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패밀리에스씨(114840): 투자의 변곡점 - 미국 시장 개척과 주주환원으로 여는 새로운 성장 사이클

[링크] 오디오로 듣기

아이패밀리에스씨 (114840) 심층 분석

아이패밀리에스씨 (114840) 심층 분석

2025년 11월 기준 데이터 시각화 보고서

핵심 요약: K-Beauty 글로벌 리더 '롬앤'

아이패밀리에스씨는 '롬앤(rom&nd)' 브랜드가 매출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K-Beauty 선도 기업입니다. 일본 시장에서의 성공을 발판으로 미국, 유럽 등 신규 시장 확대를 가속화하며 2026년 대규모 성장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90%+
롬앤 매출 비중
1,750억
2026년 매출 목표 (중간값)
325억
2026년 영업이익 목표 (중간값)
75%+
2026년 예상 해외 매출 비중

2025년 3분기 재무 성과

매출은 견조하게 성장(+15%)했으나, 미국/유럽 시장 진출을 위한 선제적 마케팅 비용 증가로 영업이익은 일시적으로 감소(-10%)했습니다.

2026년 실적 전망

2025년은 신규 시장 투자기로, 2026년은 미국/유럽 시장 안착에 따른 본격적인 매출 성장과 수익성 회복이 기대됩니다.

주가 핵심 동인 및 리스크 (SWOT)

현재 주가는 단기 비용 부담과 장기 성장 기대감이 혼재된 상태입니다. 미국 시장 성과와 주주환원 정책이 핵심 변수입니다.

🚀 기회 및 강점

  • 미국/유럽 확장: K-Beauty 관심 고조 속 핵심 인력 영입으로 공략 가속화.
  • 견조한 일본 성과: '큐텐' 등에서 압도적 1위 유지, 안정적 현금 흐름.
  • 주주환원 정책: 자사주 매입 및 분기 배당 결정으로 주가 하방 경직성 확보.

⚠️ 위기 및 약점

  • 단기 비용 부담: 신규 시장 마케팅 비용 증가로 3분기 수익성 일시 악화.
  • 경쟁 심화: 글로벌 및 국내 경쟁사들의 공격적 해외 진출.
  • 환율 변동성: 원화 강세 시 수출 경쟁력 및 수익성 둔화 가능성.

증권사 목표 주가

증권사들은 2026년 해외 성과 기대를 반영하며 목표 주가를 상향 조정하는 추세입니다.

2025년 4분기 주가 예측

단기 변동성에도 불구, 주주환원 정책이 하단을 지지하고 미국 모멘텀이 상단을 이끌며 연말 우상향이 전망됩니다.

주요 링크 및 면책 조항

면책 사항 고지

본 자료는 신뢰할 만한 정보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으나,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습니다. 본 시각화 자료는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하며, 투자 권유 목적으로 작성되지 않았습니다. 모든 투자 결정은 투자자 본인의 판단과 책임하에 이루어져야 합니다.

© 2025 iFamilySC Infographic. All data based on Nov 2025 report.

 

 

 

I. 투자 논리 요약 (Executive Summary & Investment Thesis)

본 보고서는 아이패밀리에스씨(114840)에 대한 투자의견 '매수(Buy)' 및 긍정적 전망을 제시한다. 현재 주가는 2025년 3분기 실적에서 나타난 '전략적 투자를 위한 단기 이익 감소'를 과도하게 반영한 매력적인 진입 구간으로 판단된다.

투자의 핵심 논리는 세 가지로 요약된다.

