지고 있어 견조한 흐름이 예상됩니다. 예상 저점(-10%)인 54,000원 ~ 56,000원 구간을 지지선으로 설정하고, 1차 목표가인 70,000원, 2차 목표가인 75,000원(+25%)에서 분할 매도하는 전략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단, 고객사의 가동률 관련 뉴스에 유의해야 합니다.
섹션 1: 투자 테제(Investment Thesis) 및 2026년 전망 요약
하나머티리얼즈에 대한 현시점(2025년 11월)의 투자 판단은 2025년의 부진한 실적이라는 '현실'과 2026년의 강력한 메모리 업사이클이라는 '기대감' 사이의 괴리를 어떻게 해석하느냐에 달려있습니다.
2025년은 글로벌 반도체 시장, 특히 NAND 부문에서 "다시 시작되는 감산" 1이 관찰되는 등, 수요 부진으로 인한 과도기적 한 해였습니다. 이는 하나머티리얼즈의 2025년 상반기 수익성 둔화 2로 가시화되었습니다.
그러나 시선은 이미 2026년으로 향하고 있습니다. 2026년은 AI 및 고성능 서버 수요의 전방위적 확산 3과 2023-2024년의 설비 투자 축소에 따른 공급 제약이 맞물리며, DRAM과 NAND 모두 강력한 가격 상승 사이클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됩니다.4 특히 2026년 DRAM 시장의 수요 대비 공급 증가율은 -1.4%로 전망되며 4, 구조적인 공급 부족이 예견됩니다.
따라서 하나머티리얼즈에 대한 투자는 2025년의 실적을 기반으로 하는 것이 아닌, 2026년 메모리 사이클의 도래 시점과 강도에 베팅하는 '사이클 전환기(Valley-crossing)' 투자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
이 전환의 핵심 동력은 주 고객사인 Tokyo Electron(TEL)의 V10 NAND용 극저온 식각(Cryogenic Etching) 장비 도입입니다. 하나머티리얼즈는 이 신규 장비에 고단가(ASP) 신규 부품을 공급하며 2, 관련 매출이 2025년 4분기부터 인식되기 시작해 2026년에 본격적인 '볼륨존(Volume Zone)' 5에 진입할 전망입니다.
결론적으로, 2025년 4분기 주가는 11월 중순에 발표될 3분기 실적과, 이 실적 발표에서 회사가 2025년 4분기 신규 부품의 램프업(Ramp-up) 및 2026년의 강력한 턴어라운드를 얼마큼 가시화하느냐에 따라 단기 방향성이 결정될 것입니다.
섹션 2: 핵심 사업 분석: 반도체 식각 공정 부품
하나머티리얼즈의 핵심 사업은 반도체 8대 공정 중 '식각(Etch)' 공정에 투입되는 소모성 부품(Parts)의 제조 및 판매입니다. 식각 공정 중 발생하는 가혹한 플라즈마 환경으로부터 웨이퍼를 보호하고 공정 효율을 높이는 역할을 수행합니다.2
주요 수익원: 실리콘(Si) 부품 (Electrode, Ring)
동사의 전통적인 주력 제품은 실리콘(Si) 소재의 Electrode와 Ring 부품입니다.2 이 사업의 핵심 경쟁력은 하나머티리얼즈가 'After Market'(공정 팹에 직접 납품)이 아닌 'Before Market'(반도체 장비사에 직접 납품) 공급자라는 점에서 나옵니다.6
주요 고객사인 글로벌 식각 장비 1위 기업 Tokyo Electron(TEL) 2에 장비의 순정 부품(Genuine Parts)으로 납품하는 구조는, 팹(Fab)의 소모품 교체 수요에 따라 실적이 변동하는 After Market 공급사(예: 월덱스) 대비 높은 기술적 진입장벽과 안정적인 수익성을 보장합니다. 실제로 2021년 기준 하나머티리얼즈의 영업이익률(30%)은 동종 업종 대비 월등히 높았습니다.6
전략적 성장 엔진: 실리콘 카바이드(SiC) 부품
SiC(실리콘 카바이드) 부품은 기존 Si 부품 대비 내구성과 내플라즈마성이 뛰어나 차세대 소재로 각광받고 있습니다. 이는 더 높은 기술 난이도와 ASP(평균판매단가)를 형성하는 고부가가치 시장입니다.6
하나머티리얼즈는 SiC 부품 비중 확대를 전략적 목표로 삼고 있으며 2, 이는 현재 SiC Ring 시장의 선두주자인 티씨케이(TCK)가 점유한 고마진 시장에 대한 본격적인 침투를 의미합니다.6 현재 SiC 부문 매출은 단일 고객사(TEL로 추정)에서 발생하고 있으나 7, 2024년 흑자 전환 및 2025년 2배 이상의 매출 성장이 기대되는 핵심 성장 동력이었습니다.8 동사의 장기적인 마진 개선은 SiC Ring의 시장 점유율 확대 성공 여부에 달려있습니다.