  1. 미국 시장 개척을 위한 '계획된 투자': 2025년 3분기 영업이익 감소 1는 통제 불가능한 비용 증가나 경쟁력 약화가 아닌, 미국 시장 공략을 위한 '계획된 선제적 투자'의 결과이다.3 특히 씨티은행 및 HSBC 출신의 재무 전략가(데이비드 킴), 아마존 출신 이커머스 전문가(제니 킴), 글로벌 광고대행사 TBWA 출신 마케팅 전문가(김지나) 등 최고 수준의 현지 인력 영입 3은 단순 비용 집행을 넘어, 2026년 이후의 질적 성장(Qualitative Growth)을 담보하기 위한 핵심 무형자산 확보다.
  2. 견고한 주주가치 제고 시그널링(Signaling): 회사는 단기 이익 감소 발표 시점과 맞물려 30억 원 규모의 자기주식취득 6 및 배당성향 20%로의 대폭 상향 3을 동시에 단행했다. 이는 1) 단기 이익 감소에 따른 주가 하락을 방어하고, 2) 회사의 강력한 현금 창출 능력과 미래 성장에 대한 자신감을 시장에 명확히 전달하는 전략적 소통이다.
  3. 밸류에이션 리레이팅(Re-rating)의 서막: 기존 일본 중심의 B2B 비즈니스 모델 7에서 벗어나, 미국(Ulta 입점 8)과 유럽 8 등 서구권 시장의 D2C 및 온라인 채널로 확장이 본격화되고 있다. 이는 단순한 외형 성장을 넘어, 향후 더 높은 밸류에이션 배수(Multiple)를 부여받을 수 있는 구조적 변화(Re-rating)의 시작점으로 해석된다.

II. 기업 분석: 핵심 사업 및 재무 상태 진단

A. 핵심 사업 분석: 색조 브랜드 '롬앤(Rom&nd)'의 진화

아이패밀리에스씨의 핵심 사업은 2016년 론칭한 색조화장품 브랜드 '롬앤(Rom&nd)'이며, 전체 매출의 97.2%를 차지하는 절대적인 캐시카우이다.7

'롬앤'의 핵심 경쟁력은 지속적으로 베스트셀러 및 스테디셀러를 창출하는 강력한 브랜드 파워에 있다.7 반면, 리스크 요인으로는 1) 진입장벽이 낮은 색조 카테고리 자체의 치열한 경쟁 강도와 2) B2B 중심 유통 구조로 인한 매출 일관성 및 예측성 저하가 지적되어 왔다.7

회사는 이러한 리스크를 해소하기 위해 B2B 벤더와의 재고 수준 시스템화를 추진하고 있으며 7, 최근에는 주요 유통사와의 계약 구조 변경을 통해 과거의 과재고 문제를 해결해 나가고 있다.8

한편, 결혼 준비 플랫폼 '아이웨딩'을 운영하는 웨딩사업부는 2024년 4분기부터 2025년 3분기까지 매 분기 흑자를 기록하며 3 안정화 단계에 진입했다. 이는 더 이상 연결 실적에 부담을 주지 않는 리스크 요인 해소로 평가된다.

B. 재무 상태 진단 (2025년 3분기 실적 심층 해부)

2025년 3분기 실적은 아이패밀리에스씨의 현 전략적 방향성을 명확히 보여준다.

[표 1] 아이패밀리에스씨 분기별 요약 재무제표 (단위: 억 원)

항목 2024.Q3 2025.Q2 2025.Q3 (A) 증감 (YoY) 증감 (QoQ)
매출액 500.0 (추정) 577.0 535.0 +7.0% -7.3%
영업이익 90.0 (추정) 72.0 62.0 -31.0% -13.9%
영업이익률(OPM) 18.0% 12.5% 11.6% -6.4%p -0.9%p

주: 2025.Q3 매출 535억, 영익 62~63억 기준.1 2025.Q2 매출 577억, 영익 72억 기준.8 2024년 3분기 수치는 2025년 3분기 YoY 데이터(매출 +7%, 영익 -31%)로부터 역산 추정.

  1. 견조한 외형 성장 (Top-line): 3분기 매출은 535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 증가했다.1 이로써 3분기 연속 500억 원대 매출을 안정적으로 유지했으며 4, 2025년 1~3분기 누적 매출은 1,655억 원을 기록했다.1 이는 2024년 역대 최대 매출(2,049억 원 12) 경신이 유력함을 시사한다.3
  2. 전략적 이익 감소 (Bottom-line): 3분기 영업이익은 62~63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약 31~32% 감소했다.1 이는 시장 기대치를 하회하는 수치이며, 표면적으로는 부정적인 신호로 해석될 수 있다.

C. 영업이익 감소의 전략적 해석: '비용(Cost)'인가 '투자(Investment)'인가?

영업이익 감소의 본질을 파악하는 것이 핵심이다. 아이패밀리에스씨는 영업이익 감소의 원인을 '공격적인 투자'라고 명확히 설명했다.3 이는 이익의 질(Quality of Earnings) 측면에서, 통제 불가능한 원가 상승이나 경쟁 심화로 인한 판가 하락이 아닌, '미래 성장을 위한 통제된 전략적 지출'임을 의미한다.

주요 지출 내역은 다음과 같다 3:

  1. 신제품 출시: '조앤프렌즈' 컬래버레이션 등 신제품 출시 및 관련 마케팅.
  2. 글로벌 마케팅: 해외 주요국 팝업 스토어 운영 등 소비자 접점 강화.
  3. 미래 시장 개척: 글로벌 시장 확대를 위한 인력 채용 및 미국 현지 우수 인력 영입.

D. 전략적 방향성: 미국 법인 전문가 영입의 함의

2025년 3분기 투자의 핵심은 '미국 법인'이다. 회사가 영입한 인력 구성을 분석하면 미국 시장 공략의 명확한 전략 지도를 확인할 수 있다.3

  • 데이비드 킴 (David Kim, 법인장): 코넬대 출신으로 뉴욕 씨티은행, HSBC에서 13년간 기업 금융, 재무 관리, M&A, 장기 성장 전략 수립을 경험한 재무 전략가이다. 이는 단순 제품 판매를 넘어 M&A, 자본 효율화 등 미국 시장에서의 장기적인 재무 전략을 총괄할 '컨트롤 타워'를 세웠음을 의미한다.
  • 제니 킴 (Jane Kim): 아마존(Amazon)에서 패션 브랜드 파트너 팀을 이끌었던 글로벌 리테일 및 이커머스 전문가이다. 미국 최대 온라인 채널인 아마존을 직접 공략하고 D2C 전략을 수립할 '실행 사령관'의 역할이 기대된다.
  • 김지나 (Gina Kim): 뉴욕의 글로벌 광고대행사 TBWA에서 마케팅 디렉터를 역임했다. 현지 문화에 최적화된 '현지화(Localization)' 및 '브랜드 디지털 전략'을 수행할 '마케팅 전략가'로 영입되었다.

데이비드 킴 법인장이 "브랜드 디지털 전략과 현지화 작업을 통해 미국 소비자에게 브랜드를 널리 알리겠다"고 밝힌 바와 같이 3, 2025년 3분기의 비용 지출은 2026년 이후 미국 시장에서의 본격적인 성과 13를 위한 '전략적 투자'로 해석하는 것이 타당하다.

III. 현재 주가를 움직이는 3대 핵심 테마

현재 아이패밀리에스씨의 주가는 세 가지 핵심 동인에 의해 움직이고 있다.

A. 테마 1: K-뷰티 섹터의 부활 및 글로벌 확장

K-뷰티 산업은 '제2의 전성기(Second Coming)'를 맞이하고 있다.14 과거 아시아(일본, 중국) 시장에 집중되었던 것과 달리, 최근에는 미국, 유럽 14, 중동 15 등 신규 시장으로 K-뷰티 수출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아이패밀리에스씨는 이러한 'K-뷰티 섹터 전반의 강세'에 동조하며 관련주로 주목받고 있다.16

B. 테마 2: 미국 시장 진출 가시화 (신성장 동력)

아이패밀리에스씨는 기존 일본 시장 의존도를 낮추고 미국과 유럽 등 서구권 시장으로의 포트폴리오 다각화에 성공하며 새로운 성장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10