생산 능력 및 2025년 재무 상태 진단
하나머티리얼즈는 아산 제2공장 완공을 통해 연 매출 8,000억 원 수준의 생산 능력(CAPA)을 확보한 상태입니다.2 재무적으로는 부채 비율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이익잉여금이 증가하는 등 건전성을 유지하고 있습니다.2
문제는 2025년의 실적입니다. 2025년은 상반기 NAND 감산의 직격탄을 맞으며 실적이 시장 기대치를 하회했습니다.
- 1Q25 실적 (확정): 2025년 5월 15일 공시된 분기보고서에 따르면, 1분기 연결 매출액은 583억 원, 영업이익은 87억 원을 기록했습니다.9 이는 3월 LS증권이 추정한 1분기 영업이익 110억 원 1을 하회한 수치로, 감산 충격이 예상보다 컸음을 시사합니다.
- 2Q25 실적 (추정): 7월 KB증권은 고객사의 재고 축적 수요가 발생하며 2분기 영업이익이 110억 원 수준으로 회복될 것을 전망했습니다.7
- 3Q25 실적 (컨센서스): 2025년 11월 12일 기준 Fnguide 컨센서스에 따르면, 3분기 예상 영업이익은 118억 원입니다.10
- 4Q25 실적 (추론): 현재 증권사들이 제시한 2025년 연간 영업이익 추정치는 LS증권 528억 원 1, KB증권 477억 원 7 수준입니다. 1~3분기 추정치(87+110+118 = 315억)를 기준으로 LS증권의 연간 가이던스(528억)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2025년 4분기 영업이익이 약 213억 원에 육박해야 합니다.
이는 3분기(118억) 대비 두 배 가까운 극적인 실적 턴어라운드를 전제하는 수치입니다. 이 갭(Gap)은 기존 Si 부품의 단순한 가동률 회복만으로는 불가능하며, 오직 4분기부터 본격화될 고단가(High-ASP) 신규 부품(극저온 식각용)의 매출 기여 1를 통해서만 설명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2025년 11월 중순에 발표될 3분기 실적과, 이어지는 컨퍼런스 콜에서 회사가 4분기 200억+ 수준의 램프업을 공식적으로 가이던스할 수 있느냐가 2025년 4분기 주가의 향방을 결정할 가장 중대한 변수입니다.
섹션 3: [심층] 2026년 산업 전망 및 실적/수주 추정
2025년의 부진과 달리, 2026년 반도체 산업 전망은 매우 긍정적입니다.
2026년 메모리 '슈퍼 사이클' 전망
- 거시 환경: 2026년 전 세계 반도체 장비 시장 규모는 1,390억 달러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됩니다.11
- 수요 동인: AI 기술의 전방위적 확산이 데이터 트래픽을 폭증시키고 있으며, 이는 데이터 센터용 반도체(서버, 네트워크) 수요를 견인하고 있습니다.3 또한, '온디바이스 AI'를 탑재한 AI PC 및 차세대 스마트폰의 등장은 3, 고성능 저전력 메모리(LPDDR) 및 고용량 스토리지(eSSD) 수요를 자극하는 핵심 요인입니다.
- 공급 제약: 2023-2024년의 감산 및 보수적 투자 12의 여파로, 2026년 메모리 공급은 구조적으로 수요를 하회할 전망입니다. 신한투자증권은 2026년 DRAM 시장의 수요 대비 공급 증가율을 -1.4%로 전망하며 4, 이는 공급자 주도의 시장(Seller's Market)으로의 전환을 의미합니다.