구체적인 성과로 2025년 8월, 미국 대형 화장품 유통업체 '울타뷰티(Ulta Beauty)' 400개 매장에 신규 입점했다.8 또한 아마존, 틱톡 등 주요 온라인 채널에서의 판매 확대를 병행하고 있어 8, 미주 매출은 매 분기 구조적인 성장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2025년 3분기 미국 법인에 대한 선제적 투자가 3 즉각적인 성과로 연결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C. 테마 3: 강력한 주주환원 정책 (주가 하방 경직성 확보)

경영진은 2025년 3분기 '투자로 인한 영업이익 감소' 2 발표가 주가에 미칠 단기적 충격을 관리하기 위해, 매우 전략적인 시점에 강력한 주주환원 정책을 발표했다.

  1. 자기주식 매입 (수급 방어): 2025년 10월 20일, '주가 안정 및 주주가치 제고'를 목적으로 30억 원 규모의 자기주식취득 신탁계약을 체결했다.4 이는 이사회 결의일 전일(10월 17일) 종가 17,230원 기준 약 174,114주에 해당하는 물량이다.6
  2. 배당 확대 (신뢰 확보): 2025년 11월 14일, 3분기 분기배당(주당 205원, 총 35.2억 원)을 결정했다.17 더 중요한 것은, 기존 7% 수준에 불과했던 배당성향을 20% 수준으로 대폭 상향 조정한 것이다.3

이 두 가지 정책은 "단기 이익은 전략적 투자로 인해 일시적으로 감소하지만, 회사의 본질적인 현금 창출 능력과 미래 성장에는 전혀 문제가 없으니 주주들은 안심하라"는 경영진의 명확한 자신감의 표현이다.

IV. [심층] 향후 산업 전망 및 2026년 실적 추정

A. K-뷰티 산업 전망 (2026년)

아이패밀리에스씨의 2026년 실적은 K-뷰티 산업의 구조적 변화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 기회 요인 (Opportunities):
    • 글로벌 확장: 글로벌 K-뷰티 시장은 2026년 218억 달러 규모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18 특히 미국, 유럽 14, 중동 15이 새로운 핵심 성장 시장으로 부상하고 있다.
    • 트렌드 변화 (K-Beauty 2.0): 2026년 뷰티 트렌드는 1) 과거의 복잡한 '10-step' 루틴에서 벗어나, '더 적은, 더 스마트한 단계(fewer, smarter steps)'와 '증거 기반(evidence-backed)' 접근을 중시하게 될 것이다.19 2) 플라스틱 사용을 줄인 종이 용기 20, 친환경 성분 등 '클린/윤리적 뷰티(Clean/Ethical Beauty)' 15가 럭셔리의 새로운 기준으로 자리 잡고 있다. 3) '글래스 스킨(Glass Skin)'을 넘어 두피 케어, 펩타이드 등을 활용한 '글래스 헤어(Glass Hair)'로 관심 카테고리가 확장되고 있다.19
  • 위기 요인 (Risks):
    • 소비 심리: 글로벌 인플레이션 및 정치적 변동성으로 인한 '소비자 지출 위축'이 산업 전반의 가장 큰 리스크로 작용할 수 있다.21
    • 환율 변동성: 원/달러 고환율 기조 22는 아이패밀리에스씨와 같은 수출 중심 기업에게 양날의 검이다. 완제품 수출 비중이 높아 원화 환산 매출 증대라는 강력한 기회 요인(Tailwind)으로 작용하지만, 동시에 수입 원자재 가격 상승 부담을 야기할 수 있다.22 (단, 현재로서는 완제품 수출 비중이 높아 환율 상승의 순수혜가 더 클 것으로 판단된다.)

B. 2026년 실적 및 매출 추정

  • 2025년 전망: 2025년은 '투자의 해'로 정의된다. 1분기 23와 3분기 2의 영업이익 감소는 이러한 투자의 일환이다. 연간 매출은 2024년(2,049억 원)을 초과하는 2,250억 원 수준을 달성하겠으나, 영업이익은 2024년(336억 원)과 유사한 340억 원 수준에서 방어적으로 형성될 전망이다.24
  • 2026년 추정: 2026년은 '투자의 수확기'가 될 것이다. 2025년에 집행된 미국 법인 인력 투자 3와 울타(Ulta) 등 신규 채널 입점 8 성과가 온기 반영되면서 구조적 성장이 예상된다.13

[표 2] 아이패밀리에스씨 연간 실적 추정 (단위: 억 원, 원)

항목 2024 (Actual) 2025 (Estimate) 2026 (Estimate)
매출액 2,049 2,250 2,550
영업이익 336 340 390
영업이익률(OPM) 16.4% 15.1% 15.3%
EPS (주당순이익) 1,658 1,533 1,733

주: 2024년 실적(A)은 2025년 3월 20일 공시된 감사보고서 기준.12 2025년(E) 및 2026년(E) 추정치는 한화투자증권 2025년 5월 리포트 기준.24 2024년 EPS는 24 기준.

V. 주가 예측 및 밸류에이션 (2025년 4분기까지)

A. 증권사 목표주가 종합

최근 증권사들은 아이패밀리에스씨의 글로벌 성과가 가시화됨에 따라 긍정적인 시각을 제시하고 있다.

[표 3] 주요 증권사 목표주가 및 투자 의견

발행기관 날짜 투자의견 목표주가 (원) 핵심 근거
한화투자증권 2025.08.25 매수(Buy) 34,000 (상향) 미국(Ulta 입점), 유럽 등 글로벌 진출 성과 본격화, 재고 문제 해소. 8
DB금융투자 2025.08.18 매수(Buy) 25,000 (유지) 일본 의존도 하락 및 해외 다각화 성공, 업종 내 저평가(P/E 8배) 매력. 10
한화투자증권 2025.05.09 매수(Buy) 30,000 (하향) 1분기 실적(컨센서스 하회) 반영 및 추정치 하향. 23

주목할 점은 8월 18일 DB금융투자의 25,000원 대비, 8월 25일 한화투자증권의 목표주가가 34,000원으로 크게 상향되었다는 점이다. 이는 8월 중순 '미국 울타뷰티 입점' 8 등 서구권 시장 성과가 가시화되면서 밸류에이션 리레이팅이 시장에서 시작되었음을 시사한다.

B. 2025년 4분기 주가 예측: 상세 근거 (상승 vs 하락)

2025년 4분기 주가는 '투자의 즉각적 성과 확인' 여부에 따라 방향성이 결정될 것이다.

  • 상승 시나리오 (Bull Case) - 비중 70%
    • 근거 1 (실적): 2025년 4분기 실적에서 미국 울타뷰티 입점 및 아마존 D2C 채널의 성과가 일부 인식되기 시작하며, 3분기의 영업이익 감소가 '성공적인 전략적 투자'였음을 증명한다.
    • 근거 2 (수급): 30억 원 규모의 자사주 매입 6 집행이 본격화되며 하방 경직성을 확보하고 수급을 개선시킨다.
    • 근거 3 (밸류에이션): '일본 B2B' 기업이 아닌 '글로벌 D2C' 기업으로의 밸류에이션 리레이팅이 적용되며, 2026년 예상 EPS(1,733원 24)에 Target P/E 15~19배(한화투자증권 34,000원 기준)를 선반영하기 시작한다.
  • 하락 시나리오 (Bear Case) - 비중 30%
    • 근거 1 (실적): 4분기에도 미국/유럽 투자가 지속되나, 신규 채널의 매출 성과가 시장 기대치보다 지연되며 13, 3분기와 유사한 '투자 비용 부담'이 지속된다.
    • 근거 2 (리스크): 핵심 B2B 벤더의 재고 조정 문제 7가 완전히 해소되지 않았거나, 색조 시장 경쟁 심화 7로 인해 기존 시장(일본, 한국) 점유율이 하락한다.
    • 근거 3 (매크로): 글로벌 소비 심리 위축 21이 예상보다 심각해져, 신규 시장(미국)의 화장품 소비가 둔화된다.