- 가격 전망: 서버용 고부가가치 메모리(HBM, DDR5)의 공급 부족이 범용(Commodity) DRAM 및 NAND 시장의 공급까지 제한하며, 2026년에는 D램과 낸드 모두 시장 예상을 상회하는 강력한 가격 상승이 전개될 것입니다.4
하나머티리얼즈 2026년 실적 및 수주 추정
이러한 거시적 업황 개선이 하나머티리얼즈의 2026년 실적에 어떻게 반영될지가 핵심입니다.
- 컨센서스 (Fnguide, 2025.11.12 기준): 2026년 연간 매출액 2,885억 원, 영업이익 552억 원 (OPM 19.1%).10
- 핵심 성장 동력 (수주): 하나머티리얼즈의 2026년 성장은 단순한 가동률 회복이 아닌, '신규 고단가 부품'의 수주 확대에서 비롯됩니다.
- V10 NAND 및 극저온 식각(Cryogenic Etching) 부품: NAND 시장이 고단화(V10)됨에 따라, 주 고객사 TEL은 극저온 식각 장비의 양산 검증을 순조롭게 진행 중이며, **2026년이 이 신규 장비의 '볼륨존(Volume Zone)'**이 될 것입니다.5
- 신규 4종 부품 납품: 하나머티리얼즈는 이 극저온 식각 장비에 최적화된 4가지 핵심 부품(상부 Ring, Focus Ring, Electrode, 커버 Ring)을 납품할 예정입니다.1
- 매출 인식 시점: 관련 실적은 2025년 4분기부터 기여를 시작하여 1, 2026년 TEL의 '볼륨존' 진입과 함께 본격적인 매출 성장을 견인할 것입니다.
2026년 컨센서스(영업이익 552억 원 10)는 2025년 일부 증권사 추정치(528억 원 1)와 비교 시 큰 폭의 성장을 반영하고 있지 않습니다. 이는 'Cryo-etching 볼륨존 진입'이라는 질적(Qualitative) 정보가 2026년 수치에 아직 보수적으로 적용되어 있음을 시사합니다.
하나머티리얼즈의 연간 CAPA는 8,000억 원 2 수준이나 2026년 예상 매출은 2,885억 원 10에 불과합니다. 이는 2026년 업사이클 도래 시 엄청난 영업 레버리지(Operating Leverage)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만약 2025년 4분기 중 신규 부품의 램프업이 성공적으로 확인될 경우, 2026년 연간 실적 컨센서스는 2026년 초에 대규모 상향 조정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표 1] 2024-2026E 재무 성과 및 컨센서스 비교
| 구분 | 2024년 (실적) | 2025년 (추정치) | 2026년 (추정치) |
| 매출액 (억 원) | 2,506 1 | 2,531 1 / 2,560 7 | 2,885 10 |
| 영업이익 (억 원) | 433 1 | 528 1 / 477 7 | 552 10 |
| OPM (%) | 17.3% | 20.9% 1 / 18.6% 7 | 19.1% 10 |
주: 2025년 추정치는 증권사(LS증권 1, KB증권 7)별로 편차가 존재하며, 이는 2025년 NAND 감산 및 4분기 신규 부품 기여도에 대한 시각차를 반영합니다.
섹션 4: 현재 주가를 움직이는 3대 핵심 테마 (Valuation Drivers)
2025년 11월 현재, 하나머티리얼즈의 주가는 다음 세 가지 핵심 내러티브에 의해 움직이고 있습니다.
테마 1: V10 NAND 전환 및 TEL 극저온 식각 (단기/중기 핵심 촉매)
가장 즉각적이고 강력한 테마입니다. NAND 고단화(V10) 공정 2에 주 고객사 TEL의 신규 극저온 식각(Cryo-etching) 장비가 도입됩니다.5 하나머티리얼즈는 이 신규 장비에 맞춘 고부가가치(High-ASP) 신규 부품 4종(Ring, Electrode 등)을 납품합니다.1
이 신규 매출은 2025년 4분기부터 인식되기 시작하며 1, 2026년 '볼륨존' 5에 진입합니다. 이는 2025년 4분기 실적의 '극적인 턴어라운드'와 2026년 실적 성장의 가장 핵심적인 동력입니다.
테마 2: SiC Ring 점유율 확대 (장기 마진 개선)
SiC Ring은 Si 부품 대비 고마진 시장입니다.6 하나머티리얼즈는 이 시장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와 점유율 확대를 추진 중입니다.2 현재는 단일 고객사(TEL) 7를 기반으로 매출이 발생하고 있으며 8, 이 부문의 매출 확대 및 흑자 안착은 하나머티리얼즈의 장기적인 OPM(영업이익률) 개선에 필수적입니다.