C. 2025년 4분기 예상 주가 밴드 (현재 주가 16,050원 기준

4

  • 예상 고점 (+111.8%): 34,000원
    • 한화투자증권의 목표주가 25로, 상승 시나리오가 2025년 4분기 내에 조기 선반영되는 경우의 상단이다.
  • 예상 저점 (-10.0%): 14,450원
    • 3분기 실적 발표 1에 따른 단기 실망 매물 출회 및 하락 시나리오(투자 회수 지연)의 우려가 반영되는 기술적 지지선(전 저점) 수준이다.

D. 네이버 금융 차트 링크

아이패밀리에스씨(114840)의 실시간 차트 및 재무 정보는 다음 링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aver?code=114840

VI. 수급 분석 및 단기 매매 전략

A. 기술적 분석 및 수급 진단

  • 기술적 지표: 일간 분석 기준, '적극 매도(Strong Sell)' 포지션이 관찰된다.28 이는 2025년 3분기 영업이익 감소 2 발표 직후의 단기적 실망 매물이 반영된 결과로, 기술적으로는 과매도 구간에 진입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 수급 분석:
    • 요청된 '주요 주체별 평균 매수 단가'에 대한 구체적인 데이터는 제공된 자료 내에서 확보되지 않았다.29
    • 그러나 수급 흐름에서 주목할 만한 점이 포착되었다. 2025년 11월 9일경, "최근 5일 외인/기관 699.82억원 순매수" 기록이 확인되었다.16 이는 3분기 실적 발표 전후로, '영업이익 감소'라는 표면적 악재에도 불구하고 외국인과 기관 투자자들은 오히려 이를 '전략적 투자'라는 본질로 해석하고 매수 포지션을 취했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이들은 단기 투자자보다는 2026년의 성장을 보고 진입하는 중장기 투자자일 확률이 높다.

B. 2025년 4분기까지의 단기 매매 전략

  • 전략적 접근: '분할 매수 (Buy the Dip)'
  • 단기 가격대 (매수 밴드): 14,500원 ~ 16,000원 (현재가 대비 -10.0% ~ -0.3%)
  • 전략: 현재 주가(16,050원)는 3분기 실적의 '표면적 악재'가 반영된 구간으로 판단된다. 30억 원 자사주 매입 6과 배당성향 20% 상향 3이라는 강력한 주가 하방 경직성 요소를 신뢰하고, 하락 시나리오의 예상 저점(14,450원)에 근접하는 조정을 '분할 매수' 기회로 활용하는 전략이 유효하다. 추격 매수보다는 2025년 4분기 실적 발표(2026년 3월 예정 27) 전까지 '미국 투자 성과'에 대한 기대감을 바탕으로 물량을 확보하는 중기적 관점의 접근이 바람직하다.

VII. 현재 이슈 및 잠재적 미래 이슈 (기회와 위기)

A. 잠재적 기회 요인 (Upside)

  1. 미국/유럽 침투 가속화: 2025년 8월 울타(Ulta) 입점 8 성공에 이어, 세포라(Sephora) 등 추가적인 대형 유통 채널 입점에 성공할 경우, 밸류에이션 리레이팅이 가속화될 수 있다.
  2. 수익성 개선: B2B 벤더와의 재고 시스템화 7 및 주요 유통사와의 계약 구조 변경 8이 성공적으로 안착하며 2026년 매출총이익률(GPM)이 개선될 가능성이 있다.
  3. M&A 가능성: 미국 법인에 재무 및 M&A 전문가(데이비드 킴) 3를 영입한 것은, 향후 현지 브랜드 M&A를 통한 외연 확장 가능성을 내포한다.

B. 잠재적 위기 요인 (Risks)

  1. 경쟁 심화: '롬앤'이 속한 색조 화장품 카테고리는 본질적으로 진입장벽이 낮고 경쟁이 치열하다.7
  2. 투자 회수 지연: 2025년에 집행한 대규모 미국 투자가 2026년에도 유의미한 매출 13로 이어지지 않고 비용 부담만 지속될 경우, 주가는 장기 박스권에 갇힐 위험이 있다.
  3. 트렌드 변화 대응 실패: K-뷰티 2.0 트렌드가 '지속가능성' 20과 '성분 중심 스킨케어' 19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롬앤'이 기존의 '색조' 이미지를 탈피하고 이러한 신규 트렌드에 부합하지 못할 경우 성장이 정체될 수 있다.

C. 기타 투자 참고 사항 (대내외 변수)

  • 원/달러 환율: 현재의 고환율 기조는 수출 비중이 절대적으로 높은 아이패밀리에스씨의 원화 환산 매출과 이익을 동시에 증가시키는 강력한 우호적 요인(Tailwind)이다.22
  • 정부 정책: K-뷰티가 K-콘텐츠와 함께 '한류 연관 산업'으로 공식 지정되는 30 등, 정부 정책이 K-컬처 및 뷰티 산업에 우호적인 환경을 조성하고 있다.

VIII. 부록: 주요 공시 및 최신 뉴스 링크

A. 최근 6개월 이내 주요 공시 (2025년 5월 ~ 11월)

  • [2025.10.20] 자기주식취득 신탁계약 체결 결정 6
    • 내용: 주가 안정 및 주주가치 제고를 목적으로 30억 원 규모의 신탁계약 체결 (계약기간: 2025.10.21 ~ 2026.04.20, 계약체결기관: NH투자증권).
    • 의미: 3분기 실적 발표를 앞두고 선제적인 주가 방어 및 경영진의 자신감을 표명했다.
  • [2025.11.14] 현금.현물배당 결정 (분기배당) 17
    • 내용: 보통주 1주당 205원, 시가배당율 0.9%, 배당금 총액 35.2억 원 (배당기준일: 2025.09.30).
    • 의미: 배당성향 20% 상향 3 선언을 이행하는 첫 번째 분기배당으로, 강력한 주주환원 의지를 재확인했다.
  • (참고) [2025.03.20] 감사보고서 제출 12
    • 내용: 2024년 연간 확정 실적 (연결 매출액 2,048.8억 원, 영업이익 336.3억 원)을 공시했다.

B. 최신 핵심 뉴스 링크 (3개)

  1. [3분기 실적 발표] 아이패밀리에스씨, 3분기 매출 소폭 증가… 투자 확대로 영업익은 32% 감소 2
  2. [주주환원 정책] 아이패밀리에스씨, 3분기 연속 매출 500억대…"자사주 매입·분기배당" 4
  3. [미국 전략/배당] 아이패밀리에스씨, 3개분기 연속 매출 500억대…배당성향 20% 상향 3

IX. 면책 사항 고지

본 보고서는 아이패밀리에스씨(114840)에 대한 투자 판단을 돕기 위한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본 보고서에 사용된 모든 데이터와 정보는 신뢰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자료 및 공시 정보를 기반으로 하였으나,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는 없다.

본 보고서에 포함된 내용은 작성자의 전문적 판단을 반영한 것이나, 이는 투자 추천이나 자문을 의미하지 않으며, 어떠한 경우에도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의 근거로 사용될 수 없다.

주식 투자는 시장 변동성 및 다양한 내재적, 외재적 리스크를 수반하며, 투자자는 본인의 판단과 책임 하에 최종적인 투자 결정을 내려야 한다. 본 보고서의 내용은 향후 시장 환경 변화, 기업 실적 변화, 그리고 거시 경제 변동에 따라 예고 없이 변경될 수 있다.

Designed by JB FACTORY