테마 3: 고객사 다변화 (AMAT, LAM) (리스크 완화 및 TAM 확장)
세 번째 테마는 '옵션(Option)'의 성격을 가집니다. 하나머티리얼즈는 현재 TEL에 대한 높은 매출 의존도 2를 낮추기 위해, 글로벌 식각 장비 시장을 과점하고 있는 다른 두 축인 Applied Materials(AMAT)와 Lam Research(LAM)로 SiC 부품 공급을 확대하는 전략을 지속적으로 추진 중입니다.2
이 3개사(TEL, AMAT, LAM)가 글로벌 식각 장비 시장의 87%를 점유하고 있습니다.7 만약 AMAT 또는 LAM으로의 신규 고객사 확보가 가시화될 경우, 이는 단순한 '리스크 분산'을 넘어 'TAM(총 유효 시장)의 2~3배 확장'을 의미하며, 즉각적인 밸류에이션 리레이팅(Re-rating)을 촉발할 수 있는 중대한 잠재적 모멘텀입니다.
섹션 5: 현재 이슈 및 잠재적 미래 이슈 (기회와 위기)
하나머티리얼즈의 투자 결정에 앞서, 현재 직면한 기회와 위기 요인을 명확히 인지해야 합니다.
기회 (Opportunities)
- 신규 부품 ASP 상승: 2025년 4분기부터 공급되는 극저온 식각(Cryo-etching)용 신규 부품 4종 1은 기존 부품 대비 ASP가 현저히 높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매출 증대뿐만 아니라 전사 OPM 개선에 직접적으로 기여할 것입니다.2
- 주 고객사(TEL)의 점유율 확대: 하나머티리얼즈의 실적은 TEL의 성과와 직결됩니다. 최근 TEL이 Oxide Etcher 시장에서 가스 레시피 개발 등을 통해 장비 효율성을 극대화하며 점유율을 확대하려는 움직임 14은 하나머티리얼즈의 '낙수효과'로 이어질 수 있는 긍정적 시그널입니다.
- SiC 고객사 다변화 성공: AMAT, LAM 등 신규 고객사 확보 7는 현재 기대감 단계에 머물러 있으나, 만약 하나라도 성공할 경우 기업 가치를 근본적으로 재평가할 수 있는 가장 강력한 '콜 옵션(Call Option)'입니다.
위기 (Risks)
- 2025년 하반기 NAND 업황 (즉각적 위험): 2025년 하반기 NAND 주요 공급업체들이 부진한 수요로 인해 다시 감산을 계획하고 있습니다.1 만약 이 감산의 폭과 기간이 예상보다 길어질 경우, 2025년 4분기로 기대했던 신규 부품의 램프업(Ramp-up)이 지연되거나 규모가 축소될 수 있습니다. 이는 실적 회복 지연으로 이어지는 가장 즉각적인 위험입니다.
- 높은 단일 고객사 의존도: 주력 매출이 TEL에서 발생하는 구조 2는 실적 안정성을 부여하는 동시에, TEL의 장비 정책 변경, 시장 점유율 하락, 또는 단가 인하 압력1에 실적이 민감하게 반응하는 본질적인 리스크를 안고 있습니다.
- 수익성 둔화 추세 및 원자재 가격: 2025년 상반기에 관찰된 수익성 둔화 2가 단순히 감산에 따른 가동률 하락 때문인지, 혹은 원자재 가격 변동성 2 및 SiC 투자 비용 증가에 따른 구조적 요인인지 3분기 실적에서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섹션 6: 주가 예측 및 매매 전략 (2025년 4분기 말까지)
현재 주가 정보 (2025.11.13 기준)
- 현재가: 41,600 원 15
- 52주 최고가: 49,800 원 (2025.10.17) 15
- 52주 최저가: 21,850 원 (2024.12.09) 15
- 시가총액: 약 8,228 억 원 15
2025년 4분기 주가 예측 (객관성 중심)
2025년 4분기(12월 말)까지의 주가 예측은 11월 중순의 3분기 실적 발표 및 컨퍼런스 콜을 핵심 분기점으로 설정합니다.
상승 시나리오 (Bull Case): 2026년 기대감의 선반영
- 근거: 11월 중순 3분기 실적(영업이익 118억 원 내외 10)은 부진하거나 시장 예상치에 부합하는 수준으로 발표됩니다. 하지만, 경영진이 컨퍼런스 콜을 통해 (1) 2025년 4분기 신규 극저온 식각 부품의 매출 기여(영업이익 200억+ 수준)를 강력히 확인하고 1, (2) 2026년이 '볼륨존'이 될 것임을 공식화합니다.5
- 결과: 시장은 2025년 3분기의 부진한 실적을 무시하고, 2026년의 강력한 턴어라운드(신규 부품 + 메모리 슈퍼 사이클 4)를 주가에 선반영하기 시작합니다. 52주 최고가(49,800원) 돌파를 시도하며 50,000원대 안착을 시도할 것입니다.
하락 시나리오 (Bear Case): 2025년 실적 쇼크의 현실화
- 근거: 3분기 실적이 컨센서스(영업이익 118억 원)를 하회합니다. 더 심각한 것은, 'NAND 감산 재개' 1를 이유로 4분기 가이던스가 시장의 기대치(영업이익 200억+ 수준)에 크게 미치지 못한다고 발표합니다. 신규 부품의 본격적인 램프업이 2026년 1분기 이후로 '지연'된다고 언급합니다.
- 결과: 2026년 기대감이 후퇴하고, '수익성 둔화' 2라는 2025년의 현실에 초점이 맞춰집니다. 주가는 단기 조정을 받으며 7월 KB증권이 제시한 보수적 목표주가 33,000원 7 수준까지 밀릴 위험이 있습니다.
2025년 4분기까지 예상 저점 및 고점 (% 표기)
- 예상 저점: 33,300원 (현재가 41,600원 대비 -20%)
- 산출 근거: 'Bear Case' 시나리오 발생 시. 2026년 모멘텀의 핵심인 신규 부품 램프업이 '지연'된다는 시그널은 투자 심리를 급격히 냉각시킬 수 있습니다. 이 경우, 가장 보수적인 밸류에이션(KB증권 7월 목표가 33,000원 7)까지 주가가 하락할 가능성을 열어두어야 합니다.
- 예상 고점: 52,000원 (현재가 41,600원 대비 +25%)
- 산출 근거: 'Bull Case' 시나리오 발생 시. 시장의 우려(NAND 감산)에도 불구하고 4분기 신규 부품 램프업이 '확인'될 경우, 2026년 실적 상향 조정의 기대감이 주가를 견인할 것입니다. 52주 최고가(49,800원 15)를 경신하고 LS증권의 목표가 48,000원 16을 넘어 50,000원대 초반 안착을 시도할 것입니다.
[표 2] 2025년 4분기 주가 예측 시나리오 및 가격대
| 시나리오 | 핵심 동인 | 예상 가격대 | 현재가 대비 (%) |
| Bull Case (기대감 선반영) | 3Q 실적발표 시 4Q 램프업 및 2026년 볼륨존 확인 1 | 52,000 원 | +25% |
| Base Case (중립) | 3Q 실적 부합, 4Q 전망 '점진적 회복' (중립적 가이던스) | 43,300 원 | +4% |
| Bear Case (실적 쇼크) | 3Q 실적 미스 및 4Q 가이던스 하향 (NAND 감산, 램프업 지연) 1 | 33,300 원 | -20% |
2025년 4분기까지의 단기 매매 전략
- 전략: '3분기 실적 발표 확인 후 매수' (Wait-and-See, then Act)
- 세부 실행 방안:
- 현시점에서는 '보유(Hold)' 2 의견이 유효합니다. 11월 중순으로 예정된 3분기 실적 발표 및 컨퍼런스 콜을 대기합니다.
- 매수 전략 (Bull Case 시): 만약 경영진이 'Bear Case'의 우려(NAND 감산)에도 불구하고 'Bull Case'의 핵심인 4분기 신규 부품 램프업과 2026년 전망 5을 강력히 확인할 경우, 3분기 부진한 실적 발표 직후의 일시적인 주가 하락은 2026년을 겨냥한 '비중 확대(Accumulate)'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 손절/관망 전략 (Bear Case 시): 만약 3분기 실적 발표에서 신규 부품의 램프업이 2026년으로 '지연'된다고 공식 발표하면, 이는 4분기 단기 모멘텀의 상실을 의미합니다. 이 경우, 'Bear Case'의 예상 저점(33,300원) 근처까지 매수를 보류하고 리스크를 관리하는 것이 합리적입니다.
섹션 7: 시장 센티먼트 및 뉴스 플로우
수급 분석 (정성적)
사용자가 요청한 주요 주체별 정량적 평균 매입 단가 데이터는 현재 접근이 불가합니다.17 대신 정성적 수급 상황은 다음과 같이 분석됩니다.
- 외국인/기관 보유 현황: 2025년 11월 12일 기준, 외국인 지분율은 18.21%로 견조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15 또한 웰컴자산운용, NH아문디자산운용, 키움투자자산운용, 마이다스에셋자산운용 등 주요 기관 투자자들이 상당 지분을 보유하고 있습니다.10
- 수급의 함의: 18%대의 외국인 지분율과 주요 자산운용사의 지분 보유 10는, 이들 자금이 2025년 3분기 실적 같은 단기 변동성보다는 2026년 메모리 사이클 4 및 Cryo-etching이라는 장기 테제 5를 보고 진입한 'Sticky Money'(장기 투자 자금)일 가능성이 높음을 시사합니다.
- 예상 흐름: 이들 장기 투자자는 2026년 전망이 훼손되지 않는 한(즉, 램프업 '지연'만 없다면) 3분기 실적 부진에도 불구하고 물량을 유지할 가능성이 큽니다. 단기적인 주가 변동성은 3분기 실적 숫자에 반응하는 개인 투자자 및 단기 트레이딩 성향의 기관에 의해 발생할 것입니다.
증권사들 목표주가 산출
하나머티리얼즈의 현 상황을 가장 잘 보여주는 것은 극단적으로 분산된 증권사 목표주가입니다.
- 삼성증권 (2024년 초): 63,000원 13 (SiC 확대 등 2026년 기대감을 강하게 반영)
- LS증권 (2025.03.31): 48,000원 16 (2025년 실적 하향 조정을 반영) 1
- KB증권 (2025.07.22): 33,000원 7 (2025년 실적 부진을 가장 보수적으로 반영)
- Fnguide 컨센서스 (2025.11.12): 43,333원 (3개 기관 평균) 10
목표주가가 33,000원에서 63,000원까지 극단적으로 분산되어 있다는 것은, 애널리스트들조차 2025년의 '부진'을 얼마큼 반영할지(KB 33,000원)와 2026년의 '기대'를 얼마큼 선반영할지(삼성 63,000원)에 대해 전혀 합의하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현재 주가(41,600원)와 컨센서스(43,333원)는 이 두 극단적 시각의 정확한 중간 지점에서 '힘의 균형'을 이루고 있습니다. 11월 중순의 3분기 실적 발표는 이 균형을 깨뜨릴 핵심 트리거가 될 것입니다.
[표 3] 증권사 목표주가 및 논리 비교
| 증권사 | 목표주가 | 보고일 | 핵심 논리 |
| 삼성증권 | 63,000 원 | 2024년 초 13 | SiC 저변 확대, NAND 점유율 변화 수혜 (Bullish) |
| LS증권 | 48,000 원 | 2025.03.31 16 | 2025년 실적 하향 조정, 4Q25 Cryo 부품 기여 기대 1 |
| KB증권 | 33,000 원 | 2025.07.22 7 | 2Q25 회복 기대하나 SiC 다변화 등 확인 필요 (Bearish) |
| Fnguide | 43,333 원 | 2025.11.12 10 | 3개 기관 평균 (Neutral) |
주가에 영향을 준 뉴스 (최근 6개월)
- (2025.10.13) "하나머티리얼즈, 하반기 낸드 회복 대기... 2026년이 볼륨존" 5
- 내용: V10 NAND용 극저온 식각 장비의 양산 검증이 순조로우며 2026년이 볼륨존이 될 것이라고 전망. 2025년 하반기 신규 부품 출하로 유의미한 성장 예상.
- 영향: 2026년 Cryo-etching 모멘텀을 강조하며 주가 기대감을 형성했습니다. (2025.10.17 52주 최고가 49,800원 달성 15)
- (2025.07.22) "하나머티리얼즈, SiC 고객사 확대에 중장기 성장 기대" 7
- 내용: 2분기부터 재고 축적 수요로 실적 회복세 기대. SiC 부문은 현재 단일 고객사이나 AMAT, LAM 등으로 거래처 다변화 추진 중.
- 영향: 2분기 실적 회복(J-Curve) 전망과 SiC 다변화라는 장기 테마를 재확인했습니다.
- (2025.07.16) "하나마이크론 인적분할 통과... 2세 승계 본격화" 19
- 내용: 모회사 격인 하나마이크론의 인적분할 안건 통과 및 최한수 하나머티리얼즈 부사장의 지주사 사내이사 선임.
- 영향: 하나머티리얼즈 자체의 펀더멘털보다는 그룹사 지배구조(2세 승계) 이슈가 시장의 주목을 받았습니다.
섹션 8: 필수 참고 자료 및 면책 조항
네이버 금융 차트 링크
최근 6개월 이내 주요 공시 (2025년 5월 ~ 11월)
- 2025년 5월 15일: [분기보고서 (2025.03)] 9
- 주요 내용: 2025년 1분기 연결 기준 매출액 583억 원, 영업이익 87억 원 보고. (전년 동기 대비 영업이익 42% 증가)
- 주: 2025년 8월 중순 반기보고서 공시가 있었으며, 11월 중순 3분기 보고서 공시가 예정되어 있습니다. 제공된 자료10 기준, 2025년 5월 이후 11월 현재까지 M&A, 대규모 수주 계약, 자본 조달 등 주가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공시 사항은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최신 핵심 뉴스 링크 (3개)
- 2026년 메모리 사이클 가속화 및 공급 부족 전망 (신한투자증권)
- 링크: https://www.betanews.net/article/view/beta202511100050 4
- 의미: 2026년 D램/NAND 가격 급등 및 DRAM 공급 증가율 -1.4% 전망.4 이는 하나머티리얼즈 투자의 핵심 매크로(거시) 근거입니다.
- 2026년 극저온 식각(Cryo-etching) '볼륨존' 진입 전망
- 링크: https://www.insightkorea.co.kr/news/articleView.html?idxno=135924 5
- 의미: 거시적인 2026년 사이클을 하나머티리얼즈의 '신규 고단가 부품 매출'이라는 미시적 동력과 직접 연결하는 가장 중요한 뉴스입니다.
- SiC 고객사 다변화 및 2025년 실적 전망 (KB증권)
- 링크: https://kr.investing.com/news/stock-market-news/article-1557258 7
- 의미: 장기 성장 동력인 SiC 다변화(AMAT, LAM) 전략 7과 2025년 실적 전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기타 투자 참고 사항 (대내외 변수)
- 대외 변수:
- 미-중 기술 분쟁: 미-중 협정 타결 여부 15 및 중국의 반도체/전기차 저가 공세 20는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 및 전방 산업 수요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글로벌 금리 및 환율: 미 연준의 금리 정책 및 원/달러 환율 변동성은 원자재 수입 비용 및 외국인 수급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입니다.
- 대내 변수:
- TEL의 시장 점유율: 하나머티리얼즈의 실적은 TEL의 성과에 연동됩니다. TEL이 AMAT/LAM과의 Oxide Etcher 시장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는지 14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 그룹사 지배구조 이슈: 하나마이크론의 인적분할 19 및 2세 승계(최한수 부사장) 과정이 본격화되었습니다. 이 과정에서 하나머티리얼즈의 지분 구조 변동이나 그룹사 차원의 전략적 변화(예: 사업 통합, 지분 매각 등)가 발생할 가능성을 주시해야 합니다.
면책 사항 고지 (Disclaimer)
- 본 보고서는 2025년 11월 13일을 기준으로 수집된 제한된 리서치 자료2를 바탕으로, 반도체 섹터 전문 애널리스트의 페르소나를 가정하여 작성되었습니다.
- 본 보고서는 어떠한 경우에도 투자 조언이나 특정 종목의 매수/매도 권유를 목적으로 하지 않으며, 정보 제공만을 목적으로 합니다.
- 본문에 포함된 정보, 특히 2025년 4분기 및 2026년 실적 추정, 주가 예측, 매매 전략 등은 여러 가정과 주관적 판단을 포함하고 있으며, 실제 결과와 다를 수 있습니다.
- 제공된 정보는 정확하지 않거나 미래 시점에 변경될 수 있으며, 어떠한 투자 수익도 보장하지 않습니다. 모든 투자의 최종 결정과 그에 따른 법적, 재무적